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정치사상] 맹자 (孟子)

by 淸風明月 2022. 6. 28.
반응형

1. 맹자의 생애와 시대

 

공자의 학문을 이어받은 사람은 맹자와 순자이다. 그 중에 맹자는 이름이 孟況이고 자는 이다. 출생은 전국시대 후기이다.封建天下의 제도와 가치가 공자가 살던 시대에 비해 아주 없어져서 남은 것이 없었다. 당시 부국강병의 시대상 때문에 仁義에 대한 그의 말은 소용없었지만 공자보다 지위가 높았고 이름이 드러났다.

 

맹자의 사상은 백성이 귀중함(民爲貴),하나로 결정됨(定於一)와 일치일난(一治一亂)이 있다.

 

 

2. 백성이 귀중함(定於一)

 

1) 공자의 정치사상=()을 중심

맹자 역시 공자를 이어받아서 仁心仁政이론으로 발전

2) 仁心의 시작은 본래 성선(品性이 착함)에 있다.

3) 맹자는 사람들이 ???四德이 있다고 보았다.

惻隱之心

羞惡之心

辭讓之心

是非之心

이것들을 참지 못하는 것을 不仁之心이라고 한다.

4) 仁心이 발전하여 행동(行動)에 나타나면, 그것은 바로 은혜를 널리 펴나가는 것(推恩)이 된다.

5) 仁政이라는 것은 잔인하게 하지 못하는 마음으로 은혜를 널리 펴나가는 정치를 행하는 것이다.

적게는 한 나라에,크게는 天下에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어버이를 어버이로 받드는 것에서 시작하 여, 事物을 아껴 주는 데서 그 끝에 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공자는 사물에 대한 주장이 없었지만 맹자는 그와 반대이다.

 

그리고 仁政은 그것이 실현되는 구체적인 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이 두 개의 큰 근본(大端)이다.

 

6) 養民에 그의 所論은 깊고 자세했다.

民生을 부유하게 하는 것

賦稅를 가볍게 하는 것

전쟁을 방지하는 것

경계(經界)을 바로 하는 것

7) 여민동락(與民同樂)을 주장.

여민동락: 백성과 함께 同苦同樂을 같이 하는 것을 의미

8) ‘衣食이 충분해야 榮辱을 안다응 말의 뜻을 취해서 물질적 생활의 충족이 道德必修條件임을 인정했다. (衣食足而知榮辱)

 

9) 養民에 정치의 제일의 의미를 부여했던 맹자는 다시 한 걸음 더 나아가 民貴論을 폈다.

백성이 가장 귀하고,社稷은 그 다음이고,임금은 대단치 않다. 그러므로 밭일하는 백성들(丘民)에 마음에 들 게 되면 天子가 되고,天子의 마음에 들게 되면 諸侯가 되고, 제후의 마음에 들게 되면 大夫가 된다.

 

공자의 理想君民一體로 보는 경향

 

맹자는 처음으로 군민이 대립되는 개념임을 암시, 백성은 주인이고 임금은 종

백성은 본체(:본체)이고 임금은 기능(:작용)이라는 뜻

10) ‘을 해치는 자를 흉포하다고 하고,를 해치는 자를 잔학하다고 하고, 흉포하고 잔학한 인간을 한 사내 (一夫)라고 하니, 한 사내인 誅殺했다는 말은 들었어도 임금을 弑害해다는 말은 듣지 못했소라고 했다.

暴君은 죽여도 좋다는 의미.

11) 공자같은 성인도 백성들은 따르게 할 수는 있다(民可使由)’든지 平民들은 國事를 의논하지 않는다.(庶人 不義)’는 주장을 했었다.老莊無軍思想와 호응

폭군(暴君)은 천명을 받은 자(天使)가 나타나기를 반드시 기다려 그 후에 誅殺하는 옳은 것이다.

마음으로 노력하는 자는 다스리는 사람이 되고,몸으로 노력하는 자는 다스림을 받는 사람이 된다.(勞心者 治人,努力者治於人)’

君子가 없으면 野人(농부)을 다스릴 자가 없을 것이고,野人이 없으면 君子를 기르게 될 수가 없게 될 것 이다.(無君者草治野人,無野人草養君子)

 

 

3. 하나로 決定(定於一)

 

공자와 맹자의 정치사상의 중요한 차이점하나로 決定(定於一)

 

이 주장에는 설명이 필요하다

공자는 종주와 정명을 주장했을 때의 봉건제도를 개선하고 회복하자는 것

맹자춘추전국시대에 살았기 때문에 周室의 부흥이 아니라 新王의 출현이다.

 

이런 생각 이면에는 공자와 맹자가 산 시대가 변화했음을 암시한다.

 

1) ‘땅이 百里만 되면 노릇을 할 수 있고,仁者에겐 이 없다.(百里可王,仁者無敵) 땅과 같은 영토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인치를 펴느냐가 중요하다.

2) 힘으로 을 가장하는 것이 覇道이다.를 칭하려면 반드시 큰 나라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으로 을 행하는 것은 王道이다.王道를 시행하는데 큰 나라이어야만 할 것은 없다.

 

 

4. 일치일난(一治一亂)

 

1) 史觀을 발명

2) 일치일난이 생기는 이유는 天命 때문이다.

3) 하늘이 보는 것과 백성이 보는 것이 같다. 하늘이 듣는 것과 백성이 듣는 것이 같다.

(天視自我民視,天聽自我民聽)

4) 500년 간격으로 일치일난이 반복된다.그러나 100-200에서 반복되는 것이 중국역사에서 나타났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