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알기 쉬운 시사용어489

기준금리 기준금리 금리체계의 기준이 되는 중심금리.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고 금융정세의 변화에 따라 표준적으로 변동하며 또한 금융시장에 있어서의 각종 금리를 지배한다. 2022. 6. 28.
피어볼라 (fearbola) 피어볼라 (fearbola) 공포(Fear)와 에볼라(Ebola)를 결합한 용어로 에볼라에 대한 지나친 공포감을 말한다. 과거에는 중부 아프리카에서 간간이 발생하였으나 2014년 3월 서아프리카의 기니에서 환자가 발생한 이후 불과 몇 달 만에 전 세계를 위협하는 대역병(大疫病)으로 커졌다. 2014년 10월 17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 수는 9216명, 사망자는 4555명에 달한다. 특히 올 해 10월들어 방역체계가 잘 갖춰진 미국과 유럽 등에서도 사망자와 감염자가 잇따르고 있어 에볼라가 전 지구적 재앙이 될 것이라는 공포, 즉‘피어볼라(Fearbola:Fear+Ebola·에볼라 공포)’가 확대된 적이 있다. NBC방송 등 현지 미디어는 비이성적인 에볼.. 2022. 6. 15.
이원집정부제 이원집정부제 내란ㆍ전쟁 등의 비상시에는 대통령이 행정권을 전적으로 행사하나, 평상시에는 총리가 내정에 관한 행정권을 행사하며 대통령은 외교 국방 등의 권한만을 가진다. 대통령은 통상적으로 국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되며, 의회의 다수당 당수가 총리로 선출된다. 의회가 내각에 대해 불신임권을 가지며 내각은 국회해산권을 갖지만, 대통령은 의회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제도가 혼합되어 있는 절충적 형태이기 때문에, 어떤 요소와 성질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이원집정부의 명칭들은 준대통령제, 분권적 대통령제, 이원정부제, 이원적 의원내각제, 이원집정부제, 혼합정부형태, 권력분산형 대통령제, 권력분산형 의원내각제, 반의회제 등으로 다양하다. 이 개념은 독일의 바이마르 헌법에서 처음.. 2022. 6. 15.
기저효과 기저효과 기저효과란 어떠한 결과 값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기준이 되는 시점과 비교대상시점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그 결과 값이 실제보다 왜곡되어 나타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반사효과라고도 한다. 호황기의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현재의 경제상황을 비교할 경우 경제지표는 실제상황보다 위축되게 나타나고, 불황기의 경제상황을 기준시점으로 비교하면 경제지표가 실제보다 부풀려져 나타나게 된다. 이것이 바로 기저효과 때문이다. 2010년 1분기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7.8% 상승하면서, 7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는 전년의 침체(전년 1분기 -4.3%)에 대한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드러났다. 2022. 6. 15.
금융접근권 금융접근권 금융접근권은 사회구성원이 대출 등 금융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자본주의 시대에 모든 사람이 누려야 할 기본적인 인권으로 '금융접근권'이라는 개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 중 810만명이 금융소외자다. 사실상 제1금융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7~10등급의 저신용층이다. 2009년 국내합법적인 대부업시장은 약 5조원. 불법사채 등 사금융 시장 규모는 모두 16조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저신용자들이 절벽으로 내몰리고 있음을 뜻한다. 이 같은 맥락에서 최근 인권운동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이 ‘금융접근권’이다. 돈 없이는 살 수 없는 자본주의 안에서 돈의 물줄기인 금융의 이용을 제한하는 것은 결국 사람에게 물이나 공기를 끊는.. 2022. 6. 15.
구매관리자지수(PMI) 구매관리자지수(PMI) 구매관리자지수(PMI)는 미국 구매관리자협회인 NAPM(National Association of Purchasing Management)이 매달 제조업 동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산출하는 제조업 분야의 경기지표를 의미한다. 이는 지불가격, 신규주문, 출하정도, 생산, 재고, 고용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기업의 가격 결정력과 인플레이션 위험 등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신뢰도 평가를 위해 선진국에서 널리 이용된다. 조사대상의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수치화 시키며, 수치화된 지수가 50인 경우에는 이전 달에 비해 아무런 변화가 없는 상태이고, 50 미만인 경우에는 경기수축을, 50 이상인 경우에는 경기팽창을 의미한다. 한국은 PMI를 따로 산출하지 않으며, 이와 비슷한 지표로.. 2022. 6. 10.
퀄리파잉오퍼 (qualifying offer) 퀄리파잉오퍼 (qualifying offer) 퀄링파잉오퍼란 메이저리그에서 구단이 자기 구단에 소속된 FA에게 제시하는 1년 계약 안으로, 선수가 이를 받아들이면 당해 메이저리그 연봉 상위 125명의 평균 연봉을 지급받게 된다. 퀄리파잉오퍼를 받은 선수가 이를 거부하고 다른 구단과 계약하면 원 소속팀은 다음 해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1순위 지명)와 2라운드(2순위 지명)사이에 선수를 추가 지명할 수 있다. 반대로 퀄리파잉 오퍼를 거부한 선수와 계약하는 구단은 다음해 신인 드래프트에서 1순위 지명권을 포기해야 한다. 퀄리파잉오퍼는 대형 구단의 FA독식을 막기 위해 2012년부터 도입됐다. 구단은 몸값이 싼 선수에겐 퀄리파잉오퍼를 제시하지 않고, 몸값이 비싼 선수는 퀄리파잉오퍼의 계약 조건으론 만족하지 않.. 2014. 12. 2.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10개국과 한중일 3개국, 호주ㆍ뉴질랜드ㆍ인도 등 총 16개국의 관세장벽 철폐를 목표로 하는 일종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 2015년 타결을 목표로 협상 진행 중이다. RCEP가 체결되면 역내 인구 34억 명, 무역규모 10조 1310 달러(약 1경 1043조원), 명목 국내총생산(GDP) 19조 7640만 달러에 이르는 자유무역지대가 성립된다. 우리 정부는 RCEP가 체결되면 수출시장을 크게 확대할 수 있어 한국 경제의 안정적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RCEP 체결 이후 10년간 우리 경제가 약 194억 달러(20조 원)의 경제적 이득을 얻을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 11월 10일 체결된 한ㆍ중.. 2014. 12. 2.
고용보조지표 고용보조지표 '일하고 싶은 욕구가 완전히 충족되지 않은 사람들'을 실업률 통계에 반영한 지표. 지금까지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알아봤지만 전 주에 일을 하지 않은 경제활동인구만을 실업자로 인정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취업 공부를 하는 취업준비생과 짧은 시간이라도 일을 하는 아르바이트생은 실업자가 아니다. 또 경력단절여성과 일시적인 구직단념자도 실업률에 집계되지 않았다. 이런 기준으로 지난달 집계된 실업률은 3.2%다. 공식 실업률이 청년 취업난 같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계속돼 왔다. 통계청은 지난 12일 '10월 고용 동향'을 발표하면서 '고용보조지표'를 발표했다. 국제노동기구(ILO)가 지난해 10월 '일하고 싶은 욕구가 완전히 충족되지 않은 사람들'을 실업률 통계에 반영하도록 새로 .. 2014. 12. 2.
시간 빈곤 시간 빈곤 ‘시간 빈곤’이란 1주일 168시간 중에서 개인 관리와 가사·보육 등 가계 생산에 필요한 시간을 뺀 시간이 주당 근로시간보다 적을 경우를 의미한다. 최소한 1주일에 잠자고, 먹고, 쉬고, 가정을 돌볼 시간은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 문제의식의 시작이다. 11월 4일 고용노동부 산하 기관인 한국고용정보원이 미국의 레비경제연구소와 공동으로 지난해 3∼12월 진행한 ‘소득과 시간 빈곤 계층을 위한 고용복지정책 수립 방안’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노동인구의 42%가 ‘시간 빈곤’ 상태였다. 숫자로는 930만명에 달했다. 소득이 넉넉해도 시간이 부족하다면 ‘빈곤’에 빠질 수 있다. 가사노동, 보육 등 정상적인 삶에 필요한 시간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그 부족 시간을 대신할 ‘대타’ 구입 등에 비용이 들어가.. 2014.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