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83

시장원리? (Market peincipal?) 시장원리? (Market peincipal?) 노암 촘스키 2005년 9월 19일(월) 9:39AM 미국을 보라. 1750년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회들 중 하나였다. 물론 그것은 산업화 이전의 일이다. 만약 미국이 시장원리에 부합하는 비교우위를 추구했다면 지금쯤 물고기와 털, 농산물과 같은 것을 수출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지금 미국은 산업화되었지만, 그것은 시장원리를 고수했기 때문이 아니었다. 오히려 시장원리에 대한 급진적인 위반이 (오늘날에는 ‘발전’으로 알려져있는) 비교우위를 바꿔내기 위해서 의식적으로 행해졌기 때문이었다. 미국은 “세계화”에 참여했는가? 물론이다. 산업화 초기의 면화는 오늘날 석유와 다소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 미국은 원주민과 노예를 몰살시키거나 추방함으로써 주요한 면화.. 2024. 5. 15.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배경과 역사적 의미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배경과 역사적 의미조원희(국민대 교수·경제학)1. 신자유주의가 지배하는 세계의 일상적 풍경"거대담론은 그만"이라고 외치는 소리를 귀가 따갑게 듣던 시절이 어제 같은데 요즈음 관심사는 정말이지 거창한 것들 투성이다. 좌파가 억지로 관심을 끄자고 주장하는 것과 무관하게 오늘의 현실이, 그리고 세계언론을 장악한 소수의 거대언론이 난리 아닌가. 세계화, 신자유주의, 신경제, 정보통신혁명, 전세계 주가폭락 및 불황위기 등등. 태러와의 '세계적 전쟁'은 또 어떤가.그러나 너무 거창하게 시작하면 느닷없이 우리 앞에 나타난 요상한 유령들을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다. 차라리 일상적인 풍경 속에서 이 거대한 신시대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 더 빠른 길일 수도 있다. 특히 본지의 독자들은 주로 문학적 상상력.. 2024. 5. 15.
NGO 배우기 - 시민과 시민사회 [2강] 시민과 시민사회  강사 : 이홍균(이화여대 사회생활학과 교수) 이 번 강의에서는 시민 개념을 정의하고 20세기말부터 본격적으로 부활하기 시작한 시민과 시민 사회, 그리고 시민사회단체의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한다.이론적으로 21세기는 시민과 시민 사회의 르네상스 시대로 불리고 있고, 거의 대부분의 현대 사회학 이론가들에게 시민과 시민 사회는 근대성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경험적으로 한국에서는 1989년 경제정의실천연합의 탄생이후 다양하고 수많은 시민사회단체들이 등장하여 매우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시민과 시민 사회에 대한 엄밀한 개념 정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시민사회단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도 아직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시민과 시.. 2024. 5. 15.
NGO 배우기 - 인간·사회·체제·참여행동 [1강] 인간·사회·체제·참여행동  강사 : 조희연(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겸 NGO학과 교수)1. 인공의 위협과 인간의 두가지 응전'인간'의 역사는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한 고투(苦鬪)의 역사였다. 인간이 원시적 수준에 있었을 때 자연은 예측할 수 없는 천재지변을 일으키는 두려움의 대상이거나 인간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킬 수도 없는 물질적 결핍환경으로 존재하였다. 이렇게 위협적인 자연을 개발하고 물질적 풍요를 향유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은 인류문명의 기술적 발전과 집단으로 조직화되어 사회를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의 역사가 기술문명을 발전시키고 개인에서 사회로 전환되면서 인간의 삶에는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인간은 물질적 풍요를 누리게 되었지만 동시에 인공적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 2024. 5. 15.
대장동 정역학 녹취록 대장동 특혜 개발 의혹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수사가 시작된 직후인 2021년 9월 26일과 10월 1일, 대장동 업자인 정영학 회계사는 스프링 노트로 제본한 녹취록 8권, 녹음기, 녹음파일이 담긴 USB 등을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제출했다. 김만배, 유동규, 남욱 등과 나눈 대화와 통화가 녹음된 자료였다. 이 녹취록에는 '50억 클럽'으로는 익히 알려진 대로 박영수 전 특별검사와 최재경 전 청와대 민정수석, 권순일 전 대법관, 김수남 전 검찰총장, 곽상도 전 국민의힘 의원 등이 언급되었다. 이밖에도 검찰 고위 인사 일부는 대장동 사업 초기 단계,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가 각종 수사를 무마해 달라며 청탁을 벌인 것으로 의심되는 대목에도 등장하는데 2013년 남욱 변호사는 김 씨가 윤갑근 전 고검장에게 말해준.. 2024. 5. 15.
Is there a classical international theory? Is there a classical international theory? by robert jackson   1. 국제이론의 Martin Wight   Martin wight은 1960년대 국내정치와 국제정치를 비교하면서 국제정치 이론은 없다라고 해서 논쟁이 되었다. 국제정치는 몇 몇 이론가 - 칸트, 마키아벨리, 버크가 그들의 재능과 열정을 받쳤지만 국제정치이론의 고전적 걸작은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를 제외하고 없다. 국제관계이론은 항상 위대한 정치이론가들의 관심과 호기심의 주변부에 있었다. Martin wight의 정치이론에 의하면 정치학의 ‘과학적’ 또는 실증주의 정치이론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것은 인류와 그들의 관계에 오류가 있는 계획으로 간주했고, 또한 학문적 이론을 언급하지 않.. 2024. 5. 14.
New Approaches to International Theory -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  Edited by John Baylis and Steve Smith First published 1997 Written by Steve Smith  New Approaches to International Theory 개요 - Introduction - Explanatory/Constitutive Theories and Foundational/Anti-Foundational Theories - Rationalist Theories : The Neo-Realist/Neo-Liberal Debate - Reflectivist Theories - Bridging the Gap : Social Constructivis.. 2024. 5. 14.
Structural Realism after the Cold War Structural Realism after the Cold WarKenneth N. Waltz. 2000. "Structural Realism after the Cold War," International Security Vol. 25. No. p 15∼41.    국제정치 학자들 중 일부는 현실주의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비록 현실주의의 무정부성, 자력구제, 세력균형이 과거에는 적당했을지 모르지만, 상황은 변화하였고 더 나은 개념들로 대체된다고 본다. 적절하지 않을 정도로 국제정치체제를 바꿀 수 있는 것 단위 레벨에서 이루어지는 체제 내에서의 변화가 아니라 체제자체에서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핵무기는 국가들이 자신들의 안보를 어떻게 추구하는 방법에 있어 결정적인 변.. 2024. 5. 14.
Why is There No International Theory? Why is There No International Theory? - Martin Wight  H. Butterfield and M. Wight (eds). Diplomatic Investigations(London: George Allen & Unwin). pp 17 - 34.   1. 서론   Martin Wight는 고전적 의미의 국제이론은 있는가? 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그는 고전적 국제이론은 정치이론에 포함된 범주의 성격을 지닌다고 보기 때문에 국제이론은 없다고 본다. 국제이론은 ‘국제관계에 관한 학문의 방법론’이나 ‘국제적인 현상의 종합적인 설명을 제시하는 어떤 개념체계’을 의미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이 둘 다 아니다. 국제관계에 많은 저작물들이 있지만 진정한 대작.. 2024. 5. 14.
Rethinking East Asian Security Rethinking East Asian Security Survival, vol, no. 2 Summer 1994, pp 3 ~ 21 Written by Barry Buzan & Gerald Segal  1. 이 글의 목적 동아시아 지역이 21세기 분쟁의 가장 중요한 지역이 될 것이라는 가정下에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동아시아 국가들 간에 역사적 궤적과 질곡을 제시하며 ‘군사안보와 세력균형’, ‘안보의 경제학’이라는 이론적 전개와 ‘국제사회의 약함’에 대해 논의한 다음 중국의 부상, 미국의 부재, 무기경쟁 등이 이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으며 CSCE와 같은 다자주의에 근거한 요소를 수용할 것을 주장한다.  2. History ■ 냉전 이데올로기와 초강대국 경쟁에 기원하지 않을지라도 냉전기간 동안 .. 2024. 5.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