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적 경향1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10강 제 10 강 의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3장 단순재생산(simple reproduction) 1. 자본의 유통(또는 순환)은 M---C(MP, LP)-----P-----C'---M'(=M+m)이지만, 어느 사회에서나 생산은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과정은 동시에 재생산과정이고, 자본의 유통 또는 순환은 반복된다. 다시 말해 자본은 회전한다(714쪽, 717쪽). 2. 잉여가치를 취득한 자본가는 잉여가치의 일부를 소득으로서 개인적 소비에 사용하고 나머지를 다시 자본으로 재전환시킬 것이다. 잉여가치를 자본으로 재전환시키는 것을 ‘자본의 축적’(accumulation of capital)이라고 부른다(733쪽). 따라서 자본축적률은 (불변자본의 증가액+가변자본의 증가액)/잉여가치가 될 것이다. 3. 자.. 2024. 6.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