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11강
2006 근대한국정치론: 11강 기독교 민족주의와 계몽주의(1) 자료: 웰스, 5-6장/ 영상자료: 평양 대부흥 운동(1907) 춘원의 민족개조론 5장 문화적 개조와 민족과 국가의 분리, 1920-1925 1920년대- 한국민족주의의 르네상스 자아개조 개신교- 안창호와 이광수 - 자유민주주의, 기독교 문명 신봉 - 시민적 도덕성, pluralism(다원주의) 3.1운동의 결과 기독교와 천도교의 동맹(연합) 이승훈, 길선주 이승만과 독립정신> 혁명적 사회주의 등장, 1922 초기 장로교 사회주의자- 이동휘, 여운형 한국내의 개혁과 저항, 1919-21 사이토의 제한적 개혁- “문화정치” 1920년대 국내 기독교계 일부는 상해임정에 가담- 현순, 김병조, 장붕 목사 등 평양- 대한국민회 재조..
2024. 6. 12.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5강
근대한국정치론 강의노트: 5강 3.1민족사회운동: 민중봉기와 시위의 3대 흐름 참고: 김용직 (1999) 사회운동으로 본 3.1운동 (5장) 과제: 3.1운동의 시위-봉기 사례 조사 (특성) (육하 원칙: A4 용지 4매 이하) 다음 주: 박성수, “3.1운동의 성격문제” 1. 민족사회운동(민족주의의 대중사회운동) 개념: 민족운동이 사회운동, 즉 대중적 차원의 운동양상으로 나타남. 형태- 봉기(uprising), 시위(protest), 파업(strike) (1)준비단계: 운동집단의 형성 해외민족(주의)운동단체- 신한청년당(상해), 동경유학생회, 대한인국민회 천도교단체- 손병희, 권동진, 최린, 오세창 기독교단체- 서북지방-길선주, 이승훈, 서울-박희도, 정춘수 학생단체- 이갑성, 강기덕, 한위건,..
2024. 6. 3.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3강
근대한국정치론: 3강 근대국가와 한국의 근대이행: 3.1운동과 복합적 이행 (서론) 1. 동아시아 근대성에 대한 시각 1-1. 동양사회 정체성론 기원: 헤겔, 맑스- 아시아적 전제주의론(Oriental Despotism) 전형: 칼 비트포겔 Karl Wittfogel (1957), 소련체제 비판 서구인들의 서양과 동양의 2분법적 구분과 비판 논리 서양=자유, 사유재산, 입헌정, (근대, 발전적 사회) 동양=비자유, 공유, 국유, 전제정 (전근대, 정체성 사회) 일본, 근대화=서구화 -탈아입구(脫亞入歐)- 후쿠자와 1-2. 근대화 혁명론 무어Barrington Moore(1966)-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 근대화/혁명의 3가지 경로: 민주주의, 독재-권위주의, 공산주의 (1)민주적 이행= 부..
2024.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