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정치사상] 순자 (荀子)

by 淸風明月 2022. 7. 17.
반응형

()

 

공자가 정치를 논했을 때 그는 행인(行仁)” 정명(正名)”을 지표로 삼았다.

맹자가 관심을 가진 것은 행인(行仁)이었고, 순자가 강조한 것은 정명(正名)이다.

()는 좁은의미는 의문형식(儀文形式)

넓은의미는 전장제도(典章制度)을 가르킨다.

 

순자의 정치사상은 예를 기초로 하고 있고, 성악설을 발전시켰다.

성악설은 욕망을 절제하기 위한 것이지, 욕심을 없애라는 것은 아니다. 공자가 말하기를 本性으로는 서로 가까우나, 습관(習慣)으로 서로 멀어진다.

 

성상근야, 습상원야(性相近也, 習相遠也)

 

순자는 사람이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고, 질투하고 미워하는 마음을 가지며, 또 귀와 눈에 욕망이 있어서 아름다운 소리와 빛깔을 좋아한다고 믿었다. 만일 이러한 것들이 제멋대로 자라도록 내버려두고 절제를 가하지 않는다면, 다투고 빼앗게 되며 인의를 손상하게 되고 또 음란한 행동이 뒤따라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반드시 주의해야 할 것은 순자가 를 논한 것은 욕심을 절제(節慾)하기 위한 것이었고 사람들로 하여금 욕심을 없애라(絶慾)고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서양에서는 philosphic Antropology 즉 인류학으로 발전시켰는데, 인간의 행동 이면의 본성에 대한 연구를 했다.>

 

순자는 사람은 무리를 이루어 산다고 했는데 사람은 이기적인 까닭에 집단생활시 2중의 곤란한 문제가 반드시 생긴다고 했다.

 

1) 개인의 권리가 확정되지 아니할 때

2) 개인의 의무가 확정되지 아니할 때

 

개인의 권리가 확정되지 아니할 때, 그가 물질적인 복지를 더 얻기 위하여 다투게 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개인의 의무가 확정되지 아니할 때, 그는 일을 게을리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사회적 분별을 분명하게 하는 를 만들고, 각자의 권리와 의무를 확정시키고 또 주지시키는 데 있다. 그렇게 되면 사회가 안정되고, 인민은 안락해진다는 것이다.”

 

집단생활시 2중의 곤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 예치(禮治)

 

순자는 예치에 대한 자신의 이상을 말하여 가로되, “덕은 반드시 직위와 일치하고, 직위는 반드시 봉록과 일치하고, 봉록은 반드시 쓰임과 일치한다.”

 

도식화하면,

반드시 덕()=직위(職位)

직위(職位)=봉록(俸祿)

봉록(俸祿)=쓰임() 과 일치한다.

 

고로 라는 것은 욕망을 바르게 기르는 것이다. 예자양야(禮者養也)

 

 

부국(富國)의 길

예로써 쓰는 것을 절약하고, 정치로써 백성을 넉넉하게 한다. 절용이예, 유민이정(節用以禮, 裕民以政)

전야(田野)에 대한 조세경감

관문과 시장에 대한 공평과세

상인의 수를 감축

부역경감

농사시간을 빼앗지 않는 것

맹자의 사상과 유사하다.

 

 

맹자와 다른 순자의 주장

재물유통(財物流通)상인의 수 감소와 모순됨, transportation의 발달, 그러나 수송망이 적고 알맞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허균과 실학사상과 관계가 있다.

 

 

신분제

상하이동이 강하고 직분에 따름,개인의 능력이 중요시 되고, 불평등한 가운데 평등하다.“비록 왕공이나 사대부의 자손이라도 예의에 합당하지 못하면 서민으로 돌려버리고, 비록 서민의 자손이라 하더라도 예의와 학문을 쌓고 몸을 바르게 행동하여 예의에 합치될 수 있다면 경상이나 사대부에 귀속시킨다.”

 

 

존군론(尊君論)

임금을 존중히 여김, 天無二日하늘에는 두 해가 없다.”

군주에 대해 논하기를

천지는 생명의 시작이고, 예의는 다스림의 시작이다.

는 예의 시작

군의 역할은 무리를 바르게 하는

() 와 난()도 군주 1에 전무하다.

군주는 분별의 핵심을 관장

 

 

 

 

- 치법과 치인(治法治人) -

치법(治法)은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협의로는 사법작용이다. 법은 송사를 심리하고 죄를 다스리는 법률의 조문

광의로는 정치를 행함이다. 정치를 행하고 백성을 질서있게 하는 제도이다.

 

치인(治人)의 의미

용인의 방법

은 마땅히 권력을 독점해야 하나 혼자는 다스릴 수 없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래서 좌우에 신임하는 써야한다. 여기에 편폐와 기장이 있다.

 

(1) 편폐; 총애하는 대신 혹은 측근자를 두는 것

(2) 기장; 원방의 소식을 듣고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문호와 창문이 되게 하며, 경상과 보좌관이 이를 수행했다. 오늘날에는 장관들이 이 일을 수행한다.

편폐가 없으면 문호가 막히기 때문에 정치를 할 수 없다.

 

권금의 방법

형벌은 죄를 넘지 않고, 작위는 받는 자의 덕을 넘지 아니하며, 그러므로 선한 자는 권장되고, 약한 자는 저지되도록 해야한다.

 

정명의 방법

왕도의 이름을 제정함은 이름이 정해지므로 사실이 분명해지고, 왕자의 도가 잘 행해지므로 그의 의사가 서로 통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백성은 신중하게 이끌어져서 통일될 수가 있는 것이다.

 

 

- ()과 인()의 구분 -

 

순자는 미신을 비판했는데, 경천을 미신으로 보았다.

하늘의 도는 멀고, 사람의 도는 가깝다. 먼 것에 우리가 미치지 못할진대, 어찌 알겠는가?” , 순자는 천명과 재이가 정치 및 인사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것은 맹자와 다른 관점이다.

 

사람은 그 자신의 다스릴 것이 있다. 인유기치(人有其治)

 

일식이나 월식이 있으면 사람들은 해와 달을 그것으로부터 구하려 하고, 한발(旱魃)이 생기면 사람들은 기우제(祈雨祭)를 지내고, 점을 쳐보고 난 후에야 큰일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을 얻을 줄 알고 그렇게 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의 장식으로 그러는 것이다.

 

여기서 순자는 기우제는 정치적 행위로 문화의 장식으로 보았다. 그리고 미신을 백성들은 초자연적으로 보고, 군자는 장식으로 안다라고 생각했다. 문화의 장식으로 생각하면 길하고, 초자연적인 신통력으로 알면 흉하다라고 했다.

 

순자정치사상.pdf
0.14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