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치사상13

[정치사상] 순자 (荀子) ― 예(禮) ― 공자가 정치를 논했을 때 그는 “행인(行仁)” 과 “정명(正名)”을 지표로 삼았다. 맹자가 관심을 가진 것은 행인(行仁)이었고, 순자가 강조한 것은 정명(正名)이다. 예(禮)는 좁은의미는 의문형식(儀文形式) 넓은의미는 전장제도(典章制度)을 가르킨다. 순자의 정치사상은 예를 기초로 하고 있고, 성악설을 발전시켰다. 성악설은 욕망을 절제하기 위한 것이지, 욕심을 없애라는 것은 아니다. 공자가 말하기를 本性으로는 서로 가까우나, 습관(習慣)으로 서로 멀어진다. 성상근야, 습상원야(性相近也, 習相遠也) 순자는 사람이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고, 질투하고 미워하는 마음을 가지며, 또 귀와 눈에 욕망이 있어서 아름다운 소리와 빛깔을 좋아한다고 믿었다. 만일 이러한 것들이 제멋대로 자라도록 내버려두고.. 2022. 7. 17.
[정치사상] 맹자 (孟子) 1. 맹자의 생애와 시대 공자의 학문을 이어받은 사람은 맹자와 순자이다. 그 중에 맹자는 이름이 孟況이고 자는 卿이다. 출생은 전국시대 후기이다.封建天下의 제도와 가치가 공자가 살던 시대에 비해 아주 없어져서 남은 것이 없었다. 당시 부국강병의 시대상 때문에 仁義에 대한 그의 말은 소용없었지만 공자보다 지위가 높았고 이름이 드러났다. 맹자의 사상은 백성이 귀중함(民爲貴),하나로 결정됨(定於一)와 일치일난(一治一亂)이 있다. 2. 백성이 귀중함(定於一) 1) 공자의 정치사상=인(仁)을 중심 맹자 역시 공자를 이어받아서 ‘仁心’과 ‘仁政’이론으로 발전 2) 仁心의 시작은 본래 성선(品性이 착함)에 있다. 3) 맹자는 사람들이 仁?義?禮?智의 四德이 있다고 보았다. ① 仁→惻隱之心 ② 義→羞惡之心 ③ 禮→辭讓.. 2022. 6. 28.
[정치사상] 공자 (孔子) 공자 (孔子) 1. 공자의 생애와 시대 孔子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다. 공자의 조상은 높은 벼슬에 올랐지만 일찍 아버지를 여의어서 빈천(貧賤)했다. 그러나 힘써서 군자의 학(君子의 學)을 이루었다. 孔子의 일생의 사적(事績)은 정치에 종사하고, 학문을 가르치고, 책을 편술한 세 가지 밖에 없었다. 벼슬길은 그리 좋지 않았다. 孔子는 스스로 30세가 되어서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三十而立)그 후 제자를 받기 시작하였는데 신분의 귀천이 되지 않았다. 실제로 배우는 사람은 비천한 집안의 사람들이었다. 공자는 봉건천하(封建天下)에서 전제천하(專制天下)로 변하는 과도기 시대의 초기였다. 주(周)는 이미 쇠퇴했지만 아주 없어지지는 아니했고, 사회계급은 붕괴되고 있었지만 아직 남아 있었다. 그래.. 2022.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