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주주로부터 증자납입금을 직접 징수하는 증자를 말한다. 유상증자의 형태에는 다음 3가지가 있다. ①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주어서, 이들로부터 신주주를 모집하는 주주할당방법, ② 회사의 임원·종업원·거래선 등 연고관계에 있는 자에게 신주인수권을 주어서 신주를 인수시키는 제3자할당방법, ③ 신주인수권을 준다는 행위가 아니라 널리 일반으로부터 주주를 모집하는 방법 등이다. 최근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의 조카사위 부부 회사가 대주주로 있는 스마트 저축은행이 잇따라 유상증자를 실시해 관심을 끈다. 스마트저축은행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15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지난 9월 11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유상증자는 제3자 배정방식으로 이뤄지며 스마트저축은행의 최대주주인 대유신소재와 주요주주인 대유에이텍이 각각 7억5000만원씩 투자한다. 스마트저축은행은 지난 6월에도 유상증자를 실시해 대유에이텍이 15억원의 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넉 달 사이에 대주주로부터 30억원을 긴급 수혈 받는 셈이다. 스마트저축은행의 자기자본(3월말 기준)이 106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작은 액수가 아니다.
반응형
'알기 쉬운 시사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화안정증권 (0) | 2012.10.15 |
---|---|
환매조건부매도 (RP , Repurchase Agreement) (0) | 2012.10.15 |
사후매수죄 (0) | 2012.10.15 |
법정관리 (0) | 2012.09.29 |
다운계약서 (0) | 2012.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