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간, 공간, 그리고 X요인
결합 과정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포토 저널리즘에서 또 하나의 균형이 형성되야 한다. 이것은 TV와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다. TV의 시청자는 하나의 사건이 전개되는 동시에 그 사건에서 일어나는 일을 볼 수 있고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인식하게 되어 현실과 가장 가까운 또 다른 현실을 지각하게 된다. TV 리포터가 전개되는 사건에 대해 설명을 하는 것은 사진과 글로 형성되는 사진 저널리즘과 유사하지만 한 지 중요한 다른 점이 있다. TV에서는 영상과 음성이 동시에 전달된다. 이러한 동시적인 지각은 가장 빠른 이해 반응을 가져오고 감정과 의식에 가장 뚜렷한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토 저널리즘에서 글과 사진은 각기 다른 시간대에 읽혀진다. 그러므로 포토 저널리즘에는 시각과 청각의 동시적 작동이 결핍되어 있다. 사진 저널리즘의 경우에는 글과 사진이 이루는 평행은 공간 적으로 형성돼야 한다. 그래서 포토 저널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기법 중 하나는 글과 사진의 그러한 효율적 관계를 획득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는데, 그것은 시각적 영상과 청각적 상징인 글 사이의 평행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런 평행 상태가 이루어질수록 실제 사건의 가장 정확한 재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포토 저널리즘은 동시성을 공간적 균형으로 이루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독자의 메시지 해독 능력 인 X요인으로 인해 실행된다. 눈 과 귀로 메시지를 전달받고 독자 자신의 경험이나 상상력 등으로 그 메시지 내용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독자는 직접적으로 또는 제2자로부터 얻은 자신의 경험 속으로 메시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하나의 새로운 사진과 글은 그가 알고 있는 물질, 행동 또는 추상석인 경험 등의 이미지들을 그의 감정적 또는 지적 경험 환경 속에서 떠올리게 한다. 독자의 이해 과정에서 이런 평가 기준들이 작용하여 보도된 내용의 이해를 도와주고 사실과 거의 유사하게 해 준다. 기본적으로 한 장의 사진과 글로 형성 되는 이러한 지각적 플러스 요인은 실제로 사용되는 사진과 글보다 수많은 사진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구성케 한다.
이런 ‘효과 증대’ 현상은 25개의 일관적인 내용을 가진 사진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 사진들이 어떤 순서가 없이 또는 캡션도 없이 읽혀지더라도 이 사진들의 서술적 또는 기술적 내용은 관찰자의 상상력으로 인해 크게 확장되어 거의 영화와 같은 가득함과 유동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사진들이 잘 선택되어 정리되고 말과 곁들여졌을 때는 그 효과증대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하나의 포토스토리가 한 페이지 또는 두 페이지 레이아웃으로 잘 구성되어 효과 증대가 높은 경우 그 기사는 매우 효과적인 것이 된다. 이 이론은 인간의 눈과 귀, 그리고 마음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영상적 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가를 설명한다. 포토 저널리즘은 사진가, 취재 기자, 그리고 편집인을 필요로 한다. 이 세 사람 역시 서로 다른 속성을 갖고 있지만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상호 작용을 한다. (한 사람이 세 가지 역할 혹은 두 가지 역할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포토 저널리즘 기술이 발전하여 사진가 겸 취재 기자는 가끔 찾아볼 수 있지만 사진가와 취재 기자의 능력, 그리고 편집자를 겸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본 다). 사진가와 취재 기자의 능력, 그리고 사진과 글을 합쳐 하나의 완성작을 만드는 편집인의 능력 정도에 따라 독자의 반응 정도가 정해진다. 각자의 기술을 발휘하는 데 있어 이 세 기술인들은 또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사진가와 카메라, 취재 기자와 자료 보급자, 편집인과 아트 디렉터, 그리고 아트 디렉터와 레이아웃 맨간의 관계로 구성되고 이러한 소복합체들은 영상 기사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전체적인 복합체를 이루게 된다.
<타임>사에서는 이러한 사진저널리즘의 기술적 복합체를 그룹 저널리즘(group journalism)이라고 한다. 가장 단순한 사실을 전달하는 데에도 여러 기술과 재능이 요구된다. 전통적인 저널리즘에서는 자기 멋대로였던 기자는 뉴스 사건을 체계적으로 취재하여 그 내용을 써서 보도하는 그룹으로 변한다. 이 그룹의 성공은 그의 구성원들 서로의 작업 분야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또 하나의 구성단위에서 서로 얼마나 잘 협조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렇지 않다면 사진은 글로, 글은 사진으로 표현되고 이해될 수 없다.
결합 과정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포토 저널리즘에서 또 하나의 균형이 형성되야 한다. 이것은 TV와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다. TV의 시청자는 하나의 사건이 전개되는 동시에 그 사건에서 일어나는 일을 볼 수 있고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인식하게 되어 현실과 가장 가까운 또 다른 현실을 지각하게 된다. TV 리포터가 전개되는 사건에 대해 설명을 하는 것은 사진과 글로 형성되는 사진 저널리즘과 유사하지만 한 지 중요한 다른 점이 있다. TV에서는 영상과 음성이 동시에 전달된다. 이러한 동시적인 지각은 가장 빠른 이해 반응을 가져오고 감정과 의식에 가장 뚜렷한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토 저널리즘에서 글과 사진은 각기 다른 시간대에 읽혀진다. 그러므로 포토 저널리즘에는 시각과 청각의 동시적 작동이 결핍되어 있다. 사진 저널리즘의 경우에는 글과 사진이 이루는 평행은 공간 적으로 형성돼야 한다. 그래서 포토 저널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기법 중 하나는 글과 사진의 그러한 효율적 관계를 획득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는데, 그것은 시각적 영상과 청각적 상징인 글 사이의 평행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이런 평행 상태가 이루어질수록 실제 사건의 가장 정확한 재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포토 저널리즘은 동시성을 공간적 균형으로 이루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독자의 메시지 해독 능력 인 X요인으로 인해 실행된다. 눈 과 귀로 메시지를 전달받고 독자 자신의 경험이나 상상력 등으로 그 메시지 내용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독자는 직접적으로 또는 제2자로부터 얻은 자신의 경험 속으로 메시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된다. 하나의 새로운 사진과 글은 그가 알고 있는 물질, 행동 또는 추상석인 경험 등의 이미지들을 그의 감정적 또는 지적 경험 환경 속에서 떠올리게 한다. 독자의 이해 과정에서 이런 평가 기준들이 작용하여 보도된 내용의 이해를 도와주고 사실과 거의 유사하게 해 준다. 기본적으로 한 장의 사진과 글로 형성 되는 이러한 지각적 플러스 요인은 실제로 사용되는 사진과 글보다 수많은 사진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구성케 한다.
이런 ‘효과 증대’ 현상은 25개의 일관적인 내용을 가진 사진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 사진들이 어떤 순서가 없이 또는 캡션도 없이 읽혀지더라도 이 사진들의 서술적 또는 기술적 내용은 관찰자의 상상력으로 인해 크게 확장되어 거의 영화와 같은 가득함과 유동성을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사진들이 잘 선택되어 정리되고 말과 곁들여졌을 때는 그 효과증대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하나의 포토스토리가 한 페이지 또는 두 페이지 레이아웃으로 잘 구성되어 효과 증대가 높은 경우 그 기사는 매우 효과적인 것이 된다. 이 이론은 인간의 눈과 귀, 그리고 마음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영상적 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가를 설명한다. 포토 저널리즘은 사진가, 취재 기자, 그리고 편집인을 필요로 한다. 이 세 사람 역시 서로 다른 속성을 갖고 있지만 한 가지 목적을 위해 상호 작용을 한다. (한 사람이 세 가지 역할 혹은 두 가지 역할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포토 저널리즘 기술이 발전하여 사진가 겸 취재 기자는 가끔 찾아볼 수 있지만 사진가와 취재 기자의 능력, 그리고 편집자를 겸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본 다). 사진가와 취재 기자의 능력, 그리고 사진과 글을 합쳐 하나의 완성작을 만드는 편집인의 능력 정도에 따라 독자의 반응 정도가 정해진다. 각자의 기술을 발휘하는 데 있어 이 세 기술인들은 또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사진가와 카메라, 취재 기자와 자료 보급자, 편집인과 아트 디렉터, 그리고 아트 디렉터와 레이아웃 맨간의 관계로 구성되고 이러한 소복합체들은 영상 기사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전체적인 복합체를 이루게 된다.
<타임>사에서는 이러한 사진저널리즘의 기술적 복합체를 그룹 저널리즘(group journalism)이라고 한다. 가장 단순한 사실을 전달하는 데에도 여러 기술과 재능이 요구된다. 전통적인 저널리즘에서는 자기 멋대로였던 기자는 뉴스 사건을 체계적으로 취재하여 그 내용을 써서 보도하는 그룹으로 변한다. 이 그룹의 성공은 그의 구성원들 서로의 작업 분야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또 하나의 구성단위에서 서로 얼마나 잘 협조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렇지 않다면 사진은 글로, 글은 사진으로 표현되고 이해될 수 없다.
여러분이 비록 자신의 도움이 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집을 갖는다 할지라도 노동자들은 그것에 신경을 쓰지 않을 것이다" 납부 프로리다주의 에버그레이드의 농장 사무국장인 프로이드 에릭슨의 말: (이 말은 위의 사진과 함께 1969년 10월 5 일에 《팝 비취 포스트》에 실렸음.) 촬영 대상에 대한 글로 된 의견 옆에 사진가의 시각적 기록을 발행함으로써 편집자는 전체적 의미의 부분적 총체보다도 더 큰 종합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독자 자신의 배경과 기억이 행동으로 나타나며, 그리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준다. 전달의 과도 평가인 X요인은 그의 공헌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
'사진을 이야기 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침착한 눈과 훈련된 눈 - (0) | 2022.06.09 |
---|---|
포토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사물의 관찰에 대해 - (0) | 2022.06.08 |
포토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비결은 결합이다. - (0) | 2022.06.08 |
사진의 메시지 (0) | 2022.06.08 |
우도와 사랑에 빠진 여자 이성은 (0) |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