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주주의의 전개과정
1. 한국민주주의의 초기 성격
1) 미국으로부터 직수입된 ‘수입민주주의’
- 대통령중심제의 단원제 의회민주주의를 중심으로
- 권력투쟁 과정에서 의원내각제적 요소 결합
- 지방자치제 역시 권력강화에 악용
- 1공화국 당시 부분적으로 양원제 채택
2) 좌우익 대결과 남북한 분단상황으로 인한 ‘우익민주주의’
3) 좌파소멸 후 우익친일파가 권력을 장악한 ‘매국적 민주주의’
4) 국민의 대다수가 정치로부터 배제된 ‘과두적 민주주의’
5) 민주주의의 외양만을 갖춘 ‘형식적 민주주의’
2. 민주주의를 위한 1단계 저항: 4월혁명과 장면정권
1) 1공화국의 허구적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 저항
2) 4월혁명의 배경
- 이승만정권의 부정부패와 장기독재 (정치사회적 요인)
- 1공화국 후반기의 경제적 침체 (경제적 요인)
3) 4월혁명의 성공요인
- 이승만정권 권력내부의 취약성
- 정권에 대한 국민적 불신과 불만
- 학생과 지식인집단의 조직적 저항
- 미국의 동조 (군부동요 저지, 하야성명, 하와이 망명)
- 민주당이라는 대체권력의 존재
4) 4월혁명의 실패요인
- 국민적 욕구 분출
- 민주당 장면정권의 무능함과 분열
- 미국의 정치적 개입
- 혁명주체의 취약성 (학생, 지식인, 좌파)
- 5․16 군사쿠데타
3. 4월혁명에 대한 저항과 반동화: 5․16 군사쿠데타
1) 군사쿠데타의 배경
- 동북아지역의 안정화를 위한 미국의 세계전략
- 국내혼란과 한국전쟁을 통해 비대화된 군부의 개입욕구
- 장면정권의 분열과 취약한 군부통제능력
2) 쿠데타의 진행
- 장면정권의 무대응과 군부의 분열
- 미국의 혼란과 궁극적인 쿠데타 승인
- 쿠데타군의 승리와 권력찬탈
- 정치규제 실시
- 3년간의 군정 실시
3) 쿠데타의 결과
- 민정이양 방식을 통한 정치개입 (3공화국)
- 부정부패와 장기독재 시작
- 민주적 질서의 부분적 유지 -> 민주질서의 와해 (4공화국)
4. 군사정권의 재반동화: 10월유신
1) 재반동화의 배경
- 군사정권의 정통성 상실 (7대 대통령선거 결과)
- 군사정권의 장기집권 욕심
2) 10월유신의 진행
- 계엄령 선포와 정치일정 중단
- 유신헌법 발효 및 민주정치제도 단절
- 폭압적 통치와 재야 민주화 운동의 극한적 대립
3) 10월유신의 붕괴 원인
- 유신정권의 내부모순 (권력내부갈등: 비서실-경호실, 온건파-강경파)
- 후견자인 미국의 정책변화 (카터정권의 인권외교정책)
- 국민적 저항 (부마항쟁), 야당의 저항, 재야의 저항, 노동현장의 저항
5. 서울의 봄과 신군부의 재반동화
1) 서울의 봄과 광주민주항쟁
- 유신붕괴 이후 짧은 기간의 민주화 국면
- 학생, 지식인, 재야를 중심으로 한 민주화 운동 전개
- 5․17 군사쿠데타로 좌절
- 군사쿠데타와 김대중 체포에 대한 저항이 광주민주항쟁으로 발발
2) 신군부의 재반동화
- 10․26을 계기로 군 내부 권력투쟁 전개
- 전두환과 하나회를 중심으로 한 신군부와 정승화를 중심으로 한 구군부의 대결
- 12․12쿠데타를 계기로 신군부 득세
- 5․17쿠데타를 통해 서울의 봄을 누르고 권력장악
- 최규하 대통령 강제하야 및 전두환 대통령 선출
3) 재반동화의 배경
- 사회민주화에 대한 군부의 저항
- 구군부에 대한 신군부의 불만
- 미국의 신냉전 흐름이 강경군부 등장 촉발
6. 민주화 운동의 사회적 확산과 조직화
1) 유화국면의 등장
- 국내의 민주화 요구와 미국 등 국제적인 요구
- 83년 후반기부터 정치활동, 학생활동 허용 (정치규제조치 해제)
2) 민주화 운동의 확산과 조직화
- 민추협(민주화운동추진협의회) 발족 (김영삼, 김대중)
- 민청련, 민통련 등 재야운동 발족
- 대학가에 총학생회 부활
- 민추협을 기반으로 통일민주당 결성, 85년 2․12총선에서 돌풍, 제1야당 등장
3) 민주와 반동의 극한적 대립국면
- 개헌국면: 야당을 중심으로 대통령직선제 개헌 전개 (여당은 내각제 주장)
- 사상공작 등 일련의 용공사건 돌출
: 86년 10월 서울대 대자보사건, 유성환의원 통일국시논쟁
상지대 용공조작사건, 금강산댐사건, 건국대 애학투련사건 등
4) 민주화 운동의 전국적 조직화와 저항: 6월민주항쟁
- 87년 박종철고문치사 은폐조작사건을 계기로 민주화 운동 고조
(야당, 재야, 종교계, 학생, 지식인, 노동계가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결성)
- 6월항쟁을 계기로 직선제 수용 등 6․29선언 강제
- 6월항쟁 이후 노동자대중투쟁 전개
5) 12대 대통령선거와 민주화의 지연
- 선거국면에서 김영삼과 김대중의 분열
- 87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서 야당 패배
- 선거를 통한 군사정권의 재집권 (노태우 6공화국 등장)
7. 민주화의 진전과 공고화
1) ‘여소야대’ 국면과 민주화
- 88년 4월 13대 총선에서 야3당의 승리 (평민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 5공청문회, 광주청문회, 언론청문회 등 전개
- 노동관계법 등 제도개혁 추진 (그러나 좌절)
- 90년 3당합당으로 민주화 국면 역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
2) 김영삼 문민정부의 등장과 정치적 민주화
- 민자당내 정권교체에도 불구하고 정권출범 후 정치개혁 단행
- 부정부패세력 청산작업 진행 (박준규, 김재순, 김문기 등 척결)
- 고위공직자 재산등록 및 공개 실시
- 금융실명제 실시와 전․노 대통령 구속
- 정권 말기에 개혁좌절 및 IMF로 국난 유발
3) 김대중 국민의 정부와 사회경제적 민주화
- 50년만의 최초의 선거를 통한 평화적 정권교체 성취
- 금융개혁, 재벌개혁 등 추진
- IMF 극복을 위한 외교정책, 납북관계 등에서는 좋은 점수 획득
- 그러나 국내정치개혁, 교육개혁 등 사회개혁 실패
4) 노무현 참여정부의 등장과 지방분권
- 포스트 양김시대의 정치 개막
- 지방분권과 탈권위주의 추진
- 대통령 탄핵, 행정수도 이전 무산으로 국정운영기조 저하
8. 한국민주화의 성격과 과제
1) 한국민주화의 성격
- 제한적 민주화, 불완전한 민주화
- 탈군사화의 완성, 반면 국민적 참여에 의한 민주화 취약
- 재벌의 정치적 영향력 강력, 반면 노동계의 역할 취약
2) 한국민주화의 과제
- 민주화에 부합하고 민주화를 추진할 정치세력교체
- 민주적 성과의 법․제도화를 통한 민주주의의 공고화
- 개혁진보세력의 정치적 등장을 통한 정치적 다원화
- 권력민주화/권력교체에서 다음 단계의 구체적 민주화로 진전
3) 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5대 개혁과제
- 재벌개혁
- 언론개혁
- 정당개혁
- 정부개혁 (국정원, 검찰)
- 부패척결
'Politics and Society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적 빈곤과 ODA (0) | 2022.11.13 |
---|---|
[International Politics] 분쟁 예방(conflict prevention)/예방외교(preventive diplomacy)란? (0) | 2022.11.13 |
[현대민주주의론] 참여민주주의 (0) | 2022.11.03 |
[현대민주주의론] 자유와 평등의 관계 (0) | 2022.11.03 |
[현대민주주의론] 사회주의의 발전 (0) | 2022.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