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정치사상] 소크라테스와 소피스트

by 淸風明月 2022. 7. 17.
반응형

 

 

소크라테스 

 

 

1) 철학적 기초 

 

첫째, 세계는 우주 질서의 원리인 로고스가 지배한다. 인간을 이성을 통해 로고스를 이해할 수 있고, 이런 참된 지식을 통해 고귀한 품성인 德을 가지게 된다(지덕일치). 

둘째, 참된 지식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변증술이고 상대논리의 부정확성을 지적하고 양자의 공동된 견해를 도출하는 것으로서 서양철학의 원형이 되었다. 

셋째, 이런 철학적 바탕속에서 당시 민주주의의 혼란에 대해 복고주의적 해결을 시도했다. 고대 그리스의 주지적 전통에 보수적 의미를 부여하며, 붕괴하기 시작한 Polis 내에서 보편적 이성과 질서를 통해서 조화와 안정을 부여하려 했다(정치적 귀족주의). 

 

2) 국가관 

 

국가는 로고스에 기초한 객관적 규범질서이다. 국가는 국가의 목적에 맞는 선량한 시민을 만들기 위해 교육을 시리시하고, 시민은 국가에 복종해야 한다. 국가가 국법이 명하는 것을 잘 이해하고 따를 때 정의는 실현된다(형이상학적 전체주의적 국가관). 

 

 

 

소피스트 

 

1) 철학적 기초 

 

인간은 감각과 욕망을 지닌 경험적 존재이다.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얽매는 객관적 로고스는 존재하지 않고, 오직 자기 자신의 감각, 욕구만이 기존이 된다(상대주의). 인간의 본성을 사적이익의 추구이다(이기주의). 그리고 모두가 이러한 본성을 소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은 평등하다(평등주의). 개개인은 자유로워야 한다(노예제 반대). 

 

2) 국가관 

 

Polis는 개인들이 서로의 사적이익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계약에 의해 성립되었다. 하지만 현실은 이와 달랐다.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는 것이 정의이고, 종교는 통치자가 인민을 지배하기 위한 수단이다. 국가는 강자를 위한 장치가 된다(실력도구주의). 

 

3) 평가 

 

자연에 대한 인간을 객관적 진리에 대해 주관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이 속에서 정치를 목적과 가치의 개념이 아니라 현실주의적 입장에 입각하여 파악했다. 이후 정치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후 극단적 주관주의와 상대주의에 빠짐으로써 지적 무정부상태를 초래하게 되었다. 정치를 지나치게 수단과 기술의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이 단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