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 Cinema

가난을 엄벌하다. - 로익 바캉 -

by 淸風明月 2011. 3. 3.
반응형


책 한권의 여유 No. 13

가난을 엄벌하다

『가난을 엄벌하다』
/ 로익 바캉 지음, 류재화 옮김/ 시사in북/ 2010년

'안전'이라는 이름으로 각종 형사처벌정책들이 소리 소문없이 때로는 언론을 등에 업고 국회를 통과 하거나 대기 중이다. 그러나 생존권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요구에는 때법이라는 이상한 논리를 가져다 붙히며 무관용 정책으로 강하게 응징한다. 쌍용자동차에 퍼부었던 공권력, 자신의 생존권을 위해 망루에 올랐던 철거민들을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고 경찰특공대를 투입해 진압하면서 발생한 용산 참사, 살아남은 생존자에게 조차 가혹한 형량이 내려졌다. 이제 또다시 G20이라는 이름으로 불법검문이 길거리에서 판을 치고, 사회적 약자인 '노숙인, 이주노동자' 등을  잠재적 범죄자로 규정하고 노골적인 배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사회가 결코 정상적인 사회는 아니다.

현재 이명박 정권이 추진하고 있는 일련의 형사사법정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궁금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오늘 소개할『가난을 엄벌하다』를 읽어보면 된다. 이 책은  ‘신자유주의-형벌주의’가 가져온 사회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해놓은 책이다. 신자유주의가 노동의 유연화 및 사회복지 서비스의 중단 등을 가져오고 이 과정에서 시장과 사회에서 누락된 사람들을 ‘엄벌주의’로 쓸어 감옥으로 보내버린 다는 것이다. 사회권 보장을 위한 국가 및 공동체의 책임을 회피한 결과 그 책임과 잘못을 빈민들에게 돌리는 것이다. 그러한 사회적 배제의 양상이 미국에서는 가난한 미국계 흑인을, 유럽에서는 이민자 및 이주노동자, 유색인종 등을 겨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로익 바캉은 이들이 배제되는 과정을 매우 실증적인 통계를 제시하며 분석하고 있다.

흔히 신자유주의의 물결에서 우리가 들어온 것은 시장에 대한 국가역할의 축소이다. 그러나 ‘국가 개입 축소’로 현재 형벌주의 강화에 대한 흐름은 설명되지 않는다. 그래서 로익 라캉은 주목해야할 지점으로 ‘국가의 임무 수정’을 제기하고 있다. 로익 바캉은 국가의 역할에 대한 변화를 가리켜 “경제국가 소멸! 사회복지국가 약화! 형벌국가 강화!”라고 이름 붙였다. 즉 경제싸움터에서는 이미 서서히 물러나고 있는 국가의 사회적 역할은 줄어들되, 국가의 필요성을 강화하기 위해 형벌 업무는 늘리고 있다는 것.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93년 뉴욕 시장으로 선출된 줄리아니는 새로운 경찰 및 형벌 정책 강령을 만들어 뉴욕을 ‘똘레랑스(관용) 제로’의 국제전시장으로 만들었다. 백인 주도로 이루어지는 공권력이 어린 절도범을 폭력적으로 체포하고, 거지․노숙인․부랑인을 거리에서 몰아내며, 불법체류자를 강제 추방하는 일이 합법화되었다. 또한 뉴욕시 경찰국장으로 부임한 윌리암 브래튼은 공공장소에서 어슬렁거리는 빈민 건달의 상시적 희롱에 중산층, 상류층이 느끼는 공포를 경감하기 위해 치안업무 개편으로 △경찰 중대 및 치안인력 10배 증강 △책임 있는 작전 수행을 위해 업무 결과를 통계화 및 수치화 △정보 체계 강화 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경찰장비를 최신화 하고 치안예산만 40% 인상(26억 달러)했다. 이 돈으로 1만2천명의 경찰을 신규 채용해 1999년 뉴욕 경찰 인원은 4만6천명에 달한다. 같은 시기 뉴욕 사회복지 분야 예산은 3분의 1인 삭감, 관련 부서 공무원 8천명이 일자리를 잃어 전체 인원은 1만 3천4백여 명이다. 이 결과 공권력에 의한 시민들의 체포는 24% 증가했다. 이러한 양상은 뉴욕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신자유주의 물결을 타고 남미, 영국, 프랑스 등으로 확대된다. 라캉의 주요 관심대상은 유럽연합이지만, ‘신자유주의-형벌주의 접합 모델’은 라틴아메리카들과 수직적 체계가 강조되는 권위주의 역사를 가진 국가들, 심한 사회적 불평등으로 인해 빈민이 다수인 나라들이 더 들어맞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책이 발간된지 10년이 넘었다. 그러나 책 속에 등장하는 국가들의 상황이 지금 한국사회와 너무나 비슷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엄벌주의-성과주의, 경범죄 처벌의 증가, 경찰인력 및 예산의 증가 등등... 로익 라캉의 연구가 ‘신자유주의-형벌주의’를 강화하고 있는 답답한 현실에 답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안전'에 대한 공포 속에서 속수무책 손 놓고 있는 나에게 “확실히! 이건 아니야” 라고 대답할 용기를 내게 해줄지 모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