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진117

포토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시간, 공간, 그리고 X요인 - 시간, 공간, 그리고 X요인 결합 과정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포토 저널리즘에서 또 하나의 균형이 형성되야 한다. 이것은 TV와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다. TV의 시청자는 하나의 사건이 전개되는 동시에 그 사건에서 일어나는 일을 볼 수 있고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인식하게 되어 현실과 가장 가까운 또 다른 현실을 지각하게 된다. TV 리포터가 전개되는 사건에 대해 설명을 하는 것은 사진과 글로 형성되는 사진 저널리즘과 유사하지만 한 지 중요한 다른 점이 있다. TV에서는 영상과 음성이 동시에 전달된다. 이러한 동시적인 지각은 가장 빠른 이해 반응을 가져오고 감정과 의식에 가장 뚜렷한 자극을 전달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토 저널리즘에서 글과 사진은 각기 다.. 2022. 6. 8.
포토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 비결은 결합이다. - 포토 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힉스(Wilson Hick) - 글과 사진 (Words and Pictures)에서 비결은 결합이다. 가장 구체적인 보도는 직접 사건을 관찰하여 이루어진다. “난 그 장소에 있었다. 사건을 직접 봤다. 사건은 이렇게 전개되었다" 인쇄 매체에서 어떤 사건을 가장 사실과 밀접하게 보도해 주는 것은 적합한 헤드라인과 캡션이 있는 사진이다. 인간이 주변 환경을 가장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각에, 그리고 두 번째로는 청각에 의존하게 된다. 문자만을 사용하는 보도는 제3자가 경험한 것을 독자를 위해 재구성하기 위해 문자 만에 의존하는 셈이다. 인쇄된 글은 말로 하는 언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므로, 듣는 것과 읽는 것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눈이 소리의 상징인 글을 두뇌로 전달.. 2022. 6. 8.
사진의 메시지 보도사진은 하나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의 총체는 송신원, 전달경로, 그리고 수신처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원은 신문의 편집으로, 전문가 집단의 일부가 사진을 찍고, 일부는 사진을 선별하며, 구성하고, 처리하며, 또 다른 일부는 인화, 설명, 논평한다. 수신처는 신문을 읽는 독자들이다. 그리고 전달경로는 신문 그 자체로,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사진이 중심이기는 하지만 그 주변은 원고, 제목, 설명문, 조판형태로 구성되는 경쟁 메시지들의 복합체이며, 보다 추상적인, 그러나 생기를 불어 넣어주는 것이 아닌 것으로 신문의 제명 자체이다(제명은 메시지 해독 자체를 전환시키기도 한다. 하나의 사진은 오로르[1]에서 위마니테[2]로 옮겨 가면서 그 의미가 바뀔 수도 있는 것이다.). 메시지의 전통적 세부분[3]을 연.. 2022. 6. 8.
"러시아의 한인들" - 김지연 - 러시아의 한인들 - 김지연 사진.글, 눈빛, 168쪽 - 탈북 어린이와 외국인 노동자의 삶을 부단히 기록해온 사진작가 김지연씨의 사진집. 2001년과 2002년 연해주,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등에서 만난 고려인의 삶은 100여 컷의 흑백사진으로 담았다. 2001년과 2002년, 민중들에게는 생존의 땅이자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에게는 활동의 장이었던 연해주와 우즈베키스탄, 볼고그라드 등에서 만난 고려인들의 삶의 모습이 담긴 100여 컷의 흑백사진이 실려 있다. 낯선 땅에서 만난 한인들을 통해 어둠의 순간보다 그들의 얼굴에서 찰나적으로 빛나는 희망의 미소, 온정의 마음을 고스란히 읽어 사진으로 재현해 내고 있으며, 그 안에는 선대로부터 유산으로 물려받은 흙의 힘을 닮은 강인함이 자연스레 묻어나고 있다. 2022. 6. 8.
Portraits of Artists,1980~1993 - 임영균 - 2022. 6. 8.
침묵시위하는 대학생 - Kuwabara Shisei 1965년 외교정책을 둘러싸고 전국이 불안한 정세에 놓여 있었다. 일제로 부터 독립된지 20년 한국전쟁 휴전으로 부터 12년째의일이다. 수도 서울과 지방의 대학에서 한일 국교 수복의 굴욕외교에 반대하는 학생 데모로 혼란했고, 그것은 1960년 이승만 정권을 와해시킨 4.19혁명에 이은 민중의 봉기라고 할 수 있는 격동의 시기였다. 한일국교 수복은 학생들 뿐만 아니라 일반 민중들에게 있어서도 과거 36년간에 걸친 일본에 의한 식민지 시대의 아픔을 상기시키고 민중의이념과 일본에 대한 불신감을 불러 일으키게 만드는 것이었다. 가혹한 역사를 경험해야 했던 한민족에게 있어서는 일본과의 국교 수복은 너무 빨랐고, 그만큼 충격도 컸다. 보슬비 내리는 서울거리를 학생들이 침묵시위를 하고 있다. 그 4개월 후인 12월 .. 2022. 6. 7.
80일간의 세계일주 그리고 서울의 기억 - 세계의 도시와 환경 세계 각국의 이국적인 도시 풍경과 함께 그들만의 독특한 풍물과 인정, 민족성 등을 풍자적으로 묘사한 쥘 베른의 1873년 소설 는 57년 동명의 영화로 제작되면서 영화사상 최초로 카메오 개념을 도입한 작품으로 유명하다. 이제 우리는 서울시 한복판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80개의 수작들과 더불어 미공개 서울 사진들을 80일 동안 만날 수 있는 2004년 한국판 세계일주 사진전의 주옥 같은 작품들을 사진집으로 만날 수 있다. '세계의 도시와 환경 사진전'은 저널리즘 사진분야에서 최고로 권위 있는 사진작가들을 멤버로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런던 본사를 중심으로 파리, 뉴욕과 동경에 지사를 두고 있는 매그넘Magnum의 주요 작가들의 대표 작품과, 전 세계에 다양한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 2022. 6. 7.
포화 속에서도 삶은 계속됐다. - 1950년대 컬러사진 - 재미동포 곽홍씨가 담은 한국전쟁 당시 생활상 한국전쟁 때 미 해병대 의무대 군의관으로 재직했던 곽홍(79·미국 볼티모어 거주)씨가 당시에는 귀했던 컬러슬라이드필름으로 기록해 놓은 사진을 50여년이 지난 이제 한겨레신문에 전해왔다. 서울대 의대 재학 중 1950년 말 군에 자원 입대해 미 해병대 군의관이 된 곽홍씨는 미군 피엑스에서 구입한 볼렉스(곽홍씨의 기억) 카메라에 당시로는 귀했던 슬라이드필름을 넣어 사진을 찍었다. 슬라이드필름들은 하와이 호놀룰루로 보내 현상을 해서 보관했다. 전선의 야전병원에서 수많은 부상병들을 돌보는 와중에도 틈틈이 주변 마을을 찍었고 1952년 서울 입성 뒤에는 전쟁의 상처를 안은 서울의 모습들을 기록했다. 2022. 6. 7.
기록으로서의 사진 - 조선시대 풍속 - 이사진들은 일제시대 이전의 사진들로 추측됩니다. 대략 1800년대 후반으로 생각되는데 한국적인 토속미가 물씬 풍기는 사진들이죠. 그리고 일제시대 때보다 한층 여유로운 조선시대 생활상을 들여다 볼수도 있구요. 사진 원작자가 설명을 해두지 않아 사진에서 어느지역 어떤모습인지 설명을 드릴수는 없지만 말로만 듣던 그시대 생활상을 사진을 통해 엿볼 수 있는 소중한 기록이라고 보여집니다. 2022. 6. 7.
미나마따의 아픔 - Kuwabara Shisei 미나마따병이라고 불리어졌던 일본의 상징적인 공해병을 통렬히 고발한 구와바라 시세이의 30년에 걸친 충격적인 기록사진과 취재수기가 담긴 미나마따의 아픔. 그 비극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2022. 6.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