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 Cinema

가장 왼쪽에서 가장 아래쪽까지...

by 淸風明月 2011. 3. 2.
반응형

책 한권의 여유 No. 10

가장 왼쪽에서 가장 아래쪽까지

이번에는 김규항이다. 전문 인터뷰어 지승호가 만나 이는 다름아닌 김규항이다. 우리 사회 전반에 대한 신랄한 발언과 글쓰기를 행하고 있는 그이다. 지금은 어린이 인문교양지인 "고래가 그랬어요"의 발행인으로 활동 하고 있다. 김규항의 시선은 항상 일정흐름이 있다. "이명박 정부 반대"를 외치는 이른바 '진보/개혁세력'에게 '내안의 이명박'을 물으며 그것을 비판하는 급진적 좌파에게는 '자신을 되돌아보는 치유와 영성'을 물어본다.

"지난 10년을 돌아보면 나도 자유주의자와 갈등이 많았어요. 그런 게 없었다면 모든 게 좀더 원만했을 겁니다. 페미니즘 논란도 그렇고, 박원순 씨나 시민단체와 갈등도 그렇고, 결국 그런 갈등이었죠. 나도 조·중·동 욕하고, 수구 세력하고 싸우고, 촛불 집회 때 이명박 정권만 욕했다면 <고래가 그랬어> 독자들도 많이 늘어났을 거에요. (웃음) 나도 훨씬 더 살기 편했을 테고, 괜스레 오해나 받고 순혈주의자라는 비아냥거림이나 듣고. 이게 다 예수 탓이죠. 내 팔자야. (웃음)"

그러나 "후회하느냐"는 질문에 김규항은 "천만에요"라고 답한다. 이 책에서도 그는 몇몇 진보적, 혹은 개혁적 인사들이 보면 얼굴이 붉어질 비판을 서슴없이 내놓는다. "개혁, 즉 가짜 진보를 통해서 사람들을 최대한 미혹해야 하는 체제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문제가 명료해집니다. 일단 출신이랄까, 이미지랄까 하는 것들이 절대 보수로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동시에 보수와 갈등하고 싸우는 진보적인 모습도 필요하겠죠. 바로 민주화 운동 세력입니다. 정치적 민주화를 좇는 사람들, 그러나 철저하게 자본주의 체제를 신봉하는 사람들, 김대중, 노무현, 유시민, 박원순 같은 분들이죠. 그들의 정치, 그들의 운동이 바로 가짜 진보인 개혁입니다 (…) 그분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는 것과 별개로 그분들은 한국 자본주의 체제의 가장 중요한 수호자들이죠."

"정치화 민주화 이후엔 군사 독재가 아니라 자본의 독재가 가장 주요한 문제가 되었는데도 여전히 군사 독재와의 싸움의 틀에 사람들을 묶어놓는 게 문제인 거죠. (…) 정리하자면 군사 독재가 아니라 군사 독재풍의 신자유주의가 존재하는 것이고 그걸 한 쪽에선 진보풍의 신자유주의 세력이 보완하는 겁니다."

이 책은 머무르지 않으며 한발 더 나아간다. 진보적 인텔리들에게 이명박 정부야 말로 가장 구미에 맞는 상대가 아니냐고 되묻는다. 대부분의 진보주의자들은 신자유주의와 같은 본질과의 싸움을 하고 싶지 않은 것이라고 단정 짓는다. 또한 진보적인 사람이라면 꿈이 있어야 하는데 한국의 진보 인텔리들에게는 굼이 없다고 다그친다. 꿈이 없으니 현실에서 상대적인 진보성에 자구 집착한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명박 정권은 진짜 끝내주는 적이라는 것이다. 신자유주의와 싸운다고 하면 불편하고 감당도 안 되지만, 이명박 정권은 비현실적이라 할만큼 오늘의 진보적 인텔리들의 구미에 딱 맞는 상대라는 것이다. 마음껏 젊은 시절처럼 비장하고 순정한 얼굴로 함성을 지를 수 있는 적이라는 것이다.

이 책은 단지 진보 인텔리에 대한 비판에서 그치지 않는다 그렇다면 대중은 다른가? 이명박 정부 앞에 '촛불 집회'를 벌이고 광화문 일대를 축제의 장으로 만들었던 보통 사람들은 다른가. 그렇지 않다. 살인적인 학벌 경쟁에서 보이듯 이 죽음의 레이스를 달리고 있는 것은 바로 대중 그 자신이라고 말한다. 김규항은 "신자유주의가 참 무섭다"며 이렇게 탄식한다.

"반세기 동안의 포악한 극우 독재가 사람들을 무릎 꿇게 했지만 정신이나 영혼까지 망가뜨리진 못했어요. 그러니까 정치적 민주화도 되었다고 봐요. 그런데 이놈의 신자유주의는 불과 10년에서 20년 사이에 사람들의 영혼을 완전히 망가뜨렸어요. 남보다 많이 갖거나 보통 사람들과 격차를 벌이는 것에 대해 기뻐하는 사고방식이 이제 더 이상 탐욕스러운 지배 계급만의 사고방식은 아니잖아요. 서민 대중의 사고방식이자, 농민의 사고방식이자, 노동자의 사고방식이 되어 버린 겁니다. 말 그대로 멸망의 밤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 안의 이명박'이라는 딜레마를 가장 극명하게 확인하는 곳이라면 바로 '교육'이다. 이른바 진보·개혁 진영 내에서도 어디서나 '내 아이를 뒤쳐지게 할 수는 없지 않느냐'는 변명을 들을 수 있다. 김규항은 "(촛불 집회에서) '쥐박이 물러나라, 쥐박이가 우리 아이들 다 죽인다'고 외치다가 자정쯤 돼 아이에게 전화해서 학원 다녀왔는지 확인하는 게 희망을 발견한 건가요? 현실이 어쩔 수 없지 않느냐고 말할 거면 왜 이명박 정권을 욕해요? 현실은 이명박 정권이 최선이라고 정직하게 말해야 하는 거죠"라고 꼬집는다.

"기점을 잡자면 1997년 IMF 사태라고 할 수 있을 텐데요. (…) 내가 생존 위기에 빠지면 사회도 국가도 구해주지 않는다는 생존 공포는 '내 새끼의 생존'에서 더욱 극단화되었어요. 너도나도 할 것없이 아이 교육 문제에 올인하게 된 거죠. 교육 문제라고 말들 하지만 실은 생존 공포죠." '생존 공포'와 '경쟁 만능주의'에 사로잡힌 한국, 피할 수 없이 격화된 교육열, 그 해법은 무엇일까. 김규항도 무릎을 칠 만한 대안을 내놓지는 않는다. 당연한 일이기도 한 것은 그 해법이란 바깥에서 찾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