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광주항쟁2

[강의노트] 한국정치론 5강 서울의 봄과 광주항쟁, 제5공화국 1, 개괄 - 서울의 봄은 이승만 정권을 붕괴시킨 4월혁명에 이은 민주화를 위한 두 번째의 기회로, 부마항쟁과 10․26사건으로 유신체제가 붕괴한 시점에서 민주화를 위한 국민적 요구가 봇물처럼 터져나온 시기를 의미하는 것임 - 한국에서 민주화 진전을 의미하는 서울의 봄은 학생들의 시위 및 3김(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의 정치적 등장과 경쟁으로 나타났지만, 권력 내부적으로는 정치의 중심을 장악하고 있는 군 내부의 암투가 중요하게 진행되던 상황임 - 이 과정에서 12․12쿠데타를 통해 군부권력을 장악한 전두환과 노태우 중심의 신군부는 5․17쿠데타를 통해 민주화 요구를 제압하는 동시에 광주항쟁을 유발하고 광주에서의 학살을 계기로 최규하 대통령을 강제로 하야시키고 정치권력을.. 2024. 5. 27.
당시 광주사태 수습위원의 제언 - 광주재판 다시 해야 ■ 당시광주사태수습위원의 제언 「光州裁判」 다시 해야 李 基 洪 법적 구속력 없는 民和委논의 부마사태의 무자비한 진압은 유신정권의 연장을 가져온 듯 하였지만 내부적인 알력으로 金載圭 중앙정보부장의 朴正熙대통령 살해사건이 발생하여 결국 유신정권의 종말을 고하게하였다. 5촵18광주항쟁은 계엄통치를 반대하고 진정한 자유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애국시민들의 피나는 투쟁의 진의와는 달리 12촵12 군부 주역들의 쿠데타를 성공시켜 주는 결과를 가져와 崔圭夏 과도정권의 퇴진과 함께 제5공화국 군사정권은 탄생시켰다. 제5공화국 全斗煥정권은 5촵18광주항쟁을 내란으로 조작하고 이를 명분으로 삼아 권좌에 올랐지만, 이 때문에 전세계 여론의 비판대상이 되었고 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집권 기간중 강력한 국민의 저항에 .. 2022. 10.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