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본론2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2강 2 강: {자본론} 제1권 '서문'의 내용  1. 독일어 제1판 서문(맑스. 1867년 7월 25일)  1) 4쪽. "이 책에서 나의 연구대상은 자본주의적 생산방식 및 그것에 대응하는 생산관계와 교환관계다. 이 생산양식이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나라는 지금까지는 영국이다. 영국이 나의 이론전개에서 주요한 예증으로 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해설 >  가) 내가 '생산방식'이나 '생산양식'으로 번역한 것은 모두 mode of production이라는 용어다. 생산양식은 생산방식(예: 가내수공업, 공장제 수공업, 기계제 대공업)과 생산관계(예: 생산수단의 소유형태, 생산물의 처분형태, 생산과정에서 맺는 사람들의 위계적 질서) 및 교환관계(예: 노동생산물이 유통하는 형태, 상품형태, 화폐형태)를 포괄하는.. 2024. 6. 4.
[서평] 자본론 자본론 마르크스는 1818년 5월 5일 독일 서부 국경지대의 트리어(Trier)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변호사이었으므로 유복하고 교양있는 가정에서 자랐다. 대학에서 헤겔사상을 배우면서 정.반.합의 변증법을 유물론적으로 해석하려고 노력했으며, 프러시아 전제정치의 타도를 외쳤다. 23세에 예나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고 대학교수가 되기를 원했지만, 프러시아 정부는 마르크스와 같은 자유주의자에게는 교수직을 허락하지 않았다. 이리하여 󰡔라인신문󰡕에 참가해 편집인으로 되었지만, 이 신문도 정부에 의해 곧 폐간 당했다. 처음에는 급진적 자유주의자였지만, 빈민과 노동자의 상태에 관심을 가지면서 점차 공산주의자로 되었다. 파리에서 󰡔독불연보󰡕라는 좌파잡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평생의 동지인 엥겔스와 만나게 되었고, 이 .. 2023.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