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속이론1 [International Politics] 근대화이론과 종속이론 근대화 발전이론과 종속이론 비교․분석>● 비(非)마르크스 관점 : 자본주의적 자체를 부정하기보다 개혁을 강조 ☞ ecla(라틴아메리카 경제위원) 모델 비판에 대한 불만으로 60년대 프랑크(혁명론자), 산토스(급진주의자) 등에 제기되면서 종속이론 형성의 가속화● 마르크스 관점 : 자본주의 자체를 부정하고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서 생산수단을 사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람을 축출할 때 종속상태가 제거 ☞ 저발전 이론 : 중심부의 끊임없는 잉여수탈에 의해 주변부 스스로의 자본축척 능력이 박탈되며, 그 결과 주변부는 생산력을 발전시킬 수 없다는 논리 → 주변부 경제적 잉여가 중심부로 이전됨 EX) 다국적 기업․식민지적 종속의 형태, 금융․산업의 종속의 형태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지금까지의 종속이론의 논리로.. 2022. 11.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