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근대한국정치10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13강 2006 근대한국정치론: 13강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자료: 홍순호, “임시정부의 외교활동, 1919-1945” 1. 문제제기 임시정부= 망명정부(Exiled Government) 국제법의 망명정부의 요건(주권의 대표성의 자격)에 모자람 선거에 의해 선출되거나, 전통적 대표성이 있거나, 또는 정식절차에 의한 정부로 국제법은 그 요건을 요구함. 3.1운동의 기간 후반기 4월 중에 등장한 한성정부와 상해임시정부가 가장 중요한 임시정부. 이를 통합계승한 상해임정이 국내적으로 정통성을 획득한 정부. 그러나 국제법적으로 승인의 요건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함  외교적 과제= 승인 임시정부의 최대 현실적 외교적 목표는 망명정부의 승인 미국, 열강- 정식 법적 승인(De Jure Recognition, )은 .. 2024. 6. 12.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11강 2006 근대한국정치론: 11강 기독교 민족주의와 계몽주의(1) 자료: 웰스, 5-6장/ 영상자료: 평양 대부흥 운동(1907) 춘원의 민족개조론 5장 문화적 개조와 민족과 국가의 분리, 1920-1925 1920년대- 한국민족주의의 르네상스 자아개조 개신교- 안창호와 이광수 - 자유민주주의, 기독교 문명 신봉 - 시민적 도덕성, pluralism(다원주의)  3.1운동의 결과 기독교와 천도교의 동맹(연합) 이승훈, 길선주 이승만과 독립정신> 혁명적 사회주의 등장, 1922 초기 장로교 사회주의자- 이동휘, 여운형  한국내의 개혁과 저항, 1919-21 사이토의 제한적 개혁- “문화정치” 1920년대 국내 기독교계 일부는 상해임정에 가담- 현순, 김병조, 장붕 목사 등 평양- 대한국민회 재조.. 2024. 6. 12.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10강 2006 근대한국정치론: 10강 문화민족주의의 국가건설론 식민지시대의 한국의 자유주의 서론 일제의 한국식민통치 식민통치시기 구분 제1기 1910년대- 무단통치기 제2기 1920년대- 문화정치기 제3기 1930년, 40년대-대륙확장-전시체제(30년대후반~)  식민지 수탈론- 일제의 수탈을 강조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기의 근대화, 경제성장을 중시 식민지 정치 = 지배[도전] + 저항[응전] 식민지 자유주의론- 식민지시기 민족진영의 자유주의 운동을 중시= 민족주의 + 자유주의 식민지 연구의 성격- 단절성, (연속성) 굴곡성 일상생활 연구 동아의 자유주의 선언 3대 기본노선- (1)민중주의= 민족주의 (2)민주주의= 자유주의 (3)문화주의= 문화민족주의 자유주의적 정치관 국가 통치권의 근본= 정의구현= .. 2024. 6. 12.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9강 2006 근대한국정치론 : 9강 독립협회운동에서 상해임시정부 탄생까지 1. 개혁 민족주의 운동: 독립협회운동 갑신-갑오에 이은 개화정치운동이 독립협회 운동으로 전개 기반: 근대적(시민적) 공공영역(공론장): 만민공동회 지도층: 신지식층(중인, 역관, 구관료에서) 개화관료 매체: 근대적 신문(독립신문, 황성신문, 매일신문) 동원층: 근대적 시민(상인, 관료, 언론인) 前史 ①갑신정변(1884) 김옥균, 박영효 1. 민력양성론 2. 민권보장론 3. 정치개혁론 한성순보- 10호 군민동치-조선의 입헌군주제 바람직 주장 박영효- 전통적 군민공치 풍습으로 ‘공론정치’의 존재 강조 정강- 군주제에 내각제도 도입 구상  ②갑오개혁(1894) (유길준, 󰡔서유견문󰡕) 1. 중앙 국가 기구의 근대적 개혁 군민공치(君民.. 2024. 6. 12.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8강 근대한국정치론 : 8강  3.1운동의 사상과 이념 서론: 3.1운동의 정치사상 33인의 사상 + 민족주의 지도자들의 사상 1. 3.1운동의 사상적 배경 19세기말 동아시아의 계몽주의 일본-후쿠자와 유기치 서양사정>; 조선-유길준 서유견문> 서재필-독립신문> 이승만-독립정신> 중국-양계초(량치차오) 음빙실자유문집> 조선의 정치적 계몽주의와 개혁운동 갑오경장, 독립협회- 입헌주의운동 애국계몽기: 대한자강회, 신민회 2. 계몽주의 (1)선언문 기초자; 육당 최남선과 춘원 이광수 육당 최남선- 개화기 신문화운동의 선구자 공헌: 3.1운동을 계몽의 프로젝트로 봄 합리성과 인도주의 정신으로 해석 낙관주의와 문화민족주의 춘원 이광수- 신소설의 선구자 계몽적 자유주의 개화파 독립론과 자유주의 (2)사상적 계보: 애국.. 2024. 6. 3.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6강 근대한국정치론 강의노트: 6강: 3.1운동이란 무엇이었나? 4/11 교재: 박성수, “3.1운동의 성격문제”  1. 33인의 비폭력 노선 민족사회운동 - 민족주의의 대중화된 운동 33인 지도부, 투쟁방법의 온건화- 최소강령 최대동원 집단행동의 직접적 효과보다는 상징적 표현 자체를 더 중시 (참고. 의병, 동학- 과격시위 무자비탄압) 비폭력 노선의 채택 경위- 2.8독립선언서와의 비교  2. 3.1운동의 참여와 전개- 3단계 명칭/ 일제- 소요사건disturbance (경찰용어), 만세운동, 독립시위independence protests(외신) 종교적 동기와 과격화/ 공의추구형 자살 [순교형] 실체파악의 어려움- 일제측과 독립운동측 통계수치의 차이 1) 초기(3월 1-19)/ 216개/ 12만 (제1파도.. 2024. 6. 3.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5강 근대한국정치론 강의노트: 5강 3.1민족사회운동: 민중봉기와 시위의 3대 흐름  참고: 김용직 (1999) 사회운동으로 본 3.1운동 (5장) 과제: 3.1운동의 시위-봉기 사례 조사 (특성) (육하 원칙: A4 용지 4매 이하) 다음 주: 박성수, “3.1운동의 성격문제”  1. 민족사회운동(민족주의의 대중사회운동) 개념: 민족운동이 사회운동, 즉 대중적 차원의 운동양상으로 나타남. 형태- 봉기(uprising), 시위(protest), 파업(strike)  (1)준비단계: 운동집단의 형성 해외민족(주의)운동단체- 신한청년당(상해), 동경유학생회, 대한인국민회 천도교단체- 손병희, 권동진, 최린, 오세창 기독교단체- 서북지방-길선주, 이승훈, 서울-박희도, 정춘수 학생단체- 이갑성, 강기덕, 한위건,.. 2024. 6. 3.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4강 근대한국정치론 4강:  민족운동의 지도자들: 안창호와 이승만  주제와 초점: 민족운동 지도자 - 역사이해는 그 중심적 인물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것 - 1세기 전 어떤 이들이 어떻게 민족지도자가 되었나? - 대표적 민족지도자사례, 도산과 우남 1. 도산 안창호(1878- 1938) 평양생. 빈농 안흥국의 3남. 7세 때 부친 여읨. 조부슬하 성장 14-17 한학공부, (김현진 문하) 16세 나라걱정 -청일전쟁(1894-5)의 충격 선배[필대은]의 영향- 민족사상 전수 17세 (1895) -예수교(기독교)에 입문- 언더우드 학교(장로교), 구세학당 (경신학교 전신) 독립협회운동, 대중연설(쾌재정) 독립협회 해체- 점진학교 설립 24세 (1902.9.) 결혼, 도미 유학 2. 안창호의 리더쉽 연설가- 정.. 2024. 5. 27.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3강 근대한국정치론: 3강  근대국가와 한국의 근대이행: 3.1운동과 복합적 이행 (서론) 1. 동아시아 근대성에 대한 시각 1-1. 동양사회 정체성론 기원: 헤겔, 맑스- 아시아적 전제주의론(Oriental Despotism) 전형: 칼 비트포겔 Karl Wittfogel (1957), 소련체제 비판 서구인들의 서양과 동양의 2분법적 구분과 비판 논리 서양=자유, 사유재산, 입헌정, (근대, 발전적 사회) 동양=비자유, 공유, 국유, 전제정 (전근대, 정체성 사회) 일본, 근대화=서구화 -탈아입구(脫亞入歐)- 후쿠자와 1-2. 근대화 혁명론 무어Barrington Moore(1966)-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 근대화/혁명의 3가지 경로: 민주주의, 독재-권위주의, 공산주의 (1)민주적 이행= 부.. 2024. 5. 23.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2강 근대한국정치론  2강: 3.1운동의 기원과 배경(1): 공론정치와 공공영역2. 3.1운동의 정치적 기원: 독립협회와 애국계몽운동/ 쟁점: 민족 지도자층의 형성/ 민족주의운동 자료: 김용직 3장; 안창호 안도산 전서>1(신민회운동) (지난 주) 한국근대사 연구와 3.1운동  한국의 민족주의의 대통합을 실현, 근대국가 형성과 근대적 이행의 결정적 계기 한국의 근대국가 건설의 최초의 원형이 되는 임시정부 형성의 직접적 계기 제공 한국의 민족주의, 자유주의, 민주주의, 공화주의의 원류 개요: 3.1운동의 장기적 기원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하나는 대중적 공론정치운동이고 다른 하나는 민족주의운동이다. 대중적 공론정치운동은 독립협회운동이 그 한 모델이다. 또 하나는 민족주의 운동으로 여기에는 초기 3대 흐름-.. 2024. 5.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