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급과 대중1 [정치철학] 계급과 대중의 변증법과 발리바르의 마르크스주의 개조 작업 서관모 교수가 2005년인가 2006년 즈음에 쓴 논문 ____________________ 마르크스는 한편으로는 역사철학에 대한 위대한 해체자이지만 다른 한편 그의 역사유물론은 근대적 역사철학의 또 하나의 유형이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에게 지배적인 역사변증법의 도식은 프롤레타리아 대중의 프롤레타리아 계급으로의 목적론적인 변증법적 발전의 도식이다. 이 도식에 따르면 프롤레타리아트는 자기의식과 자신의 사명에 대한 의식을 취하고 계급으로 구성되며, 이 과정의 종점은 역사의 종언으로서의 공산주의이다. 그러나 계급으로서의 프롤레타리아트와 대중으로서 프롤레타리아트에 대한 마르크스의 이중적 분석 속에는 모순은 화해불가능하다는 관념 위에 구성되는 비목적론적인 변증법이 작동한다. 이러한 비목적론적인 변증법은 프롤레타리아.. 2022. 7.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