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olitics and Society Archive383

[1997년] 직장보육시설 확대를 위한 정책토론회 * 자료명 직장보육시설 확대를 위한 정책토론회 * 관련단체 직장보육시설 활성화를 위한 연대모임 / 1997 년 * 첨부파일 주제발표 : 직장보육시설의 현황 진단 - 김근례(전국병원노동조합연맹 여성부장) 1. 취지 2. 조사방법 3. 사용자 설문지 분석 4. 노동조합 설문지 분석 5. 보육교사 설문지 분석 6. 이용자(부모) 설문지 분석 7. 조사결과 요약 및 개선방향 정부정책에 대한 제언 및 기업 (노동조합을 위한 실천지침 제시) - 왕인순(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사무국장) 서론 1. 정부의 직장보육시설 정책 추진 실적 평가 2. 정부정책에 대한 제언 3. 기업-노조의 직장보육시설 추진 상황에 대한 평가 4. 기업-노조 실천지침 제시 약정토론 : 서울대학병원 어린이집 운영과정과 평가 - 현정희 (서울대학병.. 2016. 5. 31.
[1997년] '생태마을 만들기 그 현황과 과제' 세미나 자료집 * 자료명 '생태마을 만들기 그 현황과 과제' 세미나 자료집 * 관련단체 전국귀농운동본부, 녹색연합 / 1997 년 * 첨부파일 주제발표 1 : 생태마을이란 무엇인가? ① 생태운동과 생태마을 / 장 원 (녹색연합 사무총장, 대전대 교수) ② 귀농운동과 생태마을 / 이병철 (전국귀농운동본부장) 주제발표 2 : 생태마을 사례와 전망 ① 국외 사례(유럽의 생태마을, 생태주거단지) / 김현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② 국내 사례(전통 마을) / 김홍식 (명지대 교수) 주제발표 3 : 생태마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① 경제적 독립성을 고려한 마을 만들기 / 남상도 (한마음공동체) ② 마을 기본 계획 / 양병이 (서울대 환경대학원장) ③ 생태건축 설계 시도 및 그 문제점 / 고주석 (Oikos 대표) 주제.. 2016. 5. 31.
[1997년] 생산직 여성노동자 운동 : 1987 - 1996 * 자료명 생산직 여성노동자 운동 : 1987 - 1996 * 관련단체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 1997 년 * 첨부파일 생산직 여성노동자 운동 : 1987 - 1996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여성노동자회와 한국여성단체연합 노동위원회의 조직 배경 Ⅲ. 대응활동과 쟁점 Ⅳ.맺는말 Ⅰ. 머리말 생산직 여성노동자운동의 뿌리는 제조업이 이 땅에 도입되기 시작하던 일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19년부터 1940년까지의 노동자 투쟁 123 건 중 94건이 여성노동자 단독의 투쟁이었고 나머지도 남녀 노동자투쟁이었다 (이효재, 1989:103). 전평이 불법화된 1947년 이후, 노동자 투쟁의 급격한 소강상태를 겪는 와중에서도 경공업 중심의 여성노동자들은 훨씬 오랫동안 치열한 투쟁을 .. 2016. 5. 31.
[1997년] 병원의 신경영전략과 노조의 대응 * 자료명 병원의 신경영전략과 노조의 대응 * 관련단체 민주노총 전국병원노동조합연맹(KFHU) / 1997 년 * 첨부파일 1장. 병원 경영환경 변화와 신경영전략 ------------------------------------- 1 1절. 머리말… 1 2절. 병원 경영환경 변화… 2 3절. 병원경영의 변화방향… 19 2장. 신경영전략의 일반적 특징과 병원 노사관계의 특수성 ------------------- 23 1절. 신경영전략의 일반적 특징… 23 2절. 병원노사관계의 특성… 33 3장. 병원 신경영전략 실태 ------------------------------------------------ 38 1절. 서울대병원… 38 2절. 서울중앙병원… 50 3절. 전남대병원… 62 4절. 경북대병원… 7.. 2016. 5. 31.
[1997년] 여성의 국민연금권 확보 방안 * 자료명 여성의 국민연금권 확보 방안 * 관련단체 한국여성단체연합 / 1997 년 * 첨부파일 우리나라 국민연금법의 내용과 지급 현황을 살펴보고, 특히 여성에게 미흡한 연금법의 문제점과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토론자료이다. 2016. 5. 31.
[1997년] 박정희시대 재평가와 오늘의 한국사회 * 자료명 박정희시대 재평가와 오늘의 한국사회 / 김 상 조 * 관련단체 민주노동당 / 1997 년 * 첨부파일 90년대 들어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유형의 신드롬이 명멸하고 있다. 오렌지족 신드롬, 서태지 신드롬, 미시 신드롬, 아버지 신드롬 등등에서부터 최근의 박찬호 신드롬에 이르기까지. 박정희 신드롬도 그 하나이다. 작년 하반기이래 도무지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지 않는 이른바 경제위기와, 연말 대선을 앞두고 무주공산의 영남권 표를 얻으려는 정치권의 움직임이 맞물리면서, 박정희 신드롬은 날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신드롬이라는 사회심리적 현상에 대한 필자의 이해 수준은 지극히 상식적인 선에 머물러 있다. 필자의 상식적인 이해에 비추어 볼 때, 모든 유형의 신드롬은 다음 두 가지 측면, 즉 대부분의 경.. 2016. 5. 31.
[1997년] Hot Spring '98 기업 지배에 맞선 투쟁을 위한 자료집 * 자료명 Hot Spring '98 기업 지배에 맞선 투쟁을 위한 자료집 * 관련단체 유럽 A SEED / 1997 년 * 첨부파일 이 소책자와 Hot Spring '98 캠페인은 1997년 12월 룩셈부르크에서 개최된 A SEED Europe 활동가 회합의 결과물이다. 여기서 우리는 기업 지배(corporate rule)에 대항하는 행동을 위한 공동전략을 발전시키고자 했었다. 이 회합에서 우리는, 기업 지배가 항상 엄청나게 진행되고 있고 또 한 그룹이나 개인이 다루기에는 너무도 많기 때문에, 이에 전체적으로 대항하는 효과적인 켐페인은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만약 세계의 그룹과 개인들이 더 많이 협동하고 정보와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다면, 우리는 기업이 주도하는 지구화(globalisation)의.. 2016. 5. 30.
[1997년] 정신대 자료집 VI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북한의 입장과 활동 * 자료명 정신대 자료집 VI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북한의 입장과 활동 * 관련단체 한국 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 1997 년 * 첨부파일 책을 엮으면서 편집부 '종군위안부' 범죄에 대한 진상조사 중간 보고서 6 '종군위안부' 범죄에 대한 진상조사 중간보고서 발표에 즈음하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제의 조선강점피해조사위원회 7 '종군위안부' 범죄에 대한 조사사업 11 '종군위안부' 범죄의 진상 23 '종군위안부'범죄와 관련한 우리의 견해와 주장 30 부록(자료편) 31 공개증언에 나선 전 '종군위안부' 피해자(34명) 36 공개 증언 사례자료(17건) 일본의 전후처리 문제에 대한 평양국제토론회 63 일본의 전후처리 문제에 대한 평양국제토론회 보고서 - 북한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전쟁피해자 보상대책.. 2016. 5. 30.
[1997년] 제5차 일본군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보고서 * 자료명 제5차 일본군위안부 문제 아시아연대회의 보고서 * 관련단체 한국 정신대문제 대책협의회 / 1997 년 * 첨부파일 개회식 3 개회사 넬리아 산쵸 5 필리핀 생존자의 환영사 프리실라 바르토니코 국가별 주제발표 6 한국 지은희 11 인도네시아 13 대만 헨리 K.M.챵 17 일본 타케시마 타추에 21 필리핀 넬리아 산쵸 생존자 증언 26 한국 정서운 30 대만 유취 에 췐 32 인도네시아 마르디엠 34 필리핀 아모니타 발라자디아 결의문 및 연대사 36 제4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38 메시지 39 아시아연대회의 보내는 연대사 부록 50 Lila-Phlipina 기자회견문 51 대만 입법부 의원들이 일본의회에 보내는 서한 2016. 5. 30.
[1997년] 특수건강진단 개선방안 토론회 자료집 * 자료명 특수건강진단 개선방안 토론회 자료집 * 관련단체 민주노총 / 1997 년 * 첨부파일 □ 사 회 김 은 희(노동과 건강연구회 공동대표) □ 인 사 말 배 석 범(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수석부위원장) □ 주제발제 (15분) 특수건강진단제도의 개선 -- 양길승(성수의원 원장) □ 보조발제 (10분) 금속연맹 공동검진 사업의 성과와 평가 -- 김정곤(민주금속연맹 조선분과 산업안전국장) □ 지정토론 (각 10분) 이채필 (노동부 산업보건과장) 이미경 (민주당 국회의원) 박태순 (대열보일러 노동조합 위원장) 강성규 (산업보건연구원 직업병진단연구센터 소장) 박석운 (노동정책연구소 소장) 김정태 (한국경영자총협회) 자료집 순서 특수건강진단제도의 개선 ----- 7p 양길승(성수의원 원장) 금속연맹 공동검진 .. 2016. 5.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