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딥시크 (DeepSeek)
지난달 20일에 공개된 중국의 인공지능 챗봇이다. 2015년에 설립된 중국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에서 제작됐다. 2023년 하이플라이어의 대표 량원펑은 중국 항저우에서 딥시크를 창립했고 이듬해 첫 대규모 AI 언어모델을 출시했다. 현재 딥시크의 구동 모델은 R1이다. R1은 수학, 코딩, 자연어 추론에서 오픈AI의 O1 모델에 필적한 성능을 보인다. R1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오픈소스 모델인 약 670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다. R1이 오픈AI의 모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장에 공개되면서 저비용 고성능 AI의 선두 주자로 거론되고 있다.
중국발 인공지능 챗봇이 등장하면서 미국의 AI 기업의 주가와 증시는 일제히 떨어졌다. 지난달 27일 인공지능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의 주가는 17% 폭락했다. 빅테크 기업의 주가 폭락으로 뉴욕증시에서 나스닥과 S&P500도 급락했다. 딥시크의 등장으로 인해 미국 정부가 중국의 기술 패권을 저지하려는 노력이 과연 실효성이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다.
관련 뉴스
반응형
'알기 쉬운 시사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셰어런팅 (Sharenting) (1) | 2025.02.06 |
---|---|
토핑경제 (0) | 2025.02.06 |
부동항 (不凍港) (0) | 2024.06.23 |
광고총량제 (0) | 2024.06.23 |
가격 차별 (Price Discrimination, Price Differentiation) (1)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