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념우표10

1회 총선거 기념우표 5종 (1948년) 1회 총선거 기념우표 5종1948년에 실시된 5.10 총선거를 기념하여 제작된 우표이다. 제1회 총선거 기념 우표로 남녀가 함께 투표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광복 이후 미군이 남한에 소련은 북한에 머무르게 되면서 남한과 북한은 하나의 정부 수립을 위한 국회의원을 뽑을 수 없었다. 5.10 총선거는 유엔의 결의에 따라 남한에서만 이루어졌다. 이 선거에서 사람들은 처음으로 투표를 통해 주권을 행사하였다. 2024. 6. 19.
조-미간 우편물 교환사무 재개 기념우표 (1946년) 광복 후 국제 우편업무 취급은 "조미간 우편물교환재개/朝美間郵便物交換再開" 약정이 체결되므로 인해 1946.7.4 부터 실시됨. 그러나 이를 기념하는 기념우표가 1946. 09. 09 발행되어 09월 09일을 국제우편 개시일로 착각할 수 있음. 명칭상 "조미간 우편물교환재개"인데. "우편물교환재개"라는 것은, 이미 "우편물교환협정"이 체결되어 있었으나 중지된 상태에서 다시 우편물교환을 시작한다는 의미임. 우리나라 최초 국제우편업무 개시는 1900. 01. 01. 그러나 이는 외형적일 뿐 독자적으로 이루어진 국제우편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실제 해외체송은 일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당시 우리나라는 국제간 체송을 연결할 수 있는 우편선 보유 및 운영 능력이 없어 일본체신성 제안에 의해 일본우편국을 .. 2024. 6. 19.
해방 기념우표 6종 (1946년) 1946년 해방기념으로 발행된 우표. 2024. 6. 19.
고종 어극 40년 기념우표 (1902년) 우리나라 최초의 기념우표로 고종황제 즉위 4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한 우표.발행일 : 1902년 10월 18일액면가 : 3전(錢) 1902년(광무 6) 10월 고종 황제 어극(御極) 40년을 기념하여 발행된 우표로 대한제국전환국(大韓帝國典圜國)에서 인쇄되었다. 종이에 우표가 붙여진 형태. 우표 도안은 중앙에 황제를 상징하는 통천관(通天冠)이 있고, 그 주위에 마름모꼴 띠를 둘러 네 귀퉁이를 오얏꽃무늬로 장식함. 마름모꼴 띠에는 '大皇帝陛下', '御極四十秊慶祝', 'XL.ANN.JUBILÉ', 'D’AVÉNEMENT'이 각각 인쇄되어 있음. 2024. 5. 30.
1959년 3.1절 제40주년 기념우표 & 시트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지배에 저항하여 전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을 기념하는 우표이다. 발행일 : 1959년 3월 1일 2024. 1. 23.
국회 개원 기념우표 (1948년) 1948년 초대 국회의 문을 연 것을 기념하여 제작된 우표이다. 1948년 5월 10일 치뤄진 총선거로 국회의원을 뽑아 초대 국회를 구성하여 옛날 조선 총독부 청사에서 국회의 문을 열었다. 초대 국회는 우리나라 헌법을 만들고 대통령을 선출했다. 헌법은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독립정신을 계승하여 세워진 나라로 주권이 국민에게 있는 민주공화국임을 나타내었다. 2024. 1. 17.
헌법 공포 기념우표 (1948년) 1948년 7월 17일은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공포된 날이며, 대한민국 정부가 민주주의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헌법에 의한 통치를 실시하기로 선포한 날이다. 헌법 공포일을 7월 17일로 정한 이유는 과거와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조선왕조 건국일인 7월 17일에 맞추었으며, 이는 전제왕정국가에서 민주공화국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듬해 정부는 헌법의 제정 및 공포를 축하하기 위해 국경일로 지정하였다. 우리 역사상 최초의 헌법인 제헌헌법의 공포를 기념하기 위해 1948년 8월 1일 체신부에서 대한민국 헌법 공포 기념우표 2종을 발행하였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 우표는 각각 발행량이 50,000매로,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에서 인쇄를, 김영주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담당하.. 2024. 1. 17.
초대 대통령 취임 기념우표 (1948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우남(雩南), 초명은 승룡(承龍)이다. 1875년 3월 26일 황해도 평산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울로 이주 하였다. 외국에서 독립운동을 하고 조지워싱턴, 하버드대학교 등에서 공부를 하며, 1910년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45년 광복이 되고 국내에 귀국하여 독립촉성중앙협의회(獨立促成中央協議會)총재, 민주의원 의장 등을 지냈으며, 1948년 제헌국회의원에 당선되고 바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1960년까지 3대 대통령으로 재임하여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2024. 1. 17.
대한민국 정부수립 기념우표 2종 (1948년) 1948년 정부수립을 기념해 발행된 우표로 초판은 년, 월, 일 간의 아라비아 숫자가 재판보다 가늘고 작아 1948.8.15의 숫자가 좁혀져 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망과 함께 한국은 해방되었다. 그러나 즉시독립을 원하는 한국인들의 열망과 달리 한반도는 38선으로 분단되었고, 38선 이남은 미군, 이북은 소련군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미국과 소련은 자국의 전후 세계전략과 동아시아 정책에 근거해 남과 북에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나갔다. 미국과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연합동맹국으로서 협의를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1945년 12월 모스크바3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의 주된 결정사항은 한반도에 독립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이를 위해 미소공동위원회를 구성해 .. 2024. 1. 17.
유엔 한국위원회 환영 기념우표 (1949년) 유엔과 우리나라의 실질적인 인연은 유엔한국위원단이 1948년 총선거 참관을 위해 입국하면서부터 시작되었고, 남한 단독정부가 수립된 후 같은 해 12월 유엔총회는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 내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승인하였다. 2024.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