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전쟁과 오인

by 淸風明月 2023. 3. 22.
반응형

전쟁과 오인

Robert Jervis

 

 

1. 서론

 

* 오인의 정의 - 부정확한 추론, 결과에 대한 계산착오, 정책에 대한 상대방 반응의 착오등을 포함한다.

* 연구목적 - 오인이 전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느냐이다.

 

 

2. 오인의 영역

 

* 전쟁의 발발은 지나친 군사적 낙관론과 연관되어 있다. 군사적 낙관론은 정치적, 외교적 비관론과 결부될 때 특히 위험하다. 여기서는 주로 잠재적 적국의 의도에 대한 오인을 논의한다. 때로는 한 국가의 성향 - 즉 그 동기나 목적 - 에 대한 오인과 그 국가가 직면한 현실에 대한 오인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3. 오인이 개입되지 않은 전쟁

 

* 국가는 비록 패배가 확실한 경우에도 합리적으로 전쟁을 할 수 있다.

싸운다는 것 그 자체에 가치를 부여하는 경우

만일 막강한 상대가 영토를 요구하여 그냥 내주든지 아니면 전쟁을 해서 잃든지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경우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전쟁(연쇄점의 역설)

3국에게 강력한 인상을 심어 주기 위한 경우

현상을 참을 수 없거나 현상유지를 위해 전쟁이 불가피(일본, 1차 대전시 독일)

 

 

4. 방법론의 문제

 

* 오인이 전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비교를 하는 것이다.

인식을 그 결과로서 판단해야 하는지 혹은 과정에서 판단해야 하는가?

역사가와 정치학자들이 평시 국제관계의 분석보다는 갈등의 연구에 보다 매력을 느낌

인식의 정확성 여부를 결정하는 것(정책결정자의 진정한 인식은 무엇인가?)

 

 

5. 오인과 제 1, 2차 세계대전의 기원

 

1차대전

독일은 영국이 중립으로 남을 것을 기대

당시 독일은 미래에 '세계 국가냐 아니면 쇠퇴냐'의 양자택일

당시 외교 관행은 독일의 의도를 파악 못함

2차대전

전격전을 기대 못함, 이에 따라 전략적 폭격의 힘이 과대평가됨

영국은 독일 경제가 과팽창 상태라고 생각함

유화론자들이 히틀러의 의지를 잘못 읽음

히틀러는 영국이 1940년 봄에 강화할 것이라고 예상

중립국의 역할이 무시(, 소의 역할) 그렇다고 중립국의 역할을 항상 낙관은 못함

 

 

6. 오인이 중요한가?

 

1차 대전

당시의 상황에서 전쟁은 불가피

참전국들이 최초의 공세로 전쟁이 4년 가까이 갈 것을 알았으면 자제했을 것

2차 대전

연합국이 히틀러를 제대로 이해 보다 손쉬운 승리가 가능

히틀러가 연합국를 제대로 평가 보다 위험한 상황이 가능

 

 

7. 갈등의 모델

 

적에 대한 오인은 대체로 두 가지 종류로 서로 상반된다

1) 침략국들이 현상유지 국가들의 전쟁의지를 과소평가함으로서 전쟁이 일어나는 경우

(2차 세계대전 모델)

2) 쌍방의 의견차이가 실제로는 해소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적대감을 과장함으로써 전쟁이 일어 나는 경우(나선 모델)

현상 유지국이 침략국인 적을 과소평가 침략국이 현상유지국의 전쟁의지를 과소평가

나선모델 쌍방이 서로의 사활적 이익에 위협 전쟁을 막으려고 서로 협박 다른 결과가능

국가는 적의 침략성을 과소, 혹은 과대평가 할 수 있으며 두 착오 중 어느 것도 전쟁을 일으킬 수 있음(불 확실성이 배가되면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있는 정책을 책함)

국가들의 특정 사안을 놓고 다툰다는 사실 자체가 사안의 중대성을 높이는 경향은 영향력과 평판의 문제 가 개입됨

 

 

8. 적의의 평가

 

국가는 상대방의 적의를 과대평가하여 자국 입장의 정당성에 대한 믿음이 그걸 강화시킴

한국전에서 압록강 진격시 중국의 참전은 위의 논리를 반영

국가는 부분적으로 협력요소가 있는 행위에서도 위협적 동기를 추론하는 경향

협력적 행동은 눈에 안 드러나고 위협적 행동은 눈에 잘 보임

 

 

9. 오인과 제 3차 세계대전의 기원

 

상대방의 호전성을 과대평가해서든 혹은 과소평가해서든 오인은 제 3차 세계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 오인, 약속, 그리고 변경

치킨게임의 상황: 굴복을 포함한 어떠한 결과도 전쟁보다 나은 상황에서 최소한의 의미에서 스스로의 해위를 통제하고 합리적일 수 있다면 전쟁은 발생하지 않음

공약은 전쟁을 회피할 신축성을 제한

사전 공약

얼마나 분명하고 설득력이 있느냐와 수신자의 인지적 성향과 얼마나 부합하느냐가 중요

미서전쟁의 경우 수신자가 송신자의 의도대로 해석하지 않음

보내는 쪽은 그것이 의례 전달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2) 심리적 공약과 오인

공약이 자국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외교상 평판과 국내적 평판에 걸리면 작은 문제가 확대

정책결정자는 특정한 정책이 필요하다 믿으면 다른 행위자의 행위에 대한 정보를 왜곡해서라도 그 정책 이 성공할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음

위의 경우 공약은 상대방에 대한 분석없이 점진적으로 나아가면서 어느 순간 상대의 반발을 야기하는 정당성 없는 정책을 지지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됨

(3) 궁극적인 자기실현적 예언

평화유지가 불가능하면 선제공격의 문제가 발생한다 선제공격의 문제는 위기상황의 불안정성이 만듬

선제공격의 이점에 있어서 불확실성으로 선제공격의 이점이 과장됨

선택의 심리

현재 상황이 준거점이 되므로 사람들은 최근 손실을 벌충하기 위해 필요이상의 도박함

국가지도자가 선제공격을 하지 않으면 전쟁이 불가피하고, 또 선제공격을 하면 조금 이라도 손실을 회피할 가능성이 보이면 자제해야 할 상황에서도 선제공격

밝은 측면

위와 같은 암울한 상황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음

사람들이 가치간에 양자택일을 회피하는 경향이 평화유지에 도움이 됨

오인에 대한 두려움이 위기를 회피하게 하는 역할도 함

 

 

10. 결론

 

비록 오인이 없는 상태에서도 전쟁은 발발할 수 있지만 실제로 거의 모든 전쟁에 오인이 관련되어 있음

오인이 흔한 것이라고 해서 내용까지 자세히 알기는 어려움

정치학자들에게 너무나도 유명한 국제체계에 관한 다양한 분석들도 대부분의 전쟁의 발발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함 정보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요소임

반응형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교란 무엇인가?  (0) 2023.03.22
정치적 구조  (1) 2023.03.22
Long Cycles and Global War  (2) 2023.03.19
liberalism and World Politics  (0) 2023.03.18
[서평] 금융자본  (0) 2023.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