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 O N F I D E N T I A L SECTION 01 OF 07 SEOUL 001216
SIPDIS
SIPDIS
DEPARTMENT PLEASE PASS TO EAP A/S HILL AND EAP PDAS STEPHENS
E.O. 12958: DECL: 04/23/2017
TAGS: PREL PARM PGOV PINS MARR MCAP KS KN CH JA
SUBJECT: THE POLITICS OF ALLIANCE RELATIONS (3 OF 3)
REF: A. SEOUL 01211
B. SEOUL 01215
Classified By: CDA BILL STANTON. REASONS 1.4 (b/d)
1. (C) SUMMARY: This is the third and final cable in a series reporting on the politics of U.S.-ROK Alliance relations. Reftel A explored how the Republic of Korea views its security environment. Reftel B looked at how the U.S.-ROK Alliance fits with ROK security perspectives. This final report examines how Alliance issues are likely to play out during the 2007 ROK presidential election and beyond. Based on our discussions with Korean security experts, we think that Alliance issues are unlikely to be politicized during the election because U.S.-ROK relations are currently being viewed more favorably and are expected to improve further after the election. However, much will depend on progress in the Six-Party Talks. The level of understanding
between Washington and Seoul will also be more important than ever, as the U.S. military presence continues to transform
and Korean society continues to change. END SUMMARY
1.요약: 이는 미한 동맹의 정치학에 관한 일련의 연재물 가운데 세 번째이자 마지막이다. Reftel A는 한국이 주변 안보 환경을 어떻게 보는지를 탐색했다. Reftel B는 미한 동맹이 한국의 안보 관점과 어떻게 들어맞는지를 중점적으로 봤다.이번 리포트는 동맹 이슈가 2007년 한국 대선과 그 이후 어떻게 전개될 가능성이 큰 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남한의 안보 전문가들과 토의를 기반으로 할 때, 우리는 동맹 이슈들이 선거 기간 동안 정치화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왜냐면 미한 관계는 현재 좀 더 호의적으로 비춰지고 있고 선거 후에는 더 개선될 수 있다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것이 6자 회담의 진전 여부에 달려 있다. 워싱턴과 서울 사이의 상호 이해 정도는 지금까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이다. 주한미군의 존재가 계속해 변화하고 있고, 한국 사회가 계속해 변화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REPORT 3: CHANGES IN THE ALLIANCE
Domestic Economic Concerns Will Dominate Election
2. (C) Many of the South Korean security experts consulted for this series of reports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Korean politics. Their consensus opinion was that U.S.-ROK Alliance issues were unlikely to figure prominently in the 2007 ROK presidential campaign, despite their importance to the Republic's national security. They predicted the candidates would focus instead on domestic Korean economic issues, such as surging real estate prices in Seoul and the rise in South Korean unemployment. The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and reform of the South Korean educational system were also expected to figure prominently in the election. Education is the primary vehicle for upward-mo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while housing is a major status symbol, hence the importance of both to the electorate.
국내 경제 관심사가 선거를 좌우한다
2.연재 리포트에 자문해 준 많은 남한의 안보 전문가들은 남한의 정치와 관련해 광범위한 경험을 갖고 있다. 그들의 공통된 의견은 미국과 한국의 동맹 이슈는 2007년 대선에서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을 것 같다는 것이다. 한국의 국가 안보에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렇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대선 후보들이 대신 국내 경제문제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예상했다. 서울의 급등하는 부동산 가격과 실업률 증가 같은 문제가 그들이다. 미국과 한국의 FTA와 한국 교육 시스템의 개혁 또한 선거에서 두드러진 이유가 될 것이다. 교육은 한국 사회에서 상층으로 이동에 있어서 주요한 수단이다. 반면 주택은 주요한 신분의 상징이다. 그러므로 양자 모두 유권자들에게는 중요하다.
3. (C) Several experts we consulted pointed to the KORUS FTA as the issue most likely to generate controversy in the upcoming election. Soongsil University political science professor Kang Won-taek said it is an issue that tells a lot about a candidate's stance on several important fronts, including economics, nationalism and social welfare. Since the issue invites a debate on the benefits of globalization vs. the dangers of foreign influence, it also contains strong undertones of attitudes toward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If I were one of the ruling camp's presidential campaign staff, I would advise my candidate to use this issue as a means to stand out from the crowd by opposing the agreement," Professor Kang said.
3.예닐곱 명의 전문가들은 한미 FTA가 다가오는 선거에서 논란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숭실대학교 정치학과의 강원택 교수는 FTA는 몇몇 중요한 대립지점에서 후보들의 스탠스에 대한 많은 걸 보여주는 이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와 국가주의 사회 안전망 같은 이슈가 이에 포함된다. FTA 문제는 국제화의 수혜와 외국의 영향력으로 인한 위험이 맞붙는 토론을 야기하기 때문에 미국과 관계에 있어 조용하지만 강력하게 후보들의 자세를 보여주게 된다. “내가 만약 여당의 후보의 선거 캠프 가운데 한 사람이라면 나는 후보에게 FTA에 반대함으로써 우뚝 두각을 나타내는데 이 무제를 활용하라고 자문하고 싶다”고 강 교수는 말했다.
The Alliance Is Now Viewed More Favorably
SEOUL 00001216 002 OF 007
4. (C) In February, the USG negotiated an agreement with South Korea on a number of important Alliance issues through the Security Policy Initiative (SPI) process. That agreement, approved by Defense Secretary Gates and ROK Defense Minister Kim Jang-soo on February 23, resolved the contentious debate over the transition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to the Korean government. In exchange for acceding to the ROK preference to delay the transition until April 17, 2012,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ledged to accelerate the movement of U.S. Forces Korea (USFK) to a new headquarters in Pyongtaek, and to help transform the U.S. military presence on the peninsula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Yongsan relocation and land partnership plans (YRP and LPP). The ROKG also agreed to work through the Status of Forces Agreement (SOFA) process to carry out the closure and return of 23 USFK camps in the ROK.
한미 동맹은 좀 호의적으로 비춰지고 있다
4.2월 미국 정부는 안보정책 이니시어티브 과정을 통해 많은 중요 동맹 이슈들에 대해 남한과 합의했다. 2월 23일 국방장관 게이츠와 한국 국방장관 김장수가 승인한 합의는 전시작전권 이양에 대한 다툼을 해결했다. 2012년 4월 17일까지 이양을 늦추기로 한 한국의 뜻에 동의한 대가로 한국 정부는 주한미군이 평택의 새 본부로 이전을 촉진하기로 약속했다. 또 용산 기지 이전과 부지 파트너십을 통해 미군의 한반도 주둔 문제를 변화시키는데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 정부는 또한 주한미군 주둔협정 과정을 통해 23개 주한미군 캠프의 반환과 폐쇄를 이뤄나가기로 했다.
5. (C) These are all important elements in transforming the Alliance from its past Cold War construct into a healthier and more politically sustainable security partnership for the future. This will be accomplished by reducing our military footprint in Korea via a drawdown to 25,000 troops, moving our most visible military presence (USFK Headquarters) away from prime real estate in the center of Seoul once used by Japanese occupation forces, and constructing a new consolidated headquarters facility Southwest of Seoul, and building an improved logistical support hub in Daegu. The USG had already reached agreement with the ROKG to do all of the above several years ago. With the February 23 agreement, however, we now have a commitment to implementation and an understanding that we will proceed in a cooperative manner. If this good faith effort holds, it will represen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mplexion of the U.S.-ROK Alliance after four years of contentious negotiations. It
should also help to depoliticize Alliance issues during the remaining months of the ROK presidential election season, thereby making it less likely that "We" will become the issue in "Their" campaign.
5.과거 냉전시대에서 좀 더 건강하고 좀 더 정치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동맹관계를 변화시키는데 있어 이 모두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이는 미군을 2만5000명 수준으로 감축하는 과정을 거쳐 한국에서 우리 군대의 발자국을 줄이는 방식으로 성취될 수 있다. 또 우리의 가장 뚜렷한 주둔 존재(주한미군의 본부)를 서울의 한복판에 있는 부동산 요지로부터 이전시키는 것도 성취의 하나이다. 이 기지는 과거 일본 주둔군에 의해 사용됐다. 서울 남서부에 공고한 새로운 본부 시설을 건축하고 대구에 개선된 보급 중심기지를 세우는 것도 이러한 성취이다. 미국 정부는 이미 수년 전에 위에서 언급한 것들을 시행하기로 한국 정부와 합의했다. 그러나 2월 23일 합의로 우리는 시행에 매진할 수 있고 협조적인 방식으로 이런 문제들을 진전시킬 것이라는 이해를 하게 됐다. 이러한 믿음의 노력이 유지되면, 4년간의 치열한 협상 후에 미국과 한국의 동맹에서 괄목할만한 개선이 이뤄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또 대통령 선거가 있기까지 남은 기간 동안 동맹 문제를 탈정치화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럼으로써 “우리”가 “그들의” 선거에서 이슈화 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Further Improvement Expected Next Year...
6. (C) Those interviewed for this report agreed that after years of strained ties the U.S.-ROK Alliance had entered a new period of reconciliation. That upswing was clearly evident on April 2 when the U.S. and ROK reached agreement on the KORUS FTA. With one voice our interlocutors predicted that a more fundamental improvement would come after the election of a new ROK president at the end of this year. They also predicted that would be the case almost regardless of who won the election. Professor Kang of Soongsil University said that the independent views expressed by President Roh and others of the so-called "386 generation" had been a rite of passage for Korea that could be likened to similar sentiments that erupted in Japan fifteen years ago with publication of "The Japan That Can Say No." Seoul National University Vice Chancellor for International Affairs Dr. Lho Kyong-soo faults two generations of "uninformed liberals" who dominated South Korea's teachers unions. "They have done damage to the Alliance. I can understand why the United States feels disappointed and betrayed," Lho said. Dr. Kim Byung-kook, Director of the East-Asia Institute at Korea University, assessed that U.S.-ROK relations had survived a bad phase, but that Koreans from across the political spectrum believed President Roh had mishandled the Alliance. Because of this, politicians on both the left and the right want to be seen as preserving the Alliance, and so would not seek to politicize it in the election, Kim predicted.
내년에는 좀 더 개선이 예상된다
6.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들은 미국과 한국의 동맹관계가 수년 동안 꼬인 끝에 최근 새로운 화해의 시기에 접어들었다는데 동의했다. 관계 개선은 지난 4월 2일 한미 FTA에 합의했을 때 명백해졌다.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올해 말 대통령 선거 뒤에 더 나은 근본적인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들은 누가 대통령에 당선되든지 그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숭실대의 강교수는 노대통령과 386세대의 다른 사람들에 의해 표명된 독립적인 견해는 15년 전 “노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의 출판과 때를 맞춰 분출된 감성과 유사한 것으로 한국에게는 통과 의례라고 말했다. 서울대학교 국제관계대학의 부총장인 노경수는 한국 교원노조를 지배하고 있는 2세대에 걸친 “정보가 없는 리버럴”을 비난했다. “그들이 동맹에 해를 끼쳤다. 나는 미국이 왜 실망스럽다고, 배신당했다고 느꼈는지를 이해 할 수 있다”고 노는 말했다. 고려대학교 동아시아 연구소의 김병국 소장은 미국-한국 관계는 나쁜 시기를 지났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정파에 관계없이 한국인들은 노무현 대통령이 동맹 관계를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고 믿고 있다고 그는 말했다. 이 때문에 정치인들은 좌우 가릴 것 없이 동맹을 보호하려는 것으로 비춰지길 원한다고 지적했다. 그 같은 이유로 정치인들은 이번 선거에서 동맹 문제를 정치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김소장은 예견했다.
7. (C) Post also sees favorable prospects for improved relations with the next ROK administration. It is, however, a long way to election day in December. Furthermore, the degree to which Alliance issues may be politicized during the ROK presidential campaign will largely depend on which candidates emerge as the front runners. For example, the U.S. military presence in Korea is more likely to be used as a target by the left if the candidate on the right is Park Geun-hye. That is because they are likely to campaign against the record of her father, former strong man Park Chung-hee, who enjoyed close ties with the United States during his military rule. The success of such attacks will depend on various factors, and could even backfire as there
is significant nostalgia in Korea for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at occurred during Park's rule. On the other hand, economic rather than security issues will be more likely to dominate the campaign if Lee Myung-bok remains the leading Grand National Party (GNP) candidate. Lee, a former mayor of the city of Seoul, is best known for the notable accomplishments of his economic and administrative leadership. Both Park Geun-hye and Lee Myung-bok have voiced strong support for the U.S.-ROK Alliance.
7.차기 한국 행정부가 들어서면 한미 관계는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그러나 12월 선거까지는 길이 멀다. 게다가 선거 기간 동안 동맹 문제가 어느 선까지 정치화 될지는 어느 후보가 유력 주자로 나서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 예로 주한미군 주둔 문제는 박근혜가 우파의 후보가 된다면 좌파들에게는 타겟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더 크다. 이는 그녀의 아버지에 대한 기록을 비난하는 선거전을 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박근혜의 아버지는 철권 통치자로 그의 군사통치 시절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즐겼다. 이런 류의 공세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존하게 될 것이고, 박정희 시대 이러진 급속한 경제 발전에 대한 한국인들의 향수가 상당하므로 역공격을 만날 수도 있다. 한편 이명박 후보가 한나라당의 주자가 된다면, 안보 문제 보다는 경제 문제가 선거를 지배할 수 있다. 전 서울 시장인 이명박은 경제와 행정분야의 리더십에서 눈에 띄는 성취를 이룬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박근혜와 이명박은 모두 미국과 한국의 동맹에 강한 지지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8. (C) In addition to predicting that Alliance relations will improve if either GNP candidate should win the presidency, many observers also believe that even the candidates from the left would take steps to improve Seoul's relations with Washington, aware as they are that the United States is the ROK's key political, economic and security partner. Or as Kookmin University professor Andrei Lankov put it: "Even South Korean liberals don't want a repeat of Roh."
8.동맹 관계가 한나라당 후보 가운데 누가 되든 개선될 것이라는 예상에 더해 많은 관측통들은 좌파 후보들 조차도 서울과 워싱턴의 관계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하고 나설 것이라고 믿고 있다. 왜냐면 이들은 미국이 한국의 핵심 정치, 경제, 안보 파트너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혹은 국민대학교의 안드레이 란코브 교수가 표현한대로: “남한의 리버럴들도 노무현의 재탕을 원치 않는다.”
...But Not As Much As Hoped
9. (C) That said, Professor Lankov and others we consulted have warned that the anticipated post-election improvement in
U.S.-ROK relations may end up being somewhat less than many might hope or expect. Lankov noted that the "Old Right" was
dying off in Korea. And while a "New Right" was emerging, its members were less likely than their predecessors to align squarely with U.S. policies. A recent indication of this was seen in attempts by some in the GNP to soften its hard-line policy approach toward North Korea. Dr. Choi Kang of the Institute for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IFANS) pointed out that while old guard GNP members still held the view that the Alliance should not change, the younger generation of conservative politicians currently gaining influence in the party tended to support the changes that were occurring. Several said the U.S. Government underestimated the political power of the left-wing "386 generation" and warned against similar underestimation of
changes on the right since today over 50%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is under 30 years of age. One expert advised that
Washington would better understand the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in Korea if it thought of newer generation Koreans
as nationalists, rather than as being on the left or the right, because they largely derived their support from calls for greater Korean strength and independence, rather than from the pursuit of outdated and largely discredited socialist or isolationist ideals.
그러나 희망한 만큼은 아니다
9.우리가 자문을 얻은 란코브와 다른 사람들은 선거 후 미국 한국 관계가 기대한 만큼의 개선이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란코프는 구 우파가 한국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뉴 라이트가 부상하고 있으며, 뉴 라이트 멤버들은 구 우파들보다도 미국의 정책에 보조를 덜 맞출 수 있다. 최근의 징후는 한나라 당의 강경 대북 정책을 누그러뜨리자는 일부의 시도에서 엿볼 수 있었다. 외교와 국가안보 연구소의 최강 박사는 한나라당의 구 우파 멤버들이 동맹은 변화하지 말아야 한다는 견해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당내에서 영향력을 얻고 있는 젊은 보수 정치인들은 이미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몇몇 사람들은 미국 정부가 좌파 386세대들의 힘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남한 인구의 50% 이상이 30세 이하이기 때문에 우파에서 변화도 비슷하게 과소평가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한 전문가는 워싱턴이 만약 한국의 신세대들을 좌파나 우파가 아닌 국가주의자들로 생각하고 있다면 한국의 정치 지형 변화를 좀 더 잘 이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왜냐면 국가주의 젊은이들은 사회주의 혹은 고립주의를 추구하지 않고 좀 더 큰 한국의 힘과 독립 요청에 대한 그들의 지지에서 대체로 파생돼 나왔기 때문이다.
Much Depends On Progress in the Six-Party Talks
10. (C) According to Professor Moon Chung-in, a key advisor to President Roh on Alliance issues, it wasn't the Hwy 56
accident that gave rise to anti-American sentiments in 2002. "That was only the match to the fuel," he said. According to
Moon and several other prominent Korean political experts, the "Axis of Evil" line in President Bush's 2002 State of the
Union address caused widespread concern among a large segment of the Korean public.
Anti-Americanism has never been prevalent in South Korean society, and is not now, Dr. Moon asserted. Nonetheless, strong reactions to certain aspects of U.S. foreign policy and specific policy-makers had occasionally given rise to "anti-USG" feelings. The opposite was now the case, he said. President Bush's stated desire to establish a permanen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U.S. decisions to resolve the BDA issue and negotiate directly with the DPRK have been greeted with widespread approval in Korea. As long as Koreans saw the United States as playing a constructive role in resolving the DPRK nuclear issue, he predicted that anti-U.S. sentiments would not be a factor in the ROK presidential campaign.
6자 회담의 진전에 많은 것이 달려 있다
10.동맹 문제에 대해 노무현 정부에 핵심 자문을 하고 있는 문정인 교수는 2002년 반미 감정을 불러 일으킨 것은 56번 고속도로에서 사고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 사고는 단지 연료에 불을 그은 것 뿐 이었다고 말했다. 문교수와 다른 유력 정치 전문가들에 따르면 2002년 부시 대통령의 연두 교서에서 “악의 축” 발언은 다수의 한국 국민들 사이에서 광범위한 우려를 자아내게 만들었다. 반미 감정은 한국 사회에서 널리 퍼져있던 적이 없었고, 지금도 아니다라고 문 박사는 주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대외 정책의 특정한 측면과 특정한 정책 입안자들에 대한 강한 반발은 종종 “반 미국 정부” 감정으로 나타난다. 지금은 그 반대 형태라고 그는 말했다. 한반도에 영구 평화를 정착시키려는 부시 대통령의 바람과 방코 델타 아시아 문제를 해결하고 북한과 직접 협상하려는 미국측의 결정은 한국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고 있다. 한국인들이 미국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건설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한 반미 감정은 대통령 선거에서 요인이 될 수 없다고 그는 예측했다.
11. (C) Hyun In-taek, Director of the Ilmin 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e and a foreign policy advisor to GNP presidential candidate Lee Myung-bak, agreed. He said the USG was "handling itself well in this election year, keeping alliance issues low-key and being supportive and understanding of Korea's situation." Kim Byung-kook of Korea University said the United States was currently doing "a very good job" of managing the Alliance, but emphasized that U.S. influence in the region could best be sustained by adopting "a softer power approach" in the region.
11.일민 국제관계연구소 소장이자 이명박 후보의 외교 자문위원인 현인택도 이에 동의했다. 그는 “미국 정부는 선거의 해에 스스로 잘 처신하고 있으며 동맹 문제를 조용히 그리고 한국에 대해 지지하면서 이해하는 방식으로 잘 유지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고려대학교의 김병국 교수는 현재 미국은 매우 동맹 문제를 잘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영향은 이 지역에 대한 “소프트 파워 접근법”을 택함으로써 최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nsight Is Key
12. (C) Soberingly, many of the Korean experts we consulted felt that the number of U.S. officials who truly understand Korean society today are far too few and too set in their ways. Professor Kim Tae-hyo, a political scientist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called on both countries to intensify their understanding of one another. Many of the Korea experts in the United States he claimed were actually more focused on Japan or China, with Korea as their "side job." At the same time, "Korea too lacks true U.S. expertise and suffers for it," Professor Kim opined. Others said American experts tended to rely too heavily on the views of largely U.S.-educated, English-speaking, pro-American interlocutors, and pointed out that such people are no longer calling the shots in Seoul.
통찰력이 핵심이다
12.많은 한국의 전문가들은 한국 사회를 진실로 잘 이해하는 미국 관리들의 숫자는 너무 적고, 또 너무 그들만의 방식으로 굳어져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성균관 대학의 정치학자인 김태효는 양국은 서로에 대한 이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요청했다. 그는 미국의 많은 한국 전문가들이 실제로는 중국과 일본에 집중하고 있으며 한국은 그들의 “부업”으로 여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한국 또한 진짜 미국 전문가가 드물고 이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고 김태효는 주장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미국 전문가들이 대체로 미국에서 교육받고 영어를 할 수 있으며 친미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들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또 그런 사람들은 더 이상 서울에서 발언권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13. (C) Many urged USG officials not to "over-react" to the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Korean society, pointing out that change is a part of the normal evolution of a new democracy. That should not be surprising, they said, because the United States has itself experienced similar phases in its evolution, including a period when "revisionism" became popular in American academic circles. They assured us that ROK political views are gradually maturing. The clear consensus was that Koreans still greatly value their security relationship, strong economic ties and close friendship with the United States. What they seek now is to develop a more broadly defined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that not only provides for continued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but also helps further integrate the ROK into international peace-keeping and disaster relief efforts that enhance Korea's image in the world. All those we spoke with were supportive of South Korea playing a more global role, although many Koreans they said worry about being dragged into conflicts not of their choosing.
13.많은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관리들이 한국 사회의 변화에 대해 과도하게 반응해서 안 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변화는 새로운 민주주의 정상적인 변화의 일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미국도 변혁되면서 그 같은 변화를 거쳤다며 놀랄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미국 학계에서도 한 때 일어났던 수정주의도 그 같은 변혁에 속한다. 한국의 전문가들은 한국 정치적 관점은 점차 성숙해질 것이라고 확신했다. 한국인들은 미국과 안보 관계와 강한 경제 연대, 그리고 밀접한 우호 관계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데 전문가들은 확실하게 동의했다. 그들이 모색하고 있는 것은 좀 더 광범위하게 정의된 미국과의 동맹으로 발전하는 것으로써, 동북아에서 지속적인 평화와 안정성만을 제공하는 게 아니라 국제적인 평화 유지와 재난 구호 노력에 동참함으로써 세계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고양시키는데 도움을 줘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와 얘기를 나눈 모든 전문가들은 한국이 보다 더 국제사회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지지했다. 많은 한국인들이 그들이 선택하지 않은 갈등에 끌려들어가는데 대해 우려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는 것이다.
14. (C) Dr. Kim Kyung-won, a former ROK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who is now a senior editorial writer for JoongAng-ilbo, believes the Alliance must transform as NATO transformed following the end of the Cold War. He said a centrist consensus was emerging in Korea that the U.S.-ROK Alliance needed to change and was strong enough to endure such change without damaging the security posture vis--vis the North Korean threat. He cautioned, however, that such changes needed to be done very carefully - "brick-by-brick" - so the Korean people did not feel the United States was forcing them into a new set of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r reducing its commitment to Korea.
14. 전 주미대사인 김경원은 현재 중앙일보의 수석 논설위원인데 한미 동맹 관계가 냉전 후 나토처럼 변화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그는 미국 한국 동맹이 변화할 필요가 있고, 안보 자세에 해를 끼치지 않고, 북한의 위협에 맞서 그 같은 변화를 이겨낼 만큼 충분히 강해야 한다는 중도주의자들의 합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그런 변화는 매우 조심스럽게 벽돌을 한 장 한 장 쌓듯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그래야 한국 국민들은 미국이 자신들에게 새로운 의무와 책임을 부과하거나 한국에 대한 책임을 줄여나가고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SERIES CONCLUSION
15. (C) More than fifteen Korean political and security experts were interviewed for this cable series. Post agrees with their consensus view that the outlook for the U.S.-ROK Alliance is positive, and that rumors of its imminent demise were greatly exaggerated. On the contrary, two million Koreans currently live and work in the United States. A large percentage of Korean households (and an even larger percentage of Korean government officials) have immediate family members and/or relatives visiting, studying or living in the States. U.S. ICE has recently reported that the ROK now has the more students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studying at American schools. American ways are a part of Korean life, and the average Korean likes Americans and fully understands the need for a continuing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시리즈 결론
15.15명 이상의 정치 안보 전문가들을 이번 시리즈를 위해 인터뷰 했다. 우리는 미국과 한국의 동맹은 긍정적이고 파산이 임박했다는 소문은 과장된 것이라는 그들의 합의적 관점에 대해 동의한다. 한편 200만 명의 한국인들이 현재 미국에서 거주하거나 일한다. 한국 가구 가운데 많은 비율(한국 관리들은 더 많은 비율)이 미국을 방문 중이거나 공부하거나 미국에서 살고 있는 직계 가족이나 친척들을 두고 있다. 미국 이민국은 최근 미국 학교에서 공부하는 한국 학생들이 어느 다른 나라 출신보다 많다고 보고 했다. 미국 방식은 한국 삶의 일부분이며 보통 한국인들은 미국인들을 좋아하고 미국과 동맹을 계속할 필요성을 이해한다.
16. (C) Nonetheless, South Korea is a country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 Like all democracies, it has a political pendulum that swings right and left. We believe it is currently poised to swing back toward the center, perhaps even the center-right, by 2008. While that will make Alliance maintenance easier, it is important to visualize that pendulum as sitting atop a railroad car that is moving down the tracks toward the Korean future, and not necessarily going all the way in our direction. In short, Koreans want a close continuing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but now prefer it be a partnership in which they too more often get their way.
16.그럼에도 불구하고, 남한은 현저한 변화를 겪고 있는 나라이다.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남한은 좌우로 왔다 갔다 하는 정치적 변화의 추를 갖고 있다. 우리는 현재 한국이 중도로 회귀하고 있다고 믿는다. 아마도 2008년쯤에는 중도 우파로 갈 수도 있다. 이는 동맹 유지를 손쉽게 하는 한편, 좌우로 움직이는 추가 기차의 꼭대기에서 한국의 미래를 향해 트랙을 따라 움직이는 장면을 상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움직임은 꼭 우리가 원하는 방향이 아닐 수도 있다. 요약하자면, 한국인들은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원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인들은 너무 자주 그들만의 방식으로 파트너십이 이뤄지길 선호하고 있다.
17. (C) The ROK military is also undergoing a significant period of modernization, but politically-speaking is not equipped to single-handedly counter the North Korean military threat, especially now that Pyongyang has developed nuclear weapons. Even if the National Assembly chooses to fund the approximately 9 percent annual increases in ROK defense spending called for in the DR 2020 plan, the South Korean military will be smallest in Northeast Asia. The ROK will thus continue to need its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for many years, perhaps even decades, to come. Most Koreans understand this and are comfortable with that state of affairs.
17.한국군 또한 중대한 현대화를 겪고 있다. 정치적인 수사는 북한 군의 위협을 한 손으로 손쉽게 막을 수 있도록 돼 있지 않다. 특히 평양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다. 국회가 DR 2020에 맞춰 한국 국방비 지출을 매년 대략 9%씩 늘려가기로 결정한다 해도, 한국군은 동북아에서는 가장 작은 규모일 것이다. 한국은 그러므로 계속해서 미국과 동맹할 필요가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아마도 향후 수십 년간 그럴 것이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이를 이해하고 있고, 사안의 그런 점에 대해 친숙하다.
18. (C) So what will the Alliance look like in 2020? The composite view of those we consulted is that there will be a new U.S. Embassy facility in Seoul. More American business people will be working throughout the Korean economy as a result of more open markets and an expansion in free trade under the KORUS FTA. A robust American air and naval presence will remain in and around the peninsula, but there will be fewer American soldiers stationed on Korean soil. This will be possible because by working with other powerful partners on the right side of history, the Alliance will have succeeded in preventing a dying North Korean regime from spoiling the hard fought peace and prosperity that are so deeply valued by the peoples of the region. In such a bright future, the United States would be seen by the South Korean people less as a convenient punching bag, and more as a partner in peace. END CONCLUSION.
18.2020년에 동맹은 어떨까. 우리가 자문을 구한 이들의 복합적인 견해는 서울에 새로운 미국 대사관 시설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었다. 좀 더 개방된 시장과 한미 FTA에 따른 교류 확대로 한국 경제 전반에 걸쳐 좀 더 많은 미국인 사업가들이 일을 하게 될 것이다. 강력한 미국의 공군력과 해군력의 존재는 한반도 안과 주변에서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한국 땅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숫자는 적어질 것이다. 이는 역사에서 옳은 측에서 선 다른 강력한 파트너들과 협조를 함으로써 동맹이 죽어가는 북한 정권이 어렵게 얻은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망가뜨리지 못하도록 하는데 성공할 것이기 때문에 가능할 것이다. 이 평화와 번영은 이 지역의 국민들 사이에서 대단한 가치로 평가로 되고 있다. 그 같은 밝은 미래에서, 미국은 한국 국민들에게 손쉬운 펀치백으로 덜 여겨질 것이고, 평화의 파트너로 보다 각인될 것이다.
List of Experts
전문가 명단
19. (SBU) The following political and security policy experts participated in interviews for this series of reports:
19.다음은 이번 시리즈를 위해 인터뷰한 정치와 안보 정책 전문가들이다.
1. Dr. Lee Hong-koo, Former Prime Minister and ROK Ambassador to the U.S. Current Chair Seoul Forum for International Affairs and advisor to JoongAng-Ilbo.
2. Dr. Yoon Young-kwan, Former Foreign Minister. Current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3. Dr. Moon Chung-in, Former Chair of Presidential Committee on East Asia Regional Issues. Current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and Ambassador-at-large for International Security Affairs.
4. Dr. Kim Sung-han, Professor and Director General for American Studies at Institute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IFANS).
5. Dr. Kim Byung-kook,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Korea University and Director of the East-Asia Institute.
6. Dr. Kim Kyung-won, Former Ambassador to the U.S. Current JoongAng-Ilbo senior editorial writer.
7. Dr. Park Se-il, Former GNP lawmaker. Current professo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8. Dr. Lho Kyong-soo, Professor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Dean of the 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9. Dr. Kim Tae-hyo,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Sungkyunkwan University.
10. Dr. Kim Geun-sik,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Kyungnam University.
11. Dr. Andrei Lankov, Professor of History at Kookmin University.
12. Dr. Jeong Se-hyun, Former Unification Minister. Current professor at Ewha University and Chair of the Korean Council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KCRC).
13. Dr. Kim Yeon-chul, Research professor, Institute for Asian Issues, Korea University.
14. Dr. Jeon Bong-keun, Professor at Institute of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IFANS).
15. Dr. Kang Won-taek,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Soongsil University.
16. Dr. Hyun In-taek, Director Ilmin 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e and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Korea University.
STANTON
반응형
'WikiLeaks 한국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SEOUL1361] 손학규, 지지율 끌어올리려고 방북 계획 (0) | 2011.11.18 |
---|---|
[07SEOUL1327] 폴슨 재무장관, 3월에 방한 (0) | 2011.11.18 |
[07SEOUL1203] 대선캠프들, 한국 젊은층에 어떻게 다가가는가 (0) | 2011.11.17 |
[07SEOUL1151] 노무현 대통령 최측근 안희정, 북한관료들과 회동 (0) | 2011.11.17 |
[07SEOUL1112] 리처드슨 주지사와 프린시피 재향군인부 장관 방한 (0) | 2011.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