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르크스 경제학10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10강 제 10 강 의 제7편 자본의 축적과정 제23장 단순재생산(simple reproduction) 1. 자본의 유통(또는 순환)은 M---C(MP, LP)-----P-----C'---M'(=M+m)이지만, 어느 사회에서나 생산은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과정은 동시에 재생산과정이고, 자본의 유통 또는 순환은 반복된다. 다시 말해 자본은 회전한다(714쪽, 717쪽). 2. 잉여가치를 취득한 자본가는 잉여가치의 일부를 소득으로서 개인적 소비에 사용하고 나머지를 다시 자본으로 재전환시킬 것이다. 잉여가치를 자본으로 재전환시키는 것을 ‘자본의 축적’(accumulation of capital)이라고 부른다(733쪽). 따라서 자본축적률은 (불변자본의 증가액+가변자본의 증가액)/잉여가치가 될 것이다. 3. 자.. 2024. 6. 16.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9강 제 9 강 의 제15장  제9절 공장법(보건 및 교육에 관한 조항). 영국에서의 그 보급 1) 대공업에서는 숙련이 무용지물로 되기 때문에(deskilling), 매뉴팩쳐적 분업(어떤 한 부분작업에 노동자를 일생 동안 묶어 두는 형태)은 타파된다. 2) 그러나 인쇄업의 경우처럼 분업은 괴상한 형태로 재현한다(611쪽). 한쪽에는 인쇄기를 관리하는 성인 노동자가 있고, 다른 한쪽에는 인쇄용지를 기계에 집어넣거나 인쇄된 종이를 기계에서 빼내는 소년노동자들이 있다. 후자는 읽고 쓸 줄을 몰라도 된다. 현재에는 구상(conception)과 실행(execution)의 분리라는 말로 분업을 표현하고 있다. 3) 기계제 대공업이 성취하는 기술혁명과 이에 따른 노동자의 운명(613-5쪽):가) 기계제 대공업은 과학의 힘.. 2024. 6. 16.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8강 제 8 강 의 제15장 기계와 대공업 제1절 기계의 발달 1. 생산방식의 변혁은 매뉴팩쳐에서는 노동력으로부터 시작하고 대공업에서는 노동수단으로부터 시작한다(476쪽). 완전히 발달한 기계는 동력기, 전동장치, 작업기(또는 도구)로 구성된다(477쪽). 수공업적 생산 또는 매뉴팩쳐적 생산이 기계제 생산으로 이행할 때는 언제나 작업기가 출발점이다(478쪽). 작업기는 인간이 팔과 다리로 움직이던 도구의 수보다 훨씬 많은 수의 도구들을 동시에 움직인다. 제니라는 다추방적기는 처음부터 12-18개의 방추로서 방적하며, 양말직조기는 단번에 수천개의 바늘을 가지고 뜬다(479쪽).  2. 대공업은 기계 그 자체를 기계로 생산할 때 비로소 자가 자신의 두 발로 서게 되었다(491쪽). 3. 기계의 형태를 취한 노동수.. 2024. 6. 16.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7강 제 7 강 의 제3편 제10장(노동일)  제2절 잉여노동에 대한 갈망. 공장주와 보야르(boyar: 러시아와 발칸의 봉건적 대지주) 1. “자본이 잉여노동을 발명한 것은 아니다”(297쪽). 해설> 어느 사회에서나 잉여노동은 존재하게 마련이다. 그렇지 않다면, 노동하지 않는 사람들(예: 불로소득자뿐 아니라 아동 노약자 실업자)을 먹여 살릴 수 없고, 천재지변에 대처할 수 없으며, 생산규모의 확대를 도모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회가 다름에 따라 잉여노동의 취득형태도 다르다. 부역형태로 노동지대를 지불하는 농노의 경우에는 필요노동과 잉여노동이 공간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명확히 구별된다. 자기가 점유하고 있는 토지를 경작하는 노동은 필요노동이고, 영주의 토지에서 부역하는 노동은 잉여노동이기 때문이다.. 2024. 6. 16.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6강 제 6 강 의 제3편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해설> 이 편에서는 잉여가치가 어떻게 생산(또는 창조)되는가를 해명하면서, 잉여가치의 생산(또는 창조)과 관련되는 여러가지 개념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편의 제목은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이지만, 본문에서는 ‘절대적 잉여가치’라는 용어는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제4편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에서 비로소 ‘절대적 잉여가치’와 ‘상대적 잉여가치’가 비교되고 있다. 다시 말해 맑스는 잉여가치 일반 또는 잉여가치의 보편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잉여가치의 특수한 형태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제7장 노동과정과 가치증식과정 해설> 상품의 생산과정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생산물(사용가치)이 어떻게 생산되는가, 그리고 상품의 가치는 어떻게 형성되는가라는 문제를 해명해.. 2024. 6. 12.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5강 제 5 강 의  제2편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환  제4장 자본의 일반공식  해설> 상품의 유통으로부터 화폐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데, 이 화폐는 단순한 화폐로서 유통하든지 자본으로서 유통하게 된다. 화폐의 유통형태 상의 차이로부터 자본이 무엇인가를 고찰하고 자본의 일반공식을 도출하는 것이 이 장의 목적이다.  1. 화폐가 단순한 화폐로서 유통하는 경우: 단순상품유통 C--M--C 가) 예를 들면 밀을 팔아 화폐를 얻고 이 화폐로 아마포를 구매하는 경우다. 이 경우 아마포는 소비되기 때문에 화폐는 영원히 되돌아 오지 않는다. 나) 밀 소유자는 아마포를 원했기 때문에 이 순환을 개시했으며, 따라서 이 순환의 목적은 상이한 사용가치를 획득하여 소비함으로써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다) 밀 소유자는 아마포를 획득.. 2024. 6. 4.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4강 제 4 강 의 제3장 화폐 또는 상품유통 해설>  이 장은 하나의 상품이었던 금이 이제 일반적 등가(물)의 자리를 독차지함으로써 화폐가 되었다는 것을 전제한 뒤에, 화폐의 기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화폐의 기능을 설명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주의 경제는 물물교환 경제가 아니라 화폐경제라는 사실 때문이고, 둘째 상품--화폐--자본으로 상향하는 󰡔자본론󰡕의 서술과정 때문이며, 셋째 표층의 화폐적 현상(예: 상품의 가격)과 심층의 인간노동(예: 상품의 가치)을 연결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현재는 금이라는 화폐상품 대신에 정부의 불환지폐가 화폐 또는 법화로서 기능하고 있으므로, 맑스의 화폐론은 일정한 수정을 받아야 할 것이다. 1. 화폐는 상품의 가치를 표현하는 재료다.  1) 모든 상품들은.. 2024. 6. 4.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3강 제3 강의  제1편 상품과 화폐 해설>  제1편은 자본주의 경제에서 항상 부닥치는 상품과 화폐가 무엇인가를 개념적으로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맑스는 상품과 화폐가 ‘가장 명확한 형태로 나타나며 교란적인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곳’(4쪽), 즉 단순상품생산사회에서 상품과 화폐를 관찰하고 있다. 단순상품생산(simple commodity production)사회란 자본주의적 상품생산과는 달리 개별생산자가 스스로 생산수단을 소유하면서 자기의 판단 아래 생산물을 생산하고 그것을 시장에 판매하여 사회의 신진대사를 유지하는 사회다. 이러한 단계의 사회가 역사적으로 존재했는가는 알 수 없지만, 상품과 화폐의 기본적인 속성을 파악하기 위해 자본주의적 상품생산으로부터 추상한 방법론적 구성이라고 보면 .. 2024. 6. 4.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2강 2 강: {자본론} 제1권 '서문'의 내용  1. 독일어 제1판 서문(맑스. 1867년 7월 25일)  1) 4쪽. "이 책에서 나의 연구대상은 자본주의적 생산방식 및 그것에 대응하는 생산관계와 교환관계다. 이 생산양식이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나라는 지금까지는 영국이다. 영국이 나의 이론전개에서 주요한 예증으로 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해설 >  가) 내가 '생산방식'이나 '생산양식'으로 번역한 것은 모두 mode of production이라는 용어다. 생산양식은 생산방식(예: 가내수공업, 공장제 수공업, 기계제 대공업)과 생산관계(예: 생산수단의 소유형태, 생산물의 처분형태, 생산과정에서 맺는 사람들의 위계적 질서) 및 교환관계(예: 노동생산물이 유통하는 형태, 상품형태, 화폐형태)를 포괄하는.. 2024. 6. 4.
[강의노트] 마르크스 경제학 제 1강 마르크스 경제학 1강 1. 맑스의 생애(민음사, {103인의 현대사상}, 1996에 있음)  ① 1818년 5월 5일: 독일 Trier(독일 서부, 룩셈부르크와의 접경지대)에서 출생. 출신성분은 프티부르주아지(아버지가 유태계 법률가, 자신은 철학박사학위 소유자로서 언론활동과 저작활동에 종사)  ② 1841년: 예나(Jena)대학(동독정권은 Friedrich Schiller 대학으로 개칭)에서 철학박사학위 받음. 논문제목: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철학의 차이'  ③ 1842-43년: 라인신문({Rheinische Zeitung})(자본가들이 경영하는 자유주의적 신문. Koeln 소재)의 편집인. 프러시아 절대왕정을 비판하는 급진적 자유주의자. 'Critique of Hegel's Philosoph.. 2024.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