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se for a Classical Approach
Hedley Bull, "International Theory-The Case for a Classical Approach", Contending Approaches to International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9) Chap 2: pp.20∼38
Hedley Bull : Approach에 대한 구분의 시초
국제 관계 이론에 대한 2가지 Approach: Classical(traditional) vs Scientific
Ⅰ. (국제관계 접근법에 대한 분류)
1. Classical Approach
1) 의미: 철학,역사,법으로부터 이론을 구축하는(theorizing) 접근법
2) 특징
① 판단 행위에 대한 명백한 신뢰
② 가정(assumption): 증명이라는 엄격한 기준에 우리를 제한할 경우, 국제관계에 대하여 말할 것이 거의 없다.
③ 이러한 가정으로부터, 일반적 명제의 도출 : 연역이나 지각의 과학적으로부터 불완전한 과정이고, 이렇 게 만들어진 명제는 그것의 기원만큼이나 일시적이고 불완전한 상태이다.
3) 해당 학자들
① 20세기의 국제 이론의 조직화: Alfred Zimmern, Carr, 한스 모겐소, Georg Schwarzenberger,
레이몬드 아론, 마틴 와이트 등
② 다양한 방법: 정치철학(마키아벨리, 버크) 국제법(Vattel 과 오펜하임) 역사, 팸플릿 등.
2. Scientific Approach
1) 의미: 논리적/수학적 증거 혹은, 증명의 엄격하고 경험적인(empirical) 과정에 기초하여 명제를 도출하 는 국제 관계 이론 추구
2) 고전적 접근법에 대한 태도 : 가치가 전혀 없는 것으로 취급하거나 혹은 가치는 있지만, 쓸모는 없다 (like 골동품)는 태도. → 이러한 태도들은 ‘고전적 접근법은 구식이다.’라는 생각을 보여준다.
3) 분야: 국제체계이론, 게임이론, 협상이론, social communication 이론, 정치연합, 대외 정책 결정 과정 모델, 군비 경쟁, 갈등 이론, peace research 등. → 현재의 국제 관계 연구의 주류
4) 특징
① 연구 방법에 있어서 방대하게 다양.
② 주제에 관한 범위가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학자들 간에 불일치
③ ‘과학적 접근’이라는 것의 정도에 대한 의견 불일치: 어디까지가 과학적인 것인가? 에 대한 의견 불일치
∴ 다양한 과학적 접근 연구가 가지고 있는 공통점에 초점을 한정하는 것이 필요.
3. 현재의 학문 흐름
미국-과학적 접근이 주류 vs 영국-전혀 영향력 없음.
그러나, 어느 경우이든, 과학적 접근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비판하는 경우는 적다. 과학적 접근을 시도한 저작들은 논리와 과학적 엄격함의 기준에서는 질이 높다는 측면을 인정하나, 그것을 가지고 국제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공헌한 바가 거의 없다는 것에서 비판을 한다.
Ⅱ. (과학적 접근법에 대한 잘못된 비판들)
1. 과학적 접근법에 대한 비판의 방법: 합리적이어야 한다. (Rational Criticism)
2. 잘못된 비판의 유형: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① 카플란의 저작의 내용은 너무 어렵다 : 사용된 용어가 너무 어렵고 모호하다.
→ 그러나 카플란의 용어는 정밀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그의 시도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정확하고 경 제적인 방법으로 사용
②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학자들의 동기에 대한 비판 : 자신의 전공과는 무관한 전공자들의 연구.
③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나 태도에 대한 오해 : 가장 보수적인 태도에서부터 가장 급진적인 태도까 지 매우 다양하다. (아마도, 뭐가 진짜 과학적 접근이냐는 문제가 아닐까?)
3. 과학적 접근법에 대한 저자의 비판(평가)
1) 국제 관계 이론에 있어서, 전통적 접근을 전적으로 바꾸는데 집중.(잘못되었으니, 바꿔라.)
2) 비판의 근거(7가지)
① (실험의) 엄격한 절차를 따라서 논리적·수학적으로 증명 가능한 것으로 그들 스스로 영역을 축소
: 국제 관계에 있어서 본질적인 주제에 접근할 수 있는 도구를 스스로 거부함으로써, 현실의 본질과는 동떨어진 연구
→ 국제 관계 이론을 구성하는 본질적인 질문들(주권국가, 공통문화, 국제적 개입의 정당성, 국제정치에 서 전쟁의 위치 등 (p.27참조))에 대한 의미 추구를 중단했다. 과학적 접근법은, 본질보다는 방법론 에 치중함으로써, 국제관계의 본질을 외면하고 있다.
②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학자들 역시, 주제의 본질을 밝힘에 있어서는 전통적 접근법을 사용한다. 곧, 주제의 본질에 접근하는데 있어서는 value의 문제로 돌아간다.
③ 과학적 접근법은 더 이상의 진보가 힘들 것 :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시도보다는 주변적인 주제에만 엄 격하게 과학적 방법으로 접근했다. 더 이상의 방법론적인 진보는 힘들 것.
∵ 국제 문제를 촉발하는 수많은 변수에 대한 통제의 문제, 우리가 만든 이론과 이론화된 사건이 주제와 목적이며, 원인이며 결과라는 것, 특정국가의 행동을 통한 일반화의 문제 등이 해결되어야 할 것.
④ 모델과 현실을 혼동하고 있다. : 과학적 접근법은 복잡한 현실을 지극히 단순화된 추상적 개념으로 모 델화한다. 엄격한 의미에서 모델은 공리와 논리적 명제의 연역적 체계일 뿐이다. 모델을 구축하는데 있 어서 제외된 변수들이 오히려 중요할 수도 있다.
⑤ 양적 측량에 대한 과신
⑥ 탐구하고자 하는 주제 안에서의 엄격함과 정밀함은 고전적 접근법에서도 가능하다. 고전적 접근법을 추 구하는 레이몬드 아론, 스탠리 호프만과 케네스 왈츠의 저작들은 과학적 접근법의 저작들만큼 매우 엄 격하고 논리적인 접근법을 보여주고 있다.
⑦ 과학적 접근법은 역사와 철학을 등한시하여, 자기 비판의 수단·자정능력을 박탈함으로써, 스스로 주변적 인 주제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Ⅲ. 결론
두 가지 접근법 모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적당하게 양쪽의 입장을 혼용하는 절충주의는 최악의 선택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논의는 과학적 접근법을 시도한 저작들이 가치없다(worthless)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가치(value)(추구하는 것, 엄격함과 정확함, 논리성 등)는 고전적 접근법안에서도 충분히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적 방법론의 지나친 추구는 우리를 본질과는 동떨어진 잘못된 길로 인도할 것이다.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평/정치학] 폴 스위지 : 역사와 정면대결한 거목의 위대한 패배 (1) | 2024.01.23 |
---|---|
[요약] System Theory (시스템 이론) (1) | 2024.01.22 |
The Changing Nature of World Power (2) | 2024.01.15 |
Hans Morgenthau :The Limits and Influence of Realism (1) | 2024.01.15 |
Power Analysis and World Politics : New Trends vs Old Tendencies (2)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