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amera Archive91

Nikon F3T Classic Nikon F3T Classic (1994년)Nikon F3T Classic은 Nikon F3T의 후속 모델로, 1990년대 초반에 출시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F3T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지만, 디자인 요소와 일부 마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기존 샴페인 골드(Champagne Gold) 컬러의 F3T와 달리, **블랙 마감(Black Finish)**을 적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F3T Classic은 전문가 및 필름 카메라 애호가를 위해 제작된 모델로, 고강도 티타늄 바디와 신뢰성 높은 전자식 셔터를 유지하면서 클래식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이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94년마운트니콘 F 마운트셔터 스피드8초 ~ 1/200.. 2025. 1. 30.
Nikon F3AF Nikon F3AF (1983년)니콘 최초의 오토포커스 SLR로 1982년 포토키나에서 발표된 카메라이다. 기존 Nikon F3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카메라 내부에 AF 검출 모듈을 탑재하여 자동 초점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 F3AF는 외부적인 초점방식이라기보다 TTL을 사용한 현대적인 카메라이다. 그리고 대비검출(對比檢出)이라기보다 위상검출(位相檢出)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렌즈 속에 모터를 사용하는 초기타입으로 분류되어 표준화된 니콘 AF렌즈와는 호환이 안된다. 하지만 오토포커스 기능이 제한적이었고, AF 렌즈 선택지도 적어(특수한 AF 전용 렌즈만 지원), 이후 출시된 Nikon F-501 및 F4 같은 본격적인 AF 카메라들에 의해 빠르게 대체되었다.  전자식 포커싱 시스템으로 .. 2025. 1. 30.
Nikon F3T Nikon F3T (1982년)Nikon F3의 티타늄 버전 카메라로 "T"는 Titanium을 의미하며, 상판과 하판에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티타늄 소재를 적용하여 견고하고 가벼운 바디를 제공합니다. 내구성이 뛰어나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탐험가나 극지방 사진가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기계식 셔터와 전자식 셔터의 조합으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F3T의 1세대는 샴페인 크롬(champagne chrome)으로 발매 되었고, 198년 이후 블랙 페인트 버전으로 생산되었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82년 (발매가격 ¥263,000) 마운트니콘 F 마운트셔터Horizontal metal focal plane셔터 .. 2025. 1. 30.
Nikon F3HP Nikon F3HP (1982년) 82년 3월 출시된 F3시리즈의 2번째 모델로 F3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모델이다. F3HP와 F3의 차이는 사용되어진 파인더의 차이로 Standard Eye Level Finder인 DE-2를 사용하면 F3이고 High-EyePoint Finder인 DE-3를 사용하면 F3HP이다. 새로 개발된 파인더 DE-3는 통상적인 아이레벨 뷰잉에 25mm의 아이릴리프(eye relief) 거리를 주어 안경을 쓴 사람과 수중하우징용으로 최적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F3버전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다. 그 이후 모든 모델과 변형품에 하이아이포인트 파인더가 표준이 되었다. 파인더의 왼쪽 아래에 "HP"로 확인 할 수 있다.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합금바디라서 왠만한 충격에도 문제가.. 2025. 1. 26.
Nikon FM2 Nikon FM2 (1982년)이 카메라는 니콘 FM을 대체하기 위해 발표되었으며, 크기와 외관은 FM과 거의 동일합니다. 이전 모델의 단조로운 알루미늄 블레이드 셔터 대신, 벌집 모양의 티타늄 허니컴 패턴 셔터를 사용하여 한층 개선되었습니다. 단순한 기능과 뛰어난 바디 신뢰성 덕분에 사진의 기본 원리를 익히기에 최적의 카메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정밀한 노출 보정에서 한계가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극복 가능한 문제이기에 큰 단점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기계식 매뉴얼 노출 방식으로 인해 자동 카메라보다 촬영 속도가 빠르지는 않지만, 숙달되면 충분히 원활한 촬영이 가능합니다. 특히, 국내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A/S가 용이하다는 점은 이 카메라의 가장 큰.. 2025. 1. 26.
Nikon FG Nikon FG (1982년)Nikon FG는 1979년에 출시된 Nikon EM 카메라의 후속 모델이자, 1984년에 발표된 Nikon FG-20의 전신이 되는 모델이다. 이 세 가지 카메라는 Nikon의 첫 번째 초소형 35mm SLR 카메라 바디 제품군을 형성했습니다. FG는 당대의 고급 Nikon 모델에 비해 셔터 기술이 다소 단순했지만, 이전의 전기기계식 Nikon 카메라에 비해 훨씬 정교한 전자 설계를 갖추고 있다.  수동식과 프로그램 AE의 기본적인 기능을 가진 소형 SLR 카메라로 TTL 플래시 측광으로 SB-15 스피드 라이트에 연동하며, MD-E와 MD-14의 모터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백을 악세사리로 부착할 수 있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 2025. 1. 26.
Nikonos IV-A Nikonos IV-A조리개 우선식 AE 수중 카메라이다. 완전 방수구조로 50m까지 수압을 견디게 설계되었다. 교환렌즈용으로 잠수 마스크를 착용한 채 뷰파인더를 볼 수 있다. 플래시가 충전되거나 부적절한 셔터 스피드의 경고표시로 적색 LED가 깜박거린다. 신속한 필름 장전을 위해 swing-open back을 가지고 있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underwater viewfinder camera발매1980년마운트니콘 F 마운트셔터Electronically-timed shutter with aperture-priority autoexposure셔터 스피드1/30s ~ 1/1000s감도ISO 25 ~ 1600무게967.5g 2025. 1. 22.
Nikon F3 Nikon F3 (1980년) 80년 3월 출시된 F3 최초의 모델이자 기본 모델이다. 완전 기계식 카메라에서 벗어난 시스템카메라로 자동노출기능을 가진 카메라이다. F3의 특징은 전자식 셔터와 필름이송은 배터리가 없어도 1/80초와 B에서 작동한다. 교환용파인더와 모터드라이브를 가진 전문가용 카메라이다.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티타늄 포일셔터는 8∼1/2,000초이며 LCD 디스플레이패널 내장했다.  미러박스안의 실리콘 셀(sillicon cell)에 의한 중앙중점식 측광(80/20%) 및 자동플래시 필름면 반사측광(TTL OTF). MD-4 모터드라이브는 초당 최고 6프레임까지 급송한다. AI-니코르 f1.4렌즈를 기본 렌즈로 장착하고 있다. 초(超) 내구성셔터로 주경쟁제품인 캐논 New F1n의 100,.. 2025. 1. 22.
Nikon EM Nikon EM니콘이 만든 SLR 중에서는 가장 단순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M모드가 탑재되어있지 않고 조리개 우선 자동노출만 지원하기 때문에 가격이 싸고 니콘의 다른 SLR과 차이가 없기 때문에 바르고 간편하게 촬영하기에 안성맞춤인 카메라이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79년마운트니콘 F 마운트감도ISO 25 ~ 1600크기 (W x H x D)135 × 86 × 54 mm무게460 g 2025. 1. 22.
Nikon FE Nikon FEFE는 니콘 최초의 전자식 셔터를 가진 카메라이다. 기계식 FM과 전자식을 조합한 카메라로 교환용 포커싱 스크린을 가졌다. 1978~1984년까지 판매되었고, 1983년에 출시된 FE2에게 자리를 넘겨주게 된다. 조리개 우선식 자동노출 카메라로 메뉴얼 기능도 가지고 있다. 니콘 FM과 거의 비슷해 헷갈릴때도 종종 있다. 파인더 내부 표시판이나 스피드 다이얼과 FE노출보정 기능 다이얼로 구분이 가능하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78년마운트니콘 F 마운트필름감도 설정ISO 12 ~ 3200셔터전자제어 방식의 메탈포컬 플랜셔터셔터 스피드조리개우선, 8 ~ 1/1000sec측광실리콘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중앙중점 측광측광 범위.. 2025.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