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New Approaches to International Theory

by 淸風明月 2024. 5. 14.
반응형

-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

 

Edited by John Baylis and Steve Smith

First published 1997

Written by Steve Smith

 

New Approaches to International Theory 개요

- Introduction

- Explanatory/Constitutive Theories and Foundational/Anti-Foundational Theories

- Rationalist Theories : The Neo-Realist/Neo-Liberal Debate

- Reflectivist Theories

- Bridging the Gap : Social Constructivist

- Conclusion

 

 

Introduction

(현실주의·자유주의·세계체계이론) 3개의 이론이 국제관계에 지배적인 이론(50년간)

패러다임간 논쟁 : 현재 국제정치에서 다루는 이슈들을 포괄(신현실주의 vs 신자유주의)

신현실주의 : 국제관계의 가장 주요한 이론

- Value-laden or Normative 가 아님

- 현실주의를 타도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음

- Bipolar가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의 오류

신현실주의가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없는 이유

- 비국가적 행위자, 사회운동, 급격한 거래의 확산 같은 이슈를 설명하지 못함

(그러나 권력정치면에서 여전히 유효)

- 실증주의에 대한 방법론을 대한 공격을 당함

- 신현실주의의 우세 속에 신자유주의 대한 논쟁

(이것과는 다른 움직임, Reflectivist Theories가 성장)

 

<Key Point>

1. 현실주의·자유주의·세계체계이론 중 가장 우세한 이론은 현실주의이다. 현실주의는 80년대 패러다임간 논 쟁을 구성했다.

2. 패러다임간 논쟁은 지적 개방성에 대한 약속에도 불구하고 현실주의가 당연한 것으로 결론지었지만 일반 상식과 현실주의의 의미있는 반대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3. 현실주의의 지배는 3가지 이론의 발달에 침식되고 있다. Globalization, Postivism, Neo-Institutionalism이 다.

 

 

Explanatory / Constitutive Theories and Foundational / Anti - Foundational Theories

현재 국제관계에서 2가지 구별되는 특징

(Explanatory/Constitutive Theories and Foundational/Anti-Foundational Theories)

Explanatory/Constitutive Theories(Structure Realist)

- Explanatory Theories : 이론 외부의 세계를 보여줌, 우리 세계 밖에서 세계를 관찰

- Explanatory Theories : 인간행동의 규칙성을 포함하지 못함

물리적 세계를 설명하는 자연 과학자처럼 사회세계를 설명

그러나 최근 몇 년간 발전한 접근과 구성주의 이론은 자유주의 사고와 유사

- Constitutive Theories : 세계를 구성하는데 도움

- Constitutive Theories : 세계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구성함

- 과학적 vs 과학적 원리를 채택하는 특징

Foundational/Anti-Foundational Theories : 철학은 인식론(Epistemology에 기반)

Foundational Theories = Meta-Theories(About Particular Theory)

Anti-Foundational Theories : 이용할 만한 상황이 없음

- Epistemology의 특수한 관점에 동의

탈근대화론, 페미니즘 이론, 규범이론 : Anti-Foundational Theories

역사 사회학, 비판 이론 : Foundational Theories

사회적 구성주의 : Foundational/Anti-Foundational TheoriesMiddle

Explanatory Theories : Foundational Theories

Constitutive Theories : Anti-Foundational Theories

80년대 후반까지 국제관계의 사회과학자는 실증주의 4가지 가정 소유

1) 과학의 통일성

2) 사실과 가치의 구별

3) 자연세계와 같은 규칙성

4) 경험주의적 인식론

지난 10년간(80년대) 국제관계에 논쟁에 있어서 특징이 이런 가정들을 거부하고 새로운 접근은 80년대 이후 이런 가정에 대한 질문을 유발시킴

Yosef - Lapid : "A Post-Postivist Era"로 규정

90년대 후반의 3가지 주요특징

1) 이성주의자로 명명된 주요이론의 패러다임간 논쟁 유발

2) 비실증주의 이론들의 등장(Reflectivist)

- 탈근대화론, 비판이론, 역사사회학, 규범이론, 페미니즘

3) 이성주의와 성찰주의간 연계(Alexander Wendt : 사회적 구성주의) (Fig 9.1 참조)

 

<Key Point>

1. 이론들은 설명적인지, 구성적인지, 근본적인지 반근본적인지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설명적인 이론들은 근본적이고 구성적인 이론들은 반근본적이다.

2. 패러다임간 논쟁을 구성하는 3가지 주요이론은 실증주의적 가정들의 집합에 기반했다. 즉 사회과학 이론들 은 사실과 가치를 구별하는 자연과학의 이론과 같은 방법론을 사용한다. 사회적 세계는 이론들을 발견할 수 있는 규칙성을 갖고 있다.

3. 80년대부터 실증주의에 대해 반대해 왔고 새로운 접근은 구성적이고 반근본적인 가정들에 보다 가깝다.

4. 현재 이론적 추세는 3가지 주요 지위들이 있다. 첫째, 이성적 이론들은 본질적으로 이전 Chapter(현실주 의·자유주의·세계체제론)에서 다루는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의 최근 시각이다. 둘째, 성찰적 이론들은 탈 실증주의이론이다. 셋째,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은 첫째의 2개의 이론들 사이에 틈을 연결하려고 시도한다.

Rationalist Theories : The Neo-Realist/Neo-Liberal Debate

Neo-Realist / Neo-Liberal Debate

Neo-Neo Debate은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에 오래 동안 지속된 80·90년대 시각

Ole Waeber(1996) : 2개 주요한 접근들은 효과적으로 원리의 중요한 핵심을 생산

- Neo-Neo Synthesis

- 이론은 보다 나은 설명을 위해 다른 쪽과 경쟁하는 질문들의 집합에 초점

- 국제관계에서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가 양립 불가능

80년대 신현실주의 : 무정부 상태가 국가의 정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관심

80년대 신자유주의 : 무정부 상태가 국제협력을 가능하게 만들는지에 관심

같은 이슈에 다른 관점 소유

- 무정부상태하에서 국가행동에 있어 국제제도의 효과 이슈

- 신현실주의 : 영향력이 없음

- 신자유주의 : 영향력이 있음

자신의 관점이 옳다고 양측이 고수(대량의 Article 생산)

무정부상태를 약화시키는 제도의 역할에 대해 이러한 경쟁적인 논쟁은 양적인 논문 양산

80년 중반부터 10년간 Neo-Neo Debate 논쟁이 활발

Neo-Neo Debate의 주요 골자

1. 상대적 이익 vs 절대적 이익

- 신현실주의 : 그들의 경쟁자와 이익을 비교

- 신자유주의 : 그들의 경쟁자와 이익을 비교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 신경 씀

2. 무정부의 효과

- 신현실주의 : 제도들이 무의미

- 신자유주의 : 제도들에 의해 협력 달성

3. Key Issue

- 신현실주의 : 군사·안보 중시(High Politics)

- 신자유주의 : 경제 이슈 중시(Low Politics)

Neo-Neo Synthesis은 약함

Neo-Neo는 협소한 가정에 기반

- 현재 국제관계의 담론을 포괄하지 못함

- 세계화된 세계, 정체성, 국가주의, 경제·지역·성을 배제)

- 배제된 이유 : 미국외교정책의 관심을 반영하기 어려움

- 덧붙여 국내정치, 인간들의 학습효과, 정치적 세계화를 과소평가, 이익이 아니더라도 국가들이 선한 행동 을 할 때는 이해가 안됨

지식을 창조하는 법에 대한 같은 가정을 소유하지 있지 않음

 

 

Reflectivist Theories

5개의 이론이 각기 저마다 다름

이성주의의 중요 가정들을 거절

성찰주의자 : 그들이 수용한 것보다 거절한 것에 의해 통합

 

<Normative Theory>

지난 10년간 재기되어온 주장(그 이전에도 존재)

실증주의가 사실가치를 분리하는데 규범이론은 가치에 비중을 둠

규범이론의 2가지 근본적인 문제

1. 정치에 대한 협소한 정의(선한 삶 강조) 권력이 무엇인지 설명하지 못함

2. 규범이론은 모든 이론들이 가치를 반영하는 중대한 목표를 가짐

- 사실로부터 가치로 정향이 이동

최근 경향 Chris Brown(1992)이 잘 연구했음

- 세계정치에 대한 2가지 주요 규범적 위치 정립

- Cosmopolitan : 전체로서 인도주의 혹은 개인에 초점

- Communitarian : 정치공동체(국가)에 초점

- CosmopolitanCommunitarian은 개입에 대한 관점이 다름

- 가치문제는 개입과 인권 사이에 복잡한 질문 유발

- BrownCosmopolitanCommunitarian사이에 특징을 규범적 국제이론을 적용

ex) Just War

 

<Key Point>

1. ‘가치를 부과하고’ ‘비과학적으로 묘사하는 규범이론은 실증주의 우세 때문에 10년간 구식이 되었다.

2. 지난 10년간 규범이론에 대한 관심이 재기되어 왔고 그 까닭에 주요 논쟁에서 국제이론과 연관짓는 것은 정치의 원리로 진행되어 왔다. 지금 보다 더 폭넓게 모든 이론들은 명확하거나 함축적으로 규범적 가정을 갖고 있다.

3. 규범이론의 주요특징은 세계시민주의와 공동체주의 사이에 있다. 전자는 개인으로서 권리와 의무의 소유자 로서 후자는 국가로서 바라본다.

4. Chris Brown은 현재 규범이론에서 논쟁의 3가지 영역을 정의한다. 국가의 자치, 무력사용의 윤리, 국제정 의이다.

 

<Feminist Theory>

크게 4가지로 분류

1. Feminism Standpoint theory

2. Liberal Feminism

3. Feminist post modernism

4. Social / Marxist Feminism

Feminism의 작업 : 80년대 중반

Liberal Feminism

- "국제정치에서 여성은 어디 있는가의 질문의 자세를 취함(80년대 후반)

- Text에 쓰여지지 않음(비가시적 요소)

- Cynthia Enloe : 여성이 어떻게 국제정치와 연계되었는지 보여주는 시각

- Feminism은 실제 매춘부나 외교관과 같은 부류가 중심 역할을 수행

- Feminism은 국가 지도자보다 중요성이 적음

- 국제경제와 정치체계에 작용하는 여성의 활동이 중요하다고 제시

- Zalewski : '여성을 더하고 활동하는시각을 지적

- Liberal Feminism은 남자들이 이용하는 권리와 기회가 여성에게도 같게 되기를 원함

Social / Marxist Feminism

- 물질적 역할 강조(우선적으로 경제)

- 여성 불평등의 원인 2가지

1) 자본주의 체계에서 발견되고 자본주의의 제거가 여성을 평등하게 만듦

2) 남성 위주의 가부장 체계

자본주의 + 가부장체계 = 여성 억압

Feminist post modernism

- 성에 초점을 맞춘 정체성 작업과 함께 이론적 작업의 연속

-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은 국제정치의 구조와 과정에 의해 건설

- 남성과 여성은 자연적일 수 없다고 성찰

Feminism Standpoint theory : 급진적 여성주의

- 그들의 생각은 남성이 지배해 온 세계라고 근본으로 주장

- 여성의 경험을 무시해 옴

- Sandra Harding : Feminism Standpoint theory을 발전시킴

- 목적은 여성의 관점에 따라 현실을 재구성, 현실 속에 여성의 관점을 발전시킴

- 이 시대의 지식이 남성의 시각이기 때문에 세계의 부분적 이해만 가능(편협함)

- J. Ann Ticker : Morgenthau의 정치적 현실주의 6가지 원clr을 여성의 시각으로 재공식화

 

<Key Point>

1. Feminism 이론의 4가지 주요 변종은 Feminism Standpoint theory, Liberal Feminism, Feminist post

modernism, Social / Marxist Feminism이다.

2. Liberal Feminism은 그들이 왜 주변적인지 국제정치에서 여성의 역할을 조망한다. 남성에 부여하는 것처 럼 여성에게도 같은 기회를 부여하기 원한다.

3. Social / Marxist Feminism은 국제자본주의 체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Marxist Feminism은 자본주의의 2 개의 생산으로써 여성을 억압한다고 본다. 반면에 Social Feminism은 여성이 평등하기를 원한다면 자본주 의와 가부장체제와 같은 구조를 극복해야 하는 것으로 본다.

4. Feminist post modernism은 그러한 여성의 지위에 반대로서 성에 연관시킨다. 그들은 남성다움과 여성다 움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질문한다. 그리고 특히 국제정치는 ‘Men''Women'의 어떤 형태로 구성되는데 관심이 있다.

5. Feminism Standpoint theoryJ. Ann Ticker와 같은 학자들은 세계의 지식이 남성의 지배를 당연하게 본다. J. Ann Ticker는 세계의 여성시각에 따라 Hans Morgenthau 에 의한 6가지 객관적인국제정치를 재구성할 것을 묘사하고 있다.

 

<Critical Theory>

오랜 지적 전통

적어도 20세기부터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의해 발전된 맑스주의 사상

세계체제론과 중첩되지만 80년대 초반 특히 영향력을 미침

저명한 학자 : Andrew Linklater & Robert Cox

ChapterMark Hoffman(1987)의 연구를 기반으로 함

Mark Hoffman

- Max Horkeimer1937 Article을 상세화

- 사회변화에 관심이 있고 자연과학 발달이론의 방법으로 발전되지 못함

- 사회과학은 주제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일 수 없음

- 지식과 권력 사이에 밀접한 연계

- Max Horkeimer의 비판의 초점 : 실증주의를 사회과학에 적용시킨 것

- 자연같이 통제와 지배를 위한 영역으로 사회세계를 바라보고 그 까닭에 인간해방의 가능성에 무관심

- 전통적 이론과 같은 사실이 아님

비판이론가들에게 사실은 특수한 사회적 역사적 틀들을 생산

- 비판이론의 목적 : 인간 해방 앞당기기 위한 것

- 그 수단으로 공공연한 규범을 강조

- 전통적 실증주의 이론에 반대

하버마스 : 그의 영향력있게 주장한 것은 이성적 의사소통 상태라는 관념

- 개인은 정치적 토론에서 합리적 동의에 이르는 의사소통 만족성을 나타냄

- 이러한 상황은 해방적 정치의 발달로 유도

- 이것은 담론 윤리의 상태로 알려져 있음

국제관계에서 가장 주요한 비판이론의 기여자는 Rebert Cox(1981)

- 숨겨진 규범적인 약속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비판

- 일반적인 목적 : 이런 관계를 만들고 제도들은 문제의 소지를 효과적으로 다룸

- 그 효과는 존재하는 질서를 통합하고 합법화

- 문제해결 이론은 권력은 자연적인 것 같은 존재하는 분배를 만드는 작업

이론은 어떤 누구가에게 어떤 의도가 항상 있다

Cox의 이론

- 국제이론은 비판이론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

- 사회구조들은 사회적으로 건설된다는 간주관성에 주목

- ‘개인또는 국가는 어떤 역사적이고 사회적 세력에 의해 생산되는 전통이론의 어떻게 주어진것인지에 초점을 맞춤

- 그는 헤게모니의 성격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구조들은 어떻게 능가하고 극복되는지에 대해 관심

모든 비판이론의 중심

- 현재의 질서를 진화시키는지에 관심

- 비판이론은 국가간 체계 실험에 제한된 것이 아니라 권력과 지배의 모든 주요한 예들에 초점을 맞춤

- 특히 현재 국제정치에 적합, 그 이유는 자연적행위자로서 국가들을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화된 세계 에 지배의 모든 형태에 관심이 있기 때문

 

<Key Point>

1. 비판이론은 Marxism에 근원을 두고 20세기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의해 발전되었다. 1945년부터 가장 영향 력 있는 지지자는 하버마스이다.

2. 비판이론의 창시자 중 하나는 1937년 영향력 있는 Article을 쓴 Max Horkheimer이다. 전통적과 비판적 이론을 구별한다.

3. Robert Cox는 문제해결과 비판이론 사이에 다른 점을 기술했다. 전자는 주어진 세계를 다루고 권력의 존 재하는 분배들을 통합한다. 후자는 현재의 권력분배는 어떻게 존재하는지 묻는다.

4. Cox는 이론이 어떤 누군가를 위해 어떤 의도를 위해 항상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론 그 자체로서 그러 한 것은 없다.

5. 비판이론은 그들의 효과들을 실제적으로 사회구조들로 보고 있는 반면에 그들은 직접적으로 관찰되지 않았 기 때문에 실증주의에 의한 실제로 보지 않는다.

6. 비판이론의 기여는 많다. 특히 중요한 것은 Linklater의 논문이고 비판적 안보연구 영역에서 작업해 왔다.

 

<Historical Sociology>

Historical Sociology의 주요목적 : 역사를 통한 사회들의 발전 양식에 관심

-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 사회를 배열하는 제도와 기구의 형태화된 구조에 관심

Historical Sociology는 긴 역사를 갖고 있음

- 첫 번째 물결 : 산업화 과정과 국가 건설뿐만 아니라 미국과 프랑스의 혁명과 같은 19세기 주요 사건들 에 답한다.

- 두 번째 물결 : 국내와 국제간에 관계에서 사회들의 발전을 설명하는데 초점

Historical Sociology의 중심 특징은 당연하게 생각되는 구조는 복잡한 사회과정의 집합을 어떻게 생산했 는지에 관심(Neo-Realism은 국가를 주어진 것으로 보는 시각)

Historical Sociology은 특정한 종류의 국가는 국내·국제사회에서 다양한 세력들에 의해 생산되어 옴, 2가 지 견해(Charles Tilly & Michael Mann)

- 이러한 저자들은 기구로서 국가가 얼마나 복잡한지 보여주고 신현실주의의 논문에서 발견되는 단순한 보 다 시각을 훼손한다.

- 국내·국제간 필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신현실주의가 분리되어 있다는 주장은 부정확)

- 국가는 국내·국제적 세력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것을 보여줌(국제는 그 자체로 국가성격을 결정함)

Charles Tilly

- 1990년대에 출판된 ‘Coercion, Capital and European State'에서 논지를 밝힘

- 유럽은 국민국가의 다양한 변종으로 분열됨

- 국민국가 : 전쟁을 수행하는 역할 때문에 결과적으로 지배되어 옴

- 자본집중적 & 강제 집중적 레짐사이에 구별되는 Tilly3가지 국가형태 제시

1) Tribute-making Empire

2) System of fragmental Sovereign(City-state)

3) National State

이들 국가들은 자본과 강제의 집중에 기인해 다양한 계급구조를 결과를 생산

Tribute-making Empire : 강압이지 자본축적이 아님

System of fragmental Sovereign(City-state) : 자본축적은 그것의 시민들을 강제하려는 국가의 능력에 고도로 상대적으로 발달

National State : 상대적으로 자치적인 지방세력들의 협력에 의존하는 통치자에게 요구되는 전쟁의 규모 에 연관되는데, 그 까닭은 무기를 사기 위해 농업적·상업적 이익을 나타내는 계급들에 게 요구하는 간접적인 법의 형태임

Tilly는 역사를 통해 국가는 하나의 형태가 아님

전쟁은 국민국가 형태에서 이러한 국가의 형태의 분열을 설명

국가는 세금·공급 그리고 행정의 사회적 기반을 건설하므로써 그들의 권력을 얻을 수 있는 전쟁을 준비하 는 것에 의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

Michael Mann

- 인간의 전 역사에서 다루는 사회적 세력의 근원을 연구

- Mann의 핵심 : 국가의 어떤 행태들을 형성하는데 결합하는 세력의 형태를 세밀하게 설명(IEMP 모델로 설명)

- IEMP(Standing for Idealogical, Economical, Military, and Political forms of Power)

- Neo-Realist가 제시한 국가에 대한 시각은 단순

- Historical Sociology은 국가, 계급, 그리고 전쟁의 상호작용에 초점

 

<Key Point>

1. Historical Sociology은 여러 세기 연구의 주제로서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것의 중심 초점은 사회들은 그들이 수행하는 형태에 의해 발전된 것이다.

2. 현재 Historical Sociology은 무엇보다도 국가는 중세부터 발전해왔다는 것과 연관이 있다. 기본적으로 국 가, 계급, 자본주의 그리고 국가 간에 상호작용의 연구이다.

3. Charles Tilly는 중세 말부터 결과적으로 하나의 형태가 분열된 즉 국민국가가 존재해 왔고 국가는 3가지 형태로 볼 수 있다. 그는 중요한 이슈로 전쟁을 수행하는 국민국가의 능력이었다고 말한다.

4. Charles TillyIEMP로 알려진 모델, 국가권력 원천의 강력한 모델로 발전해 왔다. 이것은 그에게 국가의 다양한 형태는 그들이 소유한 형태를 취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5. Historical Sociology는 국가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기구가 아니라 대신에 시대를 걸쳐 변해왔다는 것을 보 여주기 때문에 신현실주의를 잘라낸다. 그러나 신현실주의와 같이 전쟁에 관심이 있기 때문에 2개의 접근은 일반적으로 차이가 크다.

 

<Post Modernism>

지난 20년간 모든 사회과학을 통해 영향력 있는 이론적 개발이 진행

Richard Devetak : Post Modernism의 아주 유용한 요약(단순화)

- Post Modernism의 정의하기 어려움

- Fracois Lyotard "Meta-narrative'로 향하는 불신으로 Post Modernism를 표현

- Post Modernism는 해체하는 것, ‘진실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주장

- 프로이드 심리학, 맑시즘의 관점 : 세계에 대한 진실을 포함하지 못함

- Richard Devetak : 그가 토론하는 주요 주제는 권력과 지식관계

- 지식·권력관계의 Post Modernism은 미셀 푸코의 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음

- 비판 이론가들의 주요 사상과 동일

- 푸코는 지식은 권력 작업에 의해 확산되는 신현실주의를 거부

- 푸코는 지식을 생산하는 권력에 대해 설명

- 모든 권력은 지식이 필요하고 의존하며 지속적인 권력관계를 재생산

- Post Modernism은 권력 관계가 진실과 지식-실천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보이길 원함

- 권력과 지식간에 역사적 연구는 계보학에 대한 연구를 유도

- 계보학의 중심 주장 : 진실과 같은 것이 아닌 진실의 레짐

- 이것들은 권력과 지식이 공동으로 유지하는 관계에서 함께 발전한다는 것이 역사를 통한 방법으로 반영

- 사회적 세계에 대한 진술인 특수한’ ‘담론안에서 오직 진실

Devetak : 2번째 주제인 해석적인 전략

- 복잡함(데리다의 주장은 사회세계를 건설하는 것은 해석적 방법)

- 데리다(1976) : 세계는 언어의 개념과 구조를 반영하는 세계로 해석과 같은 것으로 구성

- 데리다의 2개의 방법(해체와 중복 독서)

- 이론적 위치는 논문에서 보편화되어 옴

- 주류는 Post Modernism이 현실세계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말을 가지고 작용한다고 봄

- Post Modernism은 세계화된 세계에 가장 알맞은 이론

 

<Key Point>

1. Lyotard는 담론의 외부에 존재하는 말의 진실을 설정하는 토대들의 가능성을 부인하는 의미인

‘Meta-narrative'로 향하는 불신으로 Post Modernism을 정의한다.

2. 푸코는 공동으로 구성된 권력과 지식관계를 진실의 레짐 외부의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함축한다. 진실의 역사를 갖는다면 역사는 진실을 갖는가?

3. 푸코는 역사를 보는 계보학적 접근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접근법은 진실의 어떤 레짐은 다른 것을 지배 해왔다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4. 데리다는 세계가 단순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설명을 해야만 되는 해석과 같은 것이다. 그는 해석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바라보고 의미있는 자연적반대를 우리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2개의 도구를 언어를 제시한다. 이것들은 해체와 중복 독서이다.

5. Post Modernism 접근은 너무 이론적이어서 주류에 의해 공격을 받고 있고 실제세계와 충분히 연관적이 지 않다. 그러나 Post Modernism은 사회세계에서 현실의 의미로 실제세계와 같지 않고 우리들에게 설명 해 줄 수 없다.

 

 

Bridging the Gap : Social Constructivist

이론의 발달은 이성주의와 성찰주의간의 교차점에 위치

세계정치는 이성주의의 요소인 신자유주의와 신현실주의가 중심

행위자의 의미와 정체성에 기반하는 성찰주의는 아직은 중요성이 덜함

성찰주의의 3명의 주요 지지자 : Kratochwil, Onuf, Wendt

Wendt : 사회적 구성주의를 발전시킴

- 그의 논문 ‘Anarchy is What make of it'

- 지난 10년간 어떤 다른 논문보다 많이 인용

- 행위자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

성찰주의자가 시험할 수 있는 가설을 발전시키지 않으면 그들은 국제정치의 주변부에 위치할 것임

시험할 수 있는 가설을 성찰주의자들은 수용하지 않음

Keohane : 실증주의의 도전이 진행될 것

국제정치에서 성찰주의의 주요한 이슈에 대한 관점은 이성주의자들과 다름

Wendt : 지적 작업은 이성주의와 성찰주의의 틀을 연결시켜 줄 것

- 이론적 합성을 창조할 것

 

<결론은 내용이 중복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생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