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정치학원론] 정치학의 연구방법

by 淸風明月 2022. 10. 12.
반응형

1  정치학의 연구방법 

 

1. 전통적 방법1950년 이후를 현대정치학, 이전을 전통주의 방법이라고 한다. 행태주의(Behavioralism) 이전을 전통정치학이라고 한다.

 

가. 철학적-규범적 방법(philosphic-normaltive)

(1) 정치의 본질이나 현상을 형이상학적?철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설명

(2) 당위(sollen, ought to be)방법과 수단강구

(3) 공동체 형성의 선, 정의?자유?평등?인권 등을 실현하는 수단

나. 역사적-기술적 방법(historical-descriptive)

(1) 어떤 사건이나 사태들을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여 기술

(2) 주관적 가치판단이나 편견을 배제

다. 제도적-법적 방법(institutional-regulative)

(1) 제도나 법적조문에 연구에 한정

(2) 국가의 헌법기구, 정부기구 활동 등에 대한 연구에 초점

(3) 정치행위에 대한 관심 배제

 

2. 행태주의(Behavioralism) 1930년 생물학, 식물학에서 기원, 정치학에 적용된 시점은 1950년대

 

가. David Easton의 행태주의의 개념

근대경험과학에 기초해서 정치현상을 바라볼 때, 경험적 측면에 대해 설명을 시도하는 하나의 개념적 틀이자 분석적 방법이다. 정치분석의 수준을 인간 및 그 행태(행동의 양태)에 두고 있다. 개인과 개인의 행태나 태도, 정서, 무의식적인 동기, 욕구, 다른 개인들과의 관계 등이 정치분석의 중심적 대상이다. 검증될 수 없는 사변에 대해 반대한다. 직관이나 가치판단보다는 사실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fact - value free(가치중립, 몰가치적)

fact은 what to be (X)

what ought to be은 정치철학

 

3. David Easton의 행태주의 주요 특징 8가지

 

① 규칙성(regularity) : 정치활동에 있어서는 규칙적인 행태적 양상들이 존재하여 이들에 대한 관찰과 분석이 가능하고 미래의 행태를 예측하기

위한 일반화(generalization)나 이론(theory)의 근거

② 검증성(verification) : 일반화가 타당성이나 유용성을 갖기 위해서는 관찰할 수 있는 구조물이나 행태들에 의거하여 시험될 수 있어야 한다.

③ 기법(technique) : computer의 발전과 관계있다. 사실과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위한 일정한 기법의 필요

④ 계량화(quantification) : 정치현실이나 정치형태 및 태도 등은 측정과 분류가 가능하고 계량화와 비교도 가능해야 한다. 수학/통계적 방법에

의존 증대

⑤ 가치중립성(value-free) :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학문의 즐거움만 추구 / fact와 value를 구별(논란의 대상)

⑥ 체계화(systematization) : 이론의 뒷받침이 없는 연구나 자료는 無用

⑦ 순수과학(pure science) : 정치에 대한 연구를 순수하게 접근, 실험실 형태의 학문분야에 한정

⑧ 종합적 연구(integration and interdiscriplinary approach) : 사회과학의 통합을 강조, 다른 과학과 호환이 가능

 

4. 후기 행태주의

행태주의는 유효하나 행태주의의 반성에서 출발한다. 월남전에 대해 정치학이 기여한 것이 없다는 인식과 fact-value, value-free의 문제이다. 더불어 사회현상을 말할 때 objective 가 존재할까? 라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후기 행태주의는 intersubjective(간주관적)이며, 정치에 대한 가치판단 및 가치선호를 중시한다. 그러나 pseduo-scientist에 비판점이 있다.

 

5. 후기 행태주의의 특징

가. substance(실체)가 기법을 앞서야 하고 사회적 문제해결에 관심을 둠

나. 행태과학은 경험적 보수주의 이데올로기를 숨김, 현실 그 자체만 인정

다. 행태적 연구는 현실의 접촉을 저해하고 추상적 설명과 분석에 초점

라. ‘가치연구’가 중요(과학은 중립적일 수 없다)

마. 지식인들은 사회적, 역사적 책임을 가져야 함

바. 지식인들의 사회적 책임, 실천의지 강조

사. 지식의 정치화는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불가피

cf) 행태주의는 과학적 연구방법에만 그쳤다. 행태주의의 부정이나 비판으로 후기 행태주의가 시작된 것이 아니다.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고 방법론의 비판으로 나온 것이다. 과학적 방법을 필요로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