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otographer

Robert Capa (로버트 카파, 1913∼1954 )

by 淸風明月 2024. 3. 6.
반응형

본명은 앙드레 프리드만(Andre Friedman)으로 1913년 10월 22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유태인 재단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나이 17세 때 유태인 차별 정책과 공산주의에 동조했다는 이유로 추방되었다. 1931년 독일 베를린에 이주한 로버트 카파는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틈틈이 '데포통신사'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알프레드 아이젠슈태트'의 암실조수를 하면서 보도사진을 찍으며 돈을 벌었다. 1932년 우연히 코펜하겐에서 망명길에 오른 『네온 트로츠키』를 찍어 유명해지면서 정식 사진기자로 출발하는 행운을 잡았다. 1947년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 데이빗 세이무어, 조지 로저, 윌리엄 반디 버트 등과 함께 매그넘(Magmum)을 창설한다. 그는 전장에서 산화한 종군기자로써 '당신에게 마음에 들지 않는 사진이 있다면 그것은 당신이 좀 더 접근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카파의 사진은 그의 정신 속에서 만들어지고, 사진기는 단순히 그것을 완성시킬 뿐이다. 훌륭한 화가의 캔버스와 같이 카파는 대상을 어떻게 보며,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다. 이를테면 그는 전쟁 그 자체를 사진으로 표현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왜냐하면 전쟁이란 격정의 끝없는 확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그밖에 있는 것을 찍어 그 격정을 표현한다. 그는 한 아이의 얼굴 속에서 그 민중 전체의 공포를 나타내고 있다. <존 스타인 벡>

 

제1차 세계대전 당시까지 언론 매체에 보도되는 대개의 사진들은 자국의 승리를 찬양하고, 군인들의 사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것들뿐이었다. 대중에게 쇼크를 줄 수 있는 그것이 분명 전쟁의 진실임에도 불구하고, 잔혹 행위나 죽은 이들의 비참한 모습은 검열 과정에서 삭제되었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는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가차없이 사라지게 된다. 그런 일련의 움직임의 정점에 서 있던 사진가가 바로 로버트 카파이다. 그는 전쟁터를 누볐고, 수많은 젊은이들이 자신의 가족과 사랑하는 이들의 품에서 어느날 갑자기 불려나와 이름도 모르는 언덕과 골짜기, 초원에서 사라져가는 현장을 지켰고 그들을 기록했다. 우리나라에는 <카파의 손은 떨리고 있었다>로 소개된 그의 책 는 종군기자를 꿈꾸었던 많은 젊은 사진작가들에게 바이블이 되었으며 그의 너무 이르고 극적인 죽음은 그를 종군기자의 신화가 되도록 했다. 이제 종군기자들은 그들의 생각을 세상에 전하기 위해서라면 어느 때라도 자신을 지배하려드는 매스 미디어와 정부의 권력에 맞서 싸우려 들었다. 그것이 바로 카파이즘(Capaism)이다.

 

로버트 카파란 이름이 마치 종군기자 혹은 전쟁 사진 전문가의 대명사처럼 알려져 있지만 그가 전쟁만을 찍고 싶어했던 것은 아니다. 다만 그가 겪어내야 했던 시대적 상황이 계속되는 전쟁 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결국 그는 사진의 주된 소재로 전쟁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로버트 카파의 이름을 전세계에 처음으로 알린 것은 1936년 스페인 내란 중에 찍은 <왕당파 병사의 죽음 Spanish Loyalist at the Instead of Death> 이었다. 

Spanish Loyalist at the Instead of Death

이 사진을 시작으로 로버트 카파는 포토저널리스트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한 병사가 돌격하기 위해 참호 속에서 뛰쳐나가다가 머리에 총탄을 맞고 쓰러지는 장면을 보여준 이 사진은 마침 돌격하는 병사 가까이 있었던 로버트 카파가 이 순간을 놓치지 않고 카메라로 잡아냈고, 이 사진이 1936년 「라이프Life」지에 게재(이 해에 라이프지가 창간되었다)되면서 로버트 카파는 하루아침에 유명세를 타게 되었다. <병사의 죽음>은 후세에 연출된 것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사기는  했지만 그것은 마치 오귀스트 로댕의 조각이 너무나 리얼한 나머지 실제 사람의 본을 뜬 것이라고 의심했던 것처럼 인위적인 연출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이 사진으로 카파는 국제적 명성을 얻었지만 스페인 내란에서 자신의 아내 겔다를 잃고 만다. 그와 겔다가 아군 진지를 촬영하던 중 전선에서 후퇴해 온 아군 전차가 촬영 중인 겔다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겔다를 치어 죽음에 이르게 하고 말았던 것이다. 눈깜짝할 사이에 벌어진 일이었다.

 

카파는 얼이 빠져 이렇게 중얼거렸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전쟁이구나.' 겔다는 빌드락, 장 르느와르, 피카소, 아라공, 말로, 니생 등에 의해 정성껏 장례를 치뤄 주었지만 겔다의 죽음에 상심한 카파는 반 달 동안 숙소에 엎드려 계속 울었다고 한다. 이후 그는 평생동안 독신으로 지냈다. 그에게 새로운 사랑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겠지만 평생 전쟁터를 떠돌 자신의 운명을 미리 예감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스페인 내란을 필두로 그는 1938년에 일어난 중일전쟁 때는 일본군의 잔학한 학살 참상과 비탄에 빠진 중국인들의 모습을 전세계에 알렸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는 더 이상 유럽에 머물 수 없게 되었다.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간 카파는 그의 헝가리 국적으로 인해 적성국가 국민으로 분류되어 카메라조차 뺏길 형편에 처한다. 그러던 중 <커리어즈>에 의해 채용되면서 극적으로 종군기자에 복귀하게 되는 행운을 만난다.

The landing at Normandy, 1944.

 

노르망디 상륙작전 The landing at Normandy, 1944. 이 사진이 잡지에 게재되면서 사진에 대한 캡션으로 사용된 말이 '카파의 손은 떨리고 있었다'였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도  위험을 무릅쓰고 전투장면을 촬영한 사진이 있는데 그때 사진은 상당히 흔들려서 사진이 떨린 상태이고 핀트도 맞지 않았다. 그러나 오히려 이 사진에서는 당시의 절박했던 상황을 더욱 절실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제2차세계대전의 보도사진 중에서 최고의 걸작으로 간주되는 작품이다.  1945년 그는 미국 시민권을 얻게 되었고, 1947년에는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 데이비드 세이무어 등과 함께 <매그넘MAGNUM>을 결성한다. 그는 이 무렵 존 스타인 벡과 함께 소련에 촬영여행을 간다. 1949년과 51년에는 피카소의 가정생활을 보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에게 평화는 잠깐이었다. 1948년부터 50년까지는 이스라엘 독립전쟁을 취재하였다.

 

1954년 카파는 일본의 한 신문사 초청으로 일본에 가 있었다. 그러나 <매그넘> 회원인 친구 잔 모리스가 뉴욕에서 그를 불렀다. <라이프>지에서 베트남 전세가 긴박해지자 카파에게 그곳에 가줄 것을 화급히 간청한 것이다. 카파는 베트남 행을 말리는 친구에게, '삶과 죽음이 반반씩이라면 나는 다시 낙하산을 뛰어내려 사진을 찍겠네.'라고 말했다. 그는 이 말을 남기고 서둘러 길을 떠났다. 그리고 그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Nam Dinh, South of Hanoi, Vietnam, May 25th, 1954.

이 흑백 사진을 찍은 직후, 카파의 발 밑에서 지뢰가 터졌고, 로버트 카파는 더 이상 셔터를 누를 수 없게 되었다. 로버트 카파는 41살의 젊은 나이에 1954년 인도차이나 전쟁(프랑스와 베트남간의)을 촬영하던 중 지뢰를 밟아 폭사하고 말았다. 1954년 5월 25일의 일이었다.

 

< 약 력 >

1913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출생
1931년   유태인 탄압을 피해 독일로 이주
1933년   파리로 이주
1935년   로버트 카파로 개명하고 본격적으로 보도 사진가로 나섬
1936년   스페인 내란 촬영
1938년   중일 전쟁 촬영
1942년   제2차세계대전 촬영
1945년   전쟁 종결후 미국시민으로 귀하
1947년   사진 통신사격인 '매그넘' 결성
1948년   팔레스티나의 이스라엘 독립전쟁 촬영
1954년   인도차이나 전쟁 촬영에서 지뢰를 밟아 폭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