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한국정치론 : 8강
3.1운동의 사상과 이념
서론: 3.1운동의 정치사상
33인의 사상 + 민족주의 지도자들의 사상
1. 3.1운동의 사상적 배경
19세기말 동아시아의 계몽주의
일본-후쿠자와 유기치 <서양사정>; 조선-유길준 <서유견문>
서재필-<독립신문> 이승만-<독립정신>
중국-양계초(량치차오) <음빙실자유문집>
조선의 정치적 계몽주의와 개혁운동
갑오경장, 독립협회- 입헌주의운동
애국계몽기: 대한자강회, 신민회
2. 계몽주의
(1)선언문 기초자; 육당 최남선과 춘원 이광수
육당 최남선- 개화기 신문화운동의 선구자
공헌: 3.1운동을 계몽의 프로젝트로 봄
합리성과 인도주의 정신으로 해석
낙관주의와 문화민족주의
춘원 이광수- 신소설의 선구자 계몽적 자유주의
개화파 독립론과 자유주의
(2)사상적 계보: 애국계몽운동-도산 안창호와 우남 이승만
계몽사상-자기개조,의식개혁-성찰운동(점진노선: 도산-준비론)
-우상타파주의 개화운동: 근대화운동
-자유독립론과 경장개혁론(갑오경장, 독립협회의 헌의6조)
-민권론과 : 권리의 주체로의 民/ 시민의식, 공공정신함양
-자강론과 사회진화론/ 망국과 애국(구국)운동
-기독교 구국론(이승만, 윤치호)
3. 민족주의
원초적 민족주의 3대운동의 대통합
-위정척사운동, 개화-독립협회운동, 동학-천도교운동
3.1운동 준비단체: 대한인국민회(안창호/이승만, 미주)
신한청년당(여운형/장덕수, 상해), 동경유학생회(이광수/최팔용)
국내: 천도교계(손병희/최린)/ 기독교계(이승훈/길선주)
선언문:
(1)정치적 민족주의- 춘원 (독립협회-애국계몽파)
기준: 루소형/ 주권국가와 독립전통
(2)문화적 민족주의- 육당 (애국계몽-조선광문회)
기준: 역사와 문화적 자존의식
4. 공화주의
정치체제의 사상
개화파-군민공치(입헌군주제)의 전통
수구파-(봉건적) 전제군주제 옹호
개념: 공화제=합중정체(서유견문)=민주[대통령]제
군주제의 폐해- 공화제의 선호
망국의 위기 - 공화제의 억제 기능
최초의 사례: 신민회91907), 신해혁명(1911)
국제관: 공화주의 평화론/ 3국정립론적 동양평화론 발전
임시정부운동과 공화제
1919년 3월말~4월 임시정부운동에서 구체화
(1)노령-대한국민의회정부 (3/17 독립선언식)
3/27 국민의회 성립(문창범회장) 이동휘(군무총장)
대통령/손병희 부통령/박영효 국무총리/이승만
(2)상해-임시정부(4월초 임시의정권 구성, 의장/이동녕 총무/현순)
이시형, 손정도, 이광수 등 30명 집결 4/13 임시정부 공포)
국무총리/이승만 내무총장/안창호 외무총장/김규식
군무총장/이동휘 교통총장/문창범 법무총장/이시영
(3)한성-임시정부 (국민대회- 한남수, 이규갑, 홍면희, 김사국, 이종욱 등 준비) 4/23 13도대표(이만식, 이용규, 이종욱, 유근, 이동욱 등)로 조직
집정관총재/이승만 국무총리/이동휘 외무총장/박용만
내무총장/이동녕 군무총장/노백린 재무총장/이시영 외
국체-민주제, 정체-대의제
*미필라델피아 한인대표자회의(The First Korean Congress) 4/14-16- 서재필, 이승만, 정한경 주도/ 5월부터 한성정부계승 천명
구미위원부(The Korean Commission to Europe and America)
-임시대통령 지권하의 외교공보 활동
-국호 Republic of Korea, President 공식 명칭으로 사용
(4)통합상해임시정부= (1) + (2) + (3) (안창호 5/25 상해도착)
노령, 상해, 한성정부의 연합정부, 단일정부 수립 구상
1919.8.19-9.17 제6회임시의정원 회의
5. 급진주의 문제
러시아 혁명과 사회주의 영향- 미약
민중봉기와 급진화- 조직화와 탄압
동원과정의 동학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2강 (2) | 2024.06.04 |
---|---|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1강 (1) | 2024.06.04 |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6강 (0) | 2024.06.03 |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5강 (0) | 2024.06.03 |
[강의노트][참고자료] 발췌 개헌 (1952년) (1) |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