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62 해방 기념우표 6종 (1946년) 1946년 해방기념으로 발행된 우표. 2024. 6. 19. 제2차 환화 보통우표 (1954년~1955년) 제2차 환화 보통우표 물결무늬 투문 보통우표 (1954년 ~ 1955년) 제2차 환화 보통우표 두터운 발살무늬 보통우표 (1955년 11월 01일) 제2차 환화 보통우표 물결무늬 보통우표 (1954년 09월 15일) 2024. 6. 19. 제1차 환화 보통우표 (1953년) 2024. 6. 19. 전시첨쇄 보통우표 (1951년) 전시첨쇄우표는 평판 또는 볼록판으로 새로운 액면 및 태극기를 제1차 보통우표에 청색 또는 갈색으로 첨쇄하였다. 2024. 6. 19. 제2차 원화 보통우표 (1951년~1953년) 2024. 6. 19. 제1차 원화 보통우표 (1948~1949년) 2024. 6. 16. 과도정부 원화 보통우표 (1947년~1948년) 1947년 ~48년 발행된 과도정부 원화 보통우표.이준, 이순신, 독립문, 거북선이 디자인으로 들어가 있음며, 액면가 5원, 10원, 20원, 50원으로 발행되었다. 2024. 6. 16. 미군정청 원화보통우표 (1946년) 2024. 6. 16. 미군정청 가쇄 보통우표 (1946년) 1946년 2월 1일에 발행된 것으로, 한시적으로 일본 우표를 모아 그 위에 한글로 국호와 액면을 가쇄(假刷)해 사용한 우표이다. 이 우표는 일본우표 5전에 5전, 14전에 5전, 40전에10전, 6전에 20전, 27전에 30전, 17전에 5원의 액면과 조선우표를 흑색으로 가쇄하여 1946년 2월 1일부터 사용해 오다가 3개월 후인 5월 1일 해방조선 기념우표가 발행됨에 따라 4월 30일까지만 사용하고 동년 5월 1일부터 사용금지된 우표이다. 2024. 6. 16.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10강 제 10 강 의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3장 단순재생산(simple reproduction) 1. 자본의 유통(또는 순환)은 M---C(MP, LP)-----P-----C'---M'(=M+m)이지만, 어느 사회에서나 생산은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과정은 동시에 재생산과정이고, 자본의 유통 또는 순환은 반복된다. 다시 말해 자본은 회전한다(714쪽, 717쪽). 2. 잉여가치를 취득한 자본가는 잉여가치의 일부를 소득으로서 개인적 소비에 사용하고 나머지를 다시 자본으로 재전환시킬 것이다. 잉여가치를 자본으로 재전환시키는 것을 ‘자본의 축적’(accumulation of capital)이라고 부른다(733쪽). 따라서 자본축적률은 (불변자본의 증가액+가변자본의 증가액)/잉여가치가 될 것이다. 3. 자.. 2024. 6. 16.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1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