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치철학2 [정치철학] 국가 소유에 관한 재론 사적 소유와 집단적 소유, 양자가 공유했던 배타성을 넘어 개인적 소유(individual property)를 실현하자..... 라는 발리바르의 말에 대한 최원 씨의 해석입니다. 2003년에 쓰여진 글이고, '국가 소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의 글입니다. 2022. 7. 24. [정치철학] 민족형태; 그 역사와 이데올로기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역사이론이다. 그것은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 이론임을 자부하여 '역사적 유물론'으로 불린다('보편적 진리에 대한 이론으로서 철학'이라는 관념을 버린다면, 과학='역사적 유물론'; 철학='변증법적 유물론'이라는 정식을 기각한다면, 요컨대 진리에 대한 일종의 '종교적' 관념을 버린다면, 마르크스주의의 이론은 역사이론뿐이다). 그런데 역사에 대한 '유물론적'('물질론적') 이론이란 무엇인가? 다시 말해 역사에서 '물질적인 것'은 무엇인가? 폭발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가 일차적으로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문제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라 해도 이론의 문제를 떠나 이 위기를 사고될 수 없다면, 제기되어야 할 것은 질문이다. 이런 근원적 질문이 제기되지 않는 한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체험'은 되고 있다.. 2022. 7.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