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방정국과 한국전쟁1 [강의노트] 한국정치론 1강 해방정국과 한국전쟁 : 한국정치의 형성 1. 한반도 해방의 성격 1) 개괄- 2차대전 종전으로 한반도 해방 (제3세계 신생국의 일반적인 경우)- 외세의 힘에 의존한 타율적 해방 (유고슬라비아는 반대의 사례)- 해방의 국내적 근거 취약, 외세개입의 빌미로 작용- 해방 이후 정치사회적 혼란의 배경 2) 전시연합국회의2차대전이 막바지로 접어든 시점에서 독일과 일본 등 동맹국이 일으킨 제국주의적 침략전쟁에 대항해서 싸웠던 미국과 소련 등 연합국들이 종전문제와 종전 이후의 세계질서 수립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개최한 일련의 회의로서, 일본의 식민지 상태에 놓여있던 한반도 문제의 해결방안 역시 이들 회의를 거쳐 결정되었음 ⑴ 1943. 10. 19 - 10. 30 모스크바회담, 모스크바선언 (Moscow Declara.. 2024. 6.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