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강의노트] 근대한국정치 강의노트 11강

by 淸風明月 2024. 6. 12.
반응형

2006 근대한국정치론: 11

 

기독교 민족주의와 계몽주의(1)

자료: 웰스, 5-6/ 영상자료: 평양 대부흥 운동(1907)

춘원의 민족개조론

 

5장 문화적 개조와 민족과 국가의 분리, 1920-1925

1920년대- 한국민족주의의 르네상스

자아개조 개신교- 안창호와 이광수

- 자유민주주의, 기독교 문명 신봉

- 시민적 도덕성, pluralism(다원주의)

 

3.1운동의 결과

기독교와 천도교의 동맹(연합)

이승훈, 길선주

이승만과 <독립정신>

혁명적 사회주의 등장, 1922

초기 장로교 사회주의자- 이동휘, 여운형

 

한국내의 개혁과 저항, 1919-21

사이토의 제한적 개혁- “문화정치” 1920년대

국내 기독교계

일부는 상해임정에 가담- 현순, 김병조, 장붕 목사 등

평양- 대한국민회 재조직

애국여성회, 독립청년단

 

동아일보와 언론 창간

문화주의+ 민족주의 [= 문화민족주의]

장덕수- 청년연합회

기독교청년연합 결성, 1921

윤치호와 신흥우

춘원 이광수- 오산학교, 이승훈의 영향, 자아개조론

민족주의론, 수양동우회 활동

개조- 개혁과 혁명보다 더 심오한 과제

- 한국문명의 총체적 개조

민족개조론”<개벽>1922.5. (23)에 게재해 파문을 일으킴

-정치를 도덕 개조와 교육 밑에 종속적으로 함

-식민지배를 민족의 부패에 대한 죄의 결과로 인식(184)

민족=국가가 되어야 한다는 민족주의의 정치원리에 도전

춘원은 새로운 민족을 정치적으로 정의하지 않고

교육과 종교를 통하여 접근 (비정치적 민족주의)

실력양성론의 대표적 논설

 

웰스의 해석

-일본인은 일본의 민족국가만을 추구, 문화적으로 취약

-한국은 동화되지 않고, 문화민족주의는 일본지배 약화시킬 것

-민족주의적 전략이 기대되는 상황에서 문명론을 제시함

 

**개조사상의 원류는 기독교에 있나?

웰스:기독교관점서 이를 자기재건(self-reconstruction)으로 해석

[기독교의 회개운동- 1907년 평양 대부흥운동-에서 연유한 것]그러나 춘원은 이런 원리를 기독교의 성령중심의 운동개념에서 분리하여 이를 인격적 각성의 개조개념으로 변형시킴.

이타적 공공정신으로 이해- (그 기반인 성령운동 현상을 이해 못한 것인가?) 개조운동은 기독교의 중생을 중심개념으로 하나? 춘원은 이것을 유교적 전통의 수양의 개념으로 이해함. 질적인 변화가 먼저 일어나고 그 이후의 성화(santification)의 문제로 간주하였나? [동광]을 참조할 것.

 

총독부의 회유설/ 1921. 11. 11-22 태평양회의 초에 집필/ 아부충가와 집필내용을 상의/

문제점/ (1)민족쇠퇴 원인을 일제의 침략이라는 외적 조건이 아니라, 내적원인, 즉 타락된 민족성에서 찾음

(2) 문화운동의 이론적 근거로 민족성 개조론을 제시

(3) 정치운동의 포기를 주창

반론1) 유학생 최원순/ 동아일보 기고

주관적 판단- 민족성을 도덕성으로만 판단하는 것 오류

[이것이 방법상의 오류인가 기독교사상의 결과인가?]

반론2) 사회주의자들의 반박/ 신일용, 주종건, 최팔용, 김명식

- 조선의 최우선 과제는 도덕적 결함의 개조가 아니라 외재적 조건의 개조

[유물론분석- 유심론적 개조론과는 반대의 처방을 제시함]

 

민립대학설립운동

김성수- 송진우와 중앙고등학교

윤치호- 2의 개조론의 대가(웰스)

3.1운동을 반대, 성공으로 이끌 힘이 없다고 간주

사회적 진화론에 빠져있는 것인가?

사도 바울론- 유대민족의 해방보다는 보편적 영성을 추구

한국기독교의 일반 경향인 반일민족주의적 노선을 반대

문화옹호론- 계몽주의적 편견 (노재봉, 계몽주의 비판)

 

* 저자(웰스)는 문화민족주의를 성서에 기반한 장기적 자기개조운동으로 해석. 좌파 급진주의와는 다른 관점에서 긍정적 해석.

 

문화주의의 변명, 1923-25

문화주의 운동의 쇠퇴

총독부의 방해

경성제국대학 설립, 1924~

 

사회주의의 등장

기독교 사회주의자들

박희도와 <신생활>

한위건

최린과 천도교 개조주의자

윤치호- 2의 사도바울론

보편주의자의 고뇌

 

 

 

12강의 기독교 민족주의와 계몽주의(2)

 

6장 민족적 회개와 개화, 1925-1937

사회주의 사건- 1923, <신생활> 사건

공산당 검거 사건

 

1924. 9. <조선일보> 민족진영에 매각- 이상협, 이상재,

안재홍, 백관수

-민족주의 좌파 기관지 역할

신의주 공산주의사건- 이상협 사임

 

1925. 총독부 언론탄압

- 동아일보, 개벽, 시대일보, 조선일보

 

신간회, 1927- 1931.5.

기독교 연합전선(이상재, 조병옥, 이갑성, 박동완, 조만식, 정춘수, 이동욱, 김영섭, 김활란) 개인자격, YMCA

기독교 민족운동과 사회주의간의 연합 제휴

개신교의 후원- 3만명 회원확보에 영향

<수양동맹회>, 연합전선에 가담

총독부, 신간회 결성을 묵인/ 비타협주의라는 주장의 약점

 

1928 2차 공산당 사건 연루자 40% 신간회 회원

1929년 광주학생운동

신간회원의 검거

자매단체 근우회

 

기독교인, 조만식, 김병로 등

수양동우회- 흥사단 지부

안창호계열- 수양동맹회 + 동우구락부

<동광>, 1926-31/ 이광수, 조병옥, 주요한

개혁과 공공선(public virtue)

 

계몽주의적 사회참여 신앙 (한국기독교의 역사 II, 1990)

지식인, 엘리트 주도

현실사회참여신앙이 좌파로부터 개량주의’ ‘타협주의라는 비난을 받음

이상재, 세계개조론- “고로 금에는 상제께서 차세계를 일차 개조치 아니면 아니 되겟다 하시고... 인을 회오케 하시며 인을 개조케 하실 때”- 1920-30년대 기독교 사회참여와 인간책임론

 

조병옥, “기독교 신우회”/ 사회복음주의 신학에 영향을 받음

신흥우, “적극신앙단” 1932/ 기독교의 민중화, 생활의 간소화, 산업기관의 시설, 조선적 교회 설립

 

cf) 흥업구락부/ 윤치호, 신흥우, 유억겸

 

회개의 사회학

주요한과 <동광> 1926.5. - 1933. 2.

수양동우회의 기관지/ 개혁과 공공선

공공도덕 강조/ 성실이나 효도 같은 유교적 덕목이 아니라

정직, 선한 믿음, 인내, 이타주의, 공적 우선성

사랑, 용서, 상호 격려 등의 기독교 보편 윤리

 

안창호- 익명으로 저술, 예언의 형태

새로운 문명창조의 부름

: 무책임, 질투, 허영심, 불신, 거짓, 분열

: 청지기, 상호격려, 신뢰, 정직, 협동

 

안창호의 개조론 사상

개조론 연설

서구문명의 윤리적 기초는 개신기독교(Protestantism)

회개와 개조 (개조연설 인용문 참조)

기독교 문명국가론

) 이타주의(윤치호, 이광수)/ 박애(안창호)

 

문화, 문명론- 윤리적 기초는 개신교

계몽적 개조론

개조의 단위는 개인

기독교 정신- 이타주의(윤치호, 이광수), 박애(안창호)

냉혹하고 무정한 사회에서 온정적이고 따뜻한 사회로

 

도산의 흥사단 운동/ 자기개혁자들의 연합 공동체운동

장로교회식”, 민족갱신의 도구

자유의 사상/ 사회와 정치의 다원성

 

도산의 시민적 공론 사상- 국가적 단결의 원천 개인과 시민들의 자유활동, 자발적 활동을 공동체,

즉 국가적 단결의 원천으로 파악

개인주의/ 사회개조와 변화의 방법론에서 개인주의자(194)

독특한 개인주의, 이기심과는 다른 조류

자기를 부인하는 것, 개인적 책임성의 의식(195)

웰스- 문제점: 애매성/ 국가적 단결과 상반된 이기적, 자기중심적 개인의 자유를 부정적으로 봄

개인주의 윤리와 공리주의적 사회사상간의 충돌문제

 

김윤경- 헤겔철학, 인간적인 사회

안창호의 4대덕목 강조(무실, 역행, 충의, 용기)

인종주의 및 민족주의 명제 거부

 

집단적 자유주의(Collective Liberalism)로의 이동

신채호의 비판 <용과 용의 대격전>

반기독교적,

-자아개조론이나 수양동우회에 대한 비판

수양동우회의 논쟁

소장파, 개인에서 사회구조 변화문, 사회참여 제기

조병옥- 수양동우회의 정치운동화 주장

주요한-자기수양에서 정치적 훈련으로 그 강조점을

전환모색 (행동주의) (동광 27년 글들)

1926년 안창호 만남/ 안창호- 흥사단의 정파적 노선 을 반대, 기본적으로 인격 수양운동으로 유지 원함

도산, 수양회 조직과 다른 단체 통해 혁명운동 참여

웰스 커멘트/

동우회 운동- 도덕성 중시, 그러나 독립을 위한 수단으로 사회개조를 제기함. 박애의 문제로 인식

주요한- 자유주의 내에서 방법론적 집단주의를 대중화 시킴, 1929수양동우회를 다시 동우회로 명칭을 변경

조선신문화 운동이 신조선건설운동으로 바뀜. 민족개조의 핵심이 독립주권 문제라고 인식(206)

사회주의의 일시적 수용

1931.5. 동우회의 신간회운동에의 참여가 종료

1933.2. <동광> 발행금지

 

혁명의 기독교적 이론

1931. 2. 도산의 논문 인격완성과 단결훈련에 관하여...”

민족적 단결 약함을 신간회 분열의 원인으로 지적

 

1932.4. 도산 일 경찰에 체포됨

<신간회>연합전선 실패이후 영성운동으로 복귀 시도

 

1933-35. 동우회, 흥업구락부, YMCA가 연대

cf) 신흥우의 적극신앙단

 

1936. 조만식, [개혁운동의] 중앙기구 제안

-안창호, 윤치호, 안재홍 등이 이에 호응

-개신교회를 자아개조의 공동체로 재건

 

 

 

참고문헌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 1-2(기독교문사, 1990)

케네스 웰스, <새 하나님 새 민족>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도산 안창호 전집> “개조연설문.

<동광>

이승만, <독립정신> (로스앤젤레스, 1910. 2.)

이승만, <한국교회핍박> (호놀루루, 1913. 3.)

이광수, “민족개조론,” <개벽>32, 1922. 11.

김윤식, <이광수와 그의 시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