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55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ETF (Exchange 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 ETF는 지수(index)펀드를 주식시장에 상장시킨 상품으로, 각종 지수의 등락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된다. 주식과 동일하게 실시간 매도 매수가 가능하다. ETF는 일반 펀드에 비해 투자의사 결정 시점과 환매ㆍ매입 시점이 동일해 두 시점 간 차이에 따른 불이익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보수율이 낮아 수수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12. 9. 24.
ELS (Equity Linked Security, 주가연계증권) ELS (Equity Linked Security, 주가연계증권) ELS란 증권사가 발행하는 것으로 주식이나 파생상품에 투자해 원금을 유지하면서 주식이나 파생상품을 통해 추가 이익을 실현하는 금융상품이다. 대표적인 ELS 유형으로는 사전에 정한 주가지수에 도달했을 때 수익이 확정되는 녹아웃(knock-out)형과 일정 기간마다 주가가 일정 수준에 도달했을 때 조기에 상환되는 조기상환형이 있다. 2012. 9. 24.
은행세 은행세 은행세란 금융회사에 부과하는 일종의 세금이다. 2010년 1월 미국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금융위기를 초래한 대형금융사에 책임비용을 부과해야 한다며 내놓은 대안이다. 일명 '오바마세'라고도 불린다. 자산규모 500억 달러 이상의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예금을 제외한 모든 부채에 금융위기책임비용으로 0.15%의 세금을 붙이겠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6월 6일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전 세계가 일률적으로 은행세를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 각국이 서로 다른 금융시스템과 금융상품이 있기 때문이다. 대신 영국을 비롯해 개별국가들은 자신의 환경에 맞는 은행세를 찾겠다고 밝혔다. 2012. 9. 24.
임금피크제 임금피크제 일정 연령이 되면 임금을 삭감하는 대신 정년은 보장하는 제도로, 워크 셰어링(work sharing)의 한 형태다. 미국·유럽·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공무원과 일반 기업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우리나에서는 신용보증기금이 2003년 7월 1일부터 임금피크제를 적용한 것이 처음이다. 베이비붐세대에 태어난 사람들이 50대가 되면서 더 심각해진 고령층 실업 문제를 완화할 수 있고, 기업 측에서도 인건비의 부담을 덜 수 있어 임금피크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 업무의 특성을 무시한 채 일률적으로 임금피크제를 적용할 경우 임금수준을 하락시키는 편법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공기업 중에는 한국전력이 정년을 만 58세에서 만 60세로 늘리는 정년연장형 임금.. 2012. 9. 24.
agflation (애그플레이션) agflation (애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은 농업(agriculture)과 물가상승(inflation)의 합성어로, 농업 생산물이나 원자재의 가격이 올라가면 공산품 가격이 따라 올라가 전체 물가상승을 일으킨다는 것을 뜻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생활물가 상승률이 3%대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생필품의 가격을 높일 수 있다. 또 곡물 가격이 올라가는 이유에는 이상 기후로 인한 공급 감소, 소비문화 변화, 경작지 감소, 유가급등 등이 있다. 2012. 9. 24.
아이스 스케이터 효과(Ice-Skater Effect) 아이스 스케이터 효과(Ice-Skater Effect) 스케이팅 선수가 회전을 할 때 팔을 벌리는 것보다 가슴 쪽으로 끌어당길 때 속도가 더 빨라진다. 아이스 스케이터 효과란 스케이팅처럼 지구의 밀도를 지구 중심으로 이동시키면 지구의 자전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을 말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지구물리학 과학자들이 2010년 2월 7일 발생한 칠레 지진(강도 8.8의)으로 지구의 자전축이 이동해 자전주기를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나사 소속 리처드 그로스 박사는 이러한 변화가 장기적으로 볼 때 지구의 기후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영국 리버풀 대학교 지구과학 교수인 안드레아스 라이트브록은 지진으로 인한 변화는 감지하기 힘들 정도라고 밝혔다. 2012. 9. 24.
Skin Head (스킨헤드) Skin Head (스킨헤드) 스킨헤드는 머리를 아주 짧게 깍은 청년으로 폭력적인 인종차별주의자를 말한다. 3월 초 한인 유학생이 러시아 스킨헤드족에게 습격을 받아 사망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러시아 스킨헤드족은 한국인뿐만 아니라 슬라브계 백인이 아닌 유색인종 모두를 테러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네오나치라고도 불리며 러시아 전역에만 1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스킨헤드는 1960년 말 영국에서 형성되었다. 노동자계급 출신들로 초기에는 인종차별주의적 성향이 없었다. 머리에 이가 생기지 않도록 삭발했으며 힘든 노동에서 견딜 수 있도록 청바지와 쇠징을 박은 구두를 신고 다녔다. 그러나 1970년대가 되면서 영국에 인도 파키스탄계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백인 노동자들의 실업률이 늘어났다. .. 2012. 9. 24.
Smoking Gun (스모킹 건) Smoking Gun (스모킹 건) 범죄·사건 등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의 결정적 단서라는 의미이다. 스모킹 건이라는 말은 아서 코난 도일쓴 소설인 셜록 홈즈 시리즈 〈글로리아 스코트호〉(The Gloria Scott, 1893년 작)에 기원을 다. 이 작품에서는 ‘스모킹 건’(Smoking Gun)이라는 표현 대신 ‘연기가 피어오르는 권총’(smoking pistol)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데, 그 말이 후에 ‘스모킹 건’으로 바뀌어 널리 사용되고있다. 2012. 9. 24.
Social Network Service (SN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SN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온라인 인맥 구축 서비스이다. 참가자가 서로에게 친구를 소개하여 친구관계를 넓힐 것을 목적으로 개설됀 웹사이트다. 트위터, 미투데이, 싸이월드, 페이스북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4억 명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6·2지방선거 때 SNS인 트위터 사용자들이 사진을 직접 찍어 올리는 '인증샷'으로 투표독려캠페인을 해 화제가 되었다. 또 SNS는 언론사들의 취재 활동,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광범위한 네트워크 사용으로 악성코드나, 온라인 사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또 개인정보 노출로 인해 사생활 침해가 우려된다 2012. 9. 24.
사모펀드 사모펀드 사모펀드(私募 fund)는 소수 투자자를 모아 맞춤형 투자를 하는 펀드다. 주로 부실한 기업을 싼 가격에 사 전문경영인을 통해 정리해고 등의 방식으로 가치를 높여 되파는 펀드다. 바이아웃 펀드(buy-out)라고도 한다. 수익률이 높지만 한편으론 위험도 크다. 또 주로 정리해고나 인수 합병을 하기때문에 노동 조건을 악화시킬 있다. 사모펀드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하는 공모펀드와 달리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한다. 특히 공모펀드는 펀드 규모의 10%이상을 한 주식에 투자할 수 없지만 사모펀드는 이런 제약이 없다. 그러나 이런 점은 재벌들의 계열사 지원, 내부 자금 이동수단으로 쓰이는 등 불법적인 자금 이동에 악용될 수 있다. 사모펀드가 2008년 금융위기의 원인으로 꼽히면서 유럽 연합은 규제에 나.. 2012. 9.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