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카메라129

카메라 그랑프리 대상 기념 한정판 "Nikon FA Gold" Nikon FA Gold (1984년)니콘 FA 골드는 "카메라 그랑프리" 상을 기념하여 제작된 한정판 카메라이다. 카메라의 크롬은 반짝이는 금색으로 바뀌었고, 가죽은 뱀가죽으로 바뀌었다. 이 한정판 모델은 오동 나무 상자에 담겨 50만 엔에 판매되었다. 이 카메라와 함께 기본 제공되는 Nikkor 50mm f/1.4 렌즈의 링도 금도금 처리 되어있다. 2025. 2. 2.
카메라 그랑프리 대상 "Nikon FA" Nikon FA (1983년)1983년도에 발매된 SLR 카메라이다. 니콘 바디 최초로 P, A, S, M모드를 모두 지원하며, 1/4000의 셔터스피드 등 최고 스펙의 카메라이다. 1세대의 매트릭스 측광(Matrix metering-멀티패턴 측광이라고도 한다)이 채용된 최초의 니콘으로 오늘날의 현대적인 측광방식의 한 과정이 되었다. 8∼1/4,000초의 셔터속도의 수직형 메탈날개를 가진 전자셔터를 가지고 있다. 매트릭스측광으로 1984년 카메라 그랑프리에서 제 1회 대상을 수상했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83년마운트니콘 F 마운트셔터티타늄 세로주행 포컬플레인 셔터셔터 스피드1s-1/4000s, B뷰파인더0.8배 시야율 93%측광방.. 2025. 2. 2.
Nikon F3T Limited Nikon F3T Limited니콘 카메라중 가장 귀한 카메라 중의 하나가 Nikon F3T Limited이다. F3T중에서도 Champaign color를 베이스로 한정 생산되어진 모델로 총 300대가 만들어졌으며, 북미 시장에서만 판매되었다. 이 한정판 시리즈는 F3T Limited로 불리며, 일련번호 8200001번부터 8200300번까지의 고유한 번호를 가진다. 해당 카메라는 Nikkor AIS 50mm f/1.4 렌즈와 함께 세트로 판매되었으며, 렌즈의 일련번호는 카메라와 일치한다. 전체 세트는 고급스러운 호두나무 상자에 담겨 있으며, 상자 안에는 "NIKON F3 TITANIUM SPECIAL SERIAL # 82xxxxx"라는 문구가 새겨진 금속판이 포함되어 있다. 2025. 2. 2.
Nikon F3P Nikon F3P (1982년)82년 출시 모델로 일반인들 상대로 판매된 모델은 아니다. 기자(흔히들 이 P를 'Press'의 약자라고 하는데 일부에서는 'Professional'으로 해석하기도 한다)들이나 보도사진가들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한 바디로 기존의 F3 High-Eyepoint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되었지만 몇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기존의 F3HP바디와 비교시 가장 큰 차이점 가운데 하나는 내구성 및 방진방습능력의 차이가 있다. 표면을 강화처리하였으며 바디 내외부 곳곳에 고무소재를 사용하여 방진방습능력을 크게 강화하였다. 바쁜 취재현장에서 필름 한번 교환하려면 촬영하다 말고 플래쉬를 분리하고 또 장착하여야 하므로 그 불편도 불편이지만 시간상으로도 엄청난 손해인데 이러한 불편을 덜기위하여 파인.. 2025. 2. 2.
Nikon F3 Limited Nikon F3 Limited (1994년)F3P를 베이스로 94년에 한정 생산된 모델로 전용 스트랩(broad base neck strap with name "F3 Limited")이 함께 제공된다. 디자인은 F3P와 거의 동일하지만 바디 좌측상단의 F3라는 로고 뒤에 금색으로 씌여진 "Limited"라는 로고가 있다. 제품의 시리얼넘버를 보면 "L XXXXXX"과 같이 Limited를 나타내는 알파벳 "L"로 시작한다. F3P와는 달리 MF-6B 필름백 대신에 일반 필름백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리즘파인더는 F3P, F3H와 같은 DE-5 프리즘파인더를 사용한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94년마운트니콘 F 마운트뷰파인더DE-.. 2025. 2. 2.
Nikon F3T Classic Nikon F3T Classic (1994년)Nikon F3T Classic은 Nikon F3T의 후속 모델로, 1990년대 초반에 출시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F3T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지만, 디자인 요소와 일부 마감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기존 샴페인 골드(Champagne Gold) 컬러의 F3T와 달리, **블랙 마감(Black Finish)**을 적용한 것이 특징입니다. F3T Classic은 전문가 및 필름 카메라 애호가를 위해 제작된 모델로, 고강도 티타늄 바디와 신뢰성 높은 전자식 셔터를 유지하면서 클래식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이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94년마운트니콘 F 마운트셔터 스피드8초 ~ 1/200.. 2025. 1. 30.
Nikon F3AF Nikon F3AF (1983년)니콘 최초의 오토포커스 SLR로 1982년 포토키나에서 발표된 카메라이다. 기존 Nikon F3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카메라 내부에 AF 검출 모듈을 탑재하여 자동 초점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 F3AF는 외부적인 초점방식이라기보다 TTL을 사용한 현대적인 카메라이다. 그리고 대비검출(對比檢出)이라기보다 위상검출(位相檢出)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렌즈 속에 모터를 사용하는 초기타입으로 분류되어 표준화된 니콘 AF렌즈와는 호환이 안된다. 하지만 오토포커스 기능이 제한적이었고, AF 렌즈 선택지도 적어(특수한 AF 전용 렌즈만 지원), 이후 출시된 Nikon F-501 및 F4 같은 본격적인 AF 카메라들에 의해 빠르게 대체되었다.  전자식 포커싱 시스템으로 .. 2025. 1. 30.
Nikon F3T Nikon F3T (1982년)Nikon F3의 티타늄 버전 카메라로 "T"는 Titanium을 의미하며, 상판과 하판에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티타늄 소재를 적용하여 견고하고 가벼운 바디를 제공합니다. 내구성이 뛰어나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탐험가나 극지방 사진가들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기계식 셔터와 전자식 셔터의 조합으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F3T의 1세대는 샴페인 크롬(champagne chrome)으로 발매 되었고, 198년 이후 블랙 페인트 버전으로 생산되었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유형Single-lens reflex camera발매1982년 (발매가격 ¥263,000) 마운트니콘 F 마운트셔터Horizontal metal focal plane셔터 .. 2025. 1. 30.
Nikon F3HP Nikon F3HP (1982년) 82년 3월 출시된 F3시리즈의 2번째 모델로 F3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모델이다. F3HP와 F3의 차이는 사용되어진 파인더의 차이로 Standard Eye Level Finder인 DE-2를 사용하면 F3이고 High-EyePoint Finder인 DE-3를 사용하면 F3HP이다. 새로 개발된 파인더 DE-3는 통상적인 아이레벨 뷰잉에 25mm의 아이릴리프(eye relief) 거리를 주어 안경을 쓴 사람과 수중하우징용으로 최적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은 F3버전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다. 그 이후 모든 모델과 변형품에 하이아이포인트 파인더가 표준이 되었다. 파인더의 왼쪽 아래에 "HP"로 확인 할 수 있다.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합금바디라서 왠만한 충격에도 문제가.. 2025. 1. 26.
Nikon FM2 Nikon FM2 (1982년)이 카메라는 니콘 FM을 대체하기 위해 발표되었으며, 크기와 외관은 FM과 거의 동일합니다. 이전 모델의 단조로운 알루미늄 블레이드 셔터 대신, 벌집 모양의 티타늄 허니컴 패턴 셔터를 사용하여 한층 개선되었습니다. 단순한 기능과 뛰어난 바디 신뢰성 덕분에 사진의 기본 원리를 익히기에 최적의 카메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정밀한 노출 보정에서 한계가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극복 가능한 문제이기에 큰 단점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기계식 매뉴얼 노출 방식으로 인해 자동 카메라보다 촬영 속도가 빠르지는 않지만, 숙달되면 충분히 원활한 촬영이 가능합니다. 특히, 국내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A/S가 용이하다는 점은 이 카메라의 가장 큰.. 2025. 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