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5강

by 淸風明月 2024. 6. 3.
반응형

근대한국정치론 강의노트: 5

 

3.1민족사회운동: 민중봉기와 시위의 3대 흐름

 

참고: 김용직 (1999) 사회운동으로 본 3.1운동 (5)

과제: 3.1운동의 시위-봉기 사례 조사 (특성)

(육하 원칙: A4 용지 4매 이하)

다음 주: 박성수, “3.1운동의 성격문제

 

1. 민족사회운동(민족주의의 대중사회운동)

개념: 민족운동이 사회운동, 즉 대중적 차원의 운동양상으로 나타남. 형태- 봉기(uprising), 시위(protest), 파업(strike)

 

(1)준비단계: 운동집단의 형성

해외민족(주의)운동단체- 신한청년당(상해), 동경유학생회,

대한인국민회

천도교단체- 손병희, 권동진, 최린, 오세창

기독교단체- 서북지방-길선주, 이승훈, 서울-박희도, 정춘수

학생단체- 이갑성, 강기덕, 한위건, 김원벽

시간성(timing)- 정치적 기회 요인: 1차대전과 파리강화회의, 고종의 국장

 

(2)시위의 전개와 직접 집합행동, 시위파도

1파도(1-4): 서울과 북부지방

초기 종교세력지: 서울, 북부도시- 평양, 의주, 해주,

황주, 봉산 등

기독교와 천도교 중심/ 철도망과 시위 확산과 관련

폭력 시위

2파도(2-7): 남부(경남)지방

과격, 폭력, 끈덕진 투쟁시위/ 예안, 안동, 영덕, 합천

기독교, 천도교는 소수. 전통공동체 잔존지역

3파도(3-7): 중부지방, 서울과 경기지역

유생계층의 역할, 중앙과 인접지

보수적, 방어적 동원

4파도(4-7): 북서부지방

주변지역 투쟁: 산악지, 접경지 (평북, 강원도)

전향적 동원

 

대중(민중)동원과 조직화 유형

동원: 운동에 대중 참여

전향적 동원

근대적 유형, 종교 지도자(서북지역-48%)

(이익)결사체 기반- 교회

방어적 동원

전근대적 유형, 유교, 유지 기반

(농촌)공동체 기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