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표9

한글 반포 500주년 기념우표 (1946년) 1946년에 발행한 한글 반포 500주년 기념 낱장(싱글) 우표. 액면가는 50전이다. 2024. 3. 21.
구한국 문위보통우표 5종 (1884년) 한국 최초 문위보통우표 1884년 11월 18일 발행. 구한국 우표는 1884년 4월 22일(음력3월 27일)국왕의 칙령으로 우정총국이 설치되고, 1884년 11월 18일(음력10월 1일) 역사적인 우정총국의 업무가 개시 되면서 만들어졌다. 문위우표는 당시 화폐단위가 문 이었기 때문에 붙여 진 이름이다. 문위우표는 우정총국 업무개시와 동시에 판매할 예정으로 일본 정부 인쇄국인 大日本帝國大藏省印刷局에 5문,10문,25문,50문,100문의 5종을 인쇄의뢰 하였으나 업무 개시일인 11월 18일까지 5문(五文)과 10문(十文)2종만 도착되어 서울(漢城)-인천(濟物浦)간에 사용되었을 뿐 나머지 25문과 50문, 100문은 우정총국 개국 기념 피로연을 계기로 일으킨 갑신정변(12월4일)의 실패로 우정총국이 폐쇄될 .. 2024. 3. 21.
1959년 3.1절 제40주년 기념우표 & 시트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지배에 저항하여 전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을 기념하는 우표이다. 발행일 : 1959년 3월 1일 2024. 1. 23.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기념우표 2종 1948년 8월 15일 발행된 대한민국 정부수립 기념우표. 액면가 5원 기념우표는무궁화가 디자인 되어있고 액면가 4원 기념우표는 새가 디자인 되어있다. 2024. 1. 22.
1947년 제1차 항공우표 1947년 발행된 제1차 항공우표로 액면가 50원. 비행기와 지구로 디자인되어 있다. 2024. 1. 22.
헌법 공포 기념우표 (1948년) 1948년 7월 17일은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공포된 날이며, 대한민국 정부가 민주주의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헌법에 의한 통치를 실시하기로 선포한 날이다. 헌법 공포일을 7월 17일로 정한 이유는 과거와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조선왕조 건국일인 7월 17일에 맞추었으며, 이는 전제왕정국가에서 민주공화국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듬해 정부는 헌법의 제정 및 공포를 축하하기 위해 국경일로 지정하였다. 우리 역사상 최초의 헌법인 제헌헌법의 공포를 기념하기 위해 1948년 8월 1일 체신부에서 대한민국 헌법 공포 기념우표 2종을 발행하였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 우표는 각각 발행량이 50,000매로,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에서 인쇄를, 김영주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담당하.. 2024. 1. 17.
초대 대통령 취임 기념우표 (1948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우남(雩南), 초명은 승룡(承龍)이다. 1875년 3월 26일 황해도 평산에서 태어나 어려서 서울로 이주 하였다. 외국에서 독립운동을 하고 조지워싱턴, 하버드대학교 등에서 공부를 하며, 1910년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45년 광복이 되고 국내에 귀국하여 독립촉성중앙협의회(獨立促成中央協議會)총재, 민주의원 의장 등을 지냈으며, 1948년 제헌국회의원에 당선되고 바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1960년까지 3대 대통령으로 재임하여 대통령직을 수행하였다. 2024. 1. 17.
대한민국 정부수립 기념우표 2종 (1948년) 1948년 정부수립을 기념해 발행된 우표로 초판은 년, 월, 일 간의 아라비아 숫자가 재판보다 가늘고 작아 1948.8.15의 숫자가 좁혀져 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패망과 함께 한국은 해방되었다. 그러나 즉시독립을 원하는 한국인들의 열망과 달리 한반도는 38선으로 분단되었고, 38선 이남은 미군, 이북은 소련군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 미국과 소련은 자국의 전후 세계전략과 동아시아 정책에 근거해 남과 북에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나갔다. 미국과 소련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연합동맹국으로서 협의를 통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1945년 12월 모스크바3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의 주된 결정사항은 한반도에 독립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이를 위해 미소공동위원회를 구성해 .. 2024. 1. 17.
유엔 한국위원회 환영 기념우표 (1949년) 유엔과 우리나라의 실질적인 인연은 유엔한국위원단이 1948년 총선거 참관을 위해 입국하면서부터 시작되었고, 남한 단독정부가 수립된 후 같은 해 12월 유엔총회는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 내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승인하였다. 2024.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