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amera Archive91

Military Leica IIIa Military Leica IIIa   독일해군에서 사용했던 라이카는 IIIa 부터 IIIc 까지의 모델이 있다. 해군을 의미하는 독일어 「마린」에서 「마린 라이카」 라고 불리고 있다. 이것에도 변종이 있다. 아래 사진은 IIIa 타잎의 마린라이카로서, 각인이 특이하다. 상판에는 하켄크로이츠와 바다 독수리가, 제조번호 위에는 「M103」이 각인되어있다. 바다 독수리에 대해서는 이 로고 이외에 여러 종류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으며 독수리의 모양에도 조금씩 변화가 있다. 아마 제조시기에 따라서 변한 것 같다. 또 M은 해군의 약자로서 숫자는 등록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사진의 모델은 잠수함에서 사용했던 듯 싶다. 2차대전 당시 독일 해군의 중심은 U-보트라 불리는 잠수함이었다. 연합국의 많은 수송선을 침몰.. 2024. 12. 7.
Military Leica IIIb Military Leica IIIb  Leica IIIb의 군용모델이다. 작은 사진은 IIIb 타입 마린 라이카의 특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로고와 각인 위치가 IIIa 타잎과 달리, 파인더 접안창 오른쪽 옆에 있다. 하켄크로이츠와 바다 독수리의 문양이 기입되어있다.  장착된 렌즈인 Summitar 50mm F2의 경통에도 카메라와 같은 로고와 같은 코드를 각인했다.(사진#1) 두 사진(#2,#3)에서는 바다독수리의 로고가 비슷하지만, 이 독수리 로고에는 변종이 있다. 독수리 날개의 깃털 수가 많은 것일수록 귀하고 드물다. 2024. 12. 7.
Military Leica IIIc Chrome Military Leica IIIc Chrome 제2차 세계대전시 독일공군에서 사용된 라이카 카메라. 주로 IIIc 이지만 IIIb 도 소수 채용되었다. 크롬, 그레이, 블랙 도금이 있다. 독일 공군용 라이카가 일반 타입의 IIIc 와 다른 점은 각인인데, 상판 윗면에 있는 공군 코드인 「FL.No.38079」가 기입되어있다. 이 번호는 코드이기 때문에 다른 카메라에도 공통으로 기입되어있다. 게다가 뒷면으로 눈을 옮기면, 「Luftwaffen-Eigentum」란 각인이 있다. 이 각인 때문에 독일 공군 라이카를 "루프트바펜 라이카" 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달려있는 렌즈는 Elmar 50mm F3.5 이다. Elmar 이외에도 Summitar 50mm F2 가 있다. 이들 렌즈에도 경통에「Luftwaf.. 2024. 12. 7.
Military Leica KE-7A Military Leica KE-7A 군용으로 공급되었던 LEICA 카메라 중 하나입니다. 1967~1975년 라이카 M4는 M3와 M2의 대체 모델로 두 모델의 장점만을 모아서 제작하였는데, 뷰파인더 배율은 0.72배이다. KE-7A는 M4를 베이스로 만들어진 카메라로 미국 정부에서 전쟁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라이카 본사에 특별 주문했으며 캐나다 미들랜드에서 제작이 되었다. 카메라 커버를 제켜보면 U.S 이니셜과 제품주문번호, 그리고 Federal Stock Number가 새겨져 있는데, 실제 생산량이 미국 정부에서 주문한 양보다 훨씬 넘어섰기 때문에, 남아도는 카메라들은 Leitz 배급처로 넘어가서 일반인들에게 판매되었다. 1972년에 생산되기 시작하여 전 세계적으로 505대만이 생산되었고, 어떠한 날.. 2024. 12. 6.
Retina Automatic III (Type 039, 1961년~1963년) Retina Automatic lll Type 039 Type 032와 거의 비슷한 연동 레인지파인더 카메라이다. 후기 생산모델은 보다 큰 셀레니움 미터셀을 가졌다. Retina-Xenar f2.8/45mm에 COMPURAUTOMAT 셔터를 가지고 있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타입35mm Rangefinder셔터Compur셔터 스피드1/30, 1/60, 1/250, 1/500노출Shutter Priority Automatic, Manual뷰파인더Bright Line, parallax correction marks크기/무게약 125×95×62 mm 2024. 12. 4.
Retina Automatic II (Type 032, 1960년~1963년) Retina Automatic ll Type 032 외관은 Type 038과 비슷하나 감도 세팅다이얼이 셔터하우징으로 이동되고 그 자리를 노출계 판독창(read-out window)이 대신했다. 콤파 오토매틱셔터는 자동적으로 f-스톱을 선택하며 수동도 가능하다. 불충분한 광량에서는 "STOP" 경고신호가 뷰파인더에 보인다. 레인지파인더가 아니며 3개의 점으로 표시된 존포커싱용 클릭스톱이 있다.  후기 생산분은 보다 큰 셀레니움 측광셀을 가졌다. Retina-Xenar f2.8/45mm렌즈에 COMPURAUTOMAT 셔터이다. 2024. 12. 4.
Retina Automatic I (Type 038, 1960년~1963년) Retina Automatic l Type 038 "V"형의 렌즈/셔터판 옆의 몸체에 셔터릴리즈가 있는 리지드 바디 카메라이다. 자동노출 기능의 셀레니움 노출계가 있고 불충분한 광량에서는 "STOP"이란 경고가 뷰파인더에 표시된다. B와 X-싱크로에서는 f-스톱 수동조절이 가능하다. 레인지파인더가 아니며 점으로 표시된 존포커싱(zone focusing)용 클릭스톱이 있다. 대형 셀레니움셀 노출계가 부착되고 감도 세팅다이얼이 노출계창 바로 위에 있다.  Retina-Reomar f2.8/45mm 렌즈에 PRONTOR-S 셔터이다.      Specifications제품사양카메라 타입35mm 레인지파인더 카메라렌즈Schneider-Kreuznach Retina-Reomar f/2.8, 45mm셔터Compur.. 2024. 12. 3.
Alpa reflex I (1944년~1945년) Alpa reflex l 2차대전이 스위스 주변국을 휩쓰는 동안 비반사형 뷰파인더의 알파 스탠다드 외에 최초의 시리즈인 알파 리플렉스를 생산했다. 볼카와 유사한 반사형이나 수정된 렌즈 베이요넷 마운트를 채용하고 있다. 마운트위에 여전히 RF커플링 존재한다.삽입식 마운트에 앙제닉스(Angenieux) f2.9/50mm 렌즈를 채용하고 있다. 1990년대 전반에 약 30대의 알파 리플렉스 카메라가 오래된 스페어 부품으로 조립되어 시장에 나왔으나 전문수집가들에게 외면을 받았다. 이유는 가짜 알파 렌즈가 정품과는 상당히 달랐기 때문이다. 2024. 12. 3.
Military Leica M1 Olive Military Leica M1 Olive (舊)서독 군용으로 보급된 라이카 올리브 도장의 M1 카메라이다. 색은 그린 계열의 올리브 도장이다. 일반 카메라와 다르게 올리브 계열의 도장을 선택한 것은 녹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파인더 프레임은 50mm와 일반 모델에는 없는 135mm 프레임을 내장하고 있다. 파인더 채광창은 M3와 같은 판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 일반 M1 같이 13mm 프레임은 없고, M2와 같은 파도형의 채광창을 쓴 군용모델도 존재한다. 특이한 것은 이 모델의 상판인데 라이카 MP와 같은 상판이다. MP에서의 상판은 M2의 채광창을 판유리로 바꾼 것이지만, 그 원래의 틀은 M3의 것이다. 그리고 필름 표시창은 M2의 것이다. 오리브 M1은 이것에 가깝다 할 수 있다. 따라.. 2024. 12. 2.
Military Leica M2 Gray Military Leica M2 Gray M2 Gray는 군용 M형 Leica 중에서도 중고시장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희귀한 카메라이다. 기록에 의하면 전세계 20대밖에 존재하지 않는 카메라라고 한다. 소위 환상의 라이카라 불릴만 하다. 그렇기 때문에 실물을 본 Leica 팬은 극히 드물지 않을까 싶다. M2 Gray에 도장된 Gray색은 전쟁전의 Luftwaffen Ⅲc Gray와 가깝지만 엄밀히 따지자면 조금더 어두운 Blue-Gray라는 것이다. 재미있는 것은 제조대수가 워낙적기 때문에 색견본이 없고, 실물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재도색한 물건은 오리지날과 다른 색배합으로 되어있다.  일반모델과 다른 기능상 특징은 135mm 화각 프레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구)서독군용이긴 하나 뒷면에 .. 2024.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