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olitics and Society Archive383 [정치사상] 노자와 장자 (老子와 莊子) 노자는 성이 이씨이고 이름은 이이다. 자는 담(聃)이다. 은나라 유민일 가능성이 크다. 주나라에서 사(史)라는 직업을 가졌다. ‘도덕경’을 노자가 지었다고 하지만 지었다는 근거가 없다. 도가도 비상도(道可道 非常道), 명가명 비상명(名可名 非常名)는 도덕경의 첫 구절인데, 도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이미 평상적인 도가 아니다. - 반자도지동야(反者道之動也) - 反者道之動也; 반이라는 것은 도의 움직임이다. 반자(되돌아가는 것 혹은 반동)은 도의 운동(反者道之動也)이라고 하였다. 유 안에 무가 들어있고 유에서 무가 생겨났다. 상대성의 원리이다. “유와 무는 상대적으로 생겨났고, 어려움과 쉬움도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며, 긴 것과 짧은 것도 상대적으로 나타나며, 높은 것과 낮은 것도 상대적으로 기울어지는 것이며,.. 2022. 7. 17. [정치사상] 묵자 (墨子) 제자백가중 천민출신이었으며 가장 미신적, 공산주의적인 사람이다. 전국시대 초기에 태어나서 맹자처럼 신왕에의 기대도 없었다. 유물론적 장식, 가문, 음악, 미술, 예술에 대해 부정적/적대적이었다. - 겸애와 교리(兼愛와 交利) - 묵학의 근본은 겸애에 있다. 공자의 인 개념과 같다. 공자의 논리는 선근후원이었지만, 묵자는 그 반대이다. 묵자; “남을 먼저 사랑하고 자신을 사랑하라”라고 했고 사람의 본성은 악하다고 보고 있다. 세상의 난은 모두 이기심 때문이다. 다음과 같이 말했는데, “이제 질서의 혼란이 어디서 발생하는가를 살피건데, 그것은 서로 사랑하지 데서 생긴다. 신하나 자식이 임금이나 아비에게 불효하는 것을 혼란이라 일컫는다. 자식이 자신을 사랑하되 아비는 사랑하지 않기 때문에 아비를 젖혀 놓고 자.. 2022. 7. 17. [정치사상] 순자 (荀子) ― 예(禮) ― 공자가 정치를 논했을 때 그는 “행인(行仁)” 과 “정명(正名)”을 지표로 삼았다. 맹자가 관심을 가진 것은 행인(行仁)이었고, 순자가 강조한 것은 정명(正名)이다. 예(禮)는 좁은의미는 의문형식(儀文形式) 넓은의미는 전장제도(典章制度)을 가르킨다. 순자의 정치사상은 예를 기초로 하고 있고, 성악설을 발전시켰다. 성악설은 욕망을 절제하기 위한 것이지, 욕심을 없애라는 것은 아니다. 공자가 말하기를 本性으로는 서로 가까우나, 습관(習慣)으로 서로 멀어진다. 성상근야, 습상원야(性相近也, 習相遠也) 순자는 사람이 나면서부터 이익을 좋아하고, 질투하고 미워하는 마음을 가지며, 또 귀와 눈에 욕망이 있어서 아름다운 소리와 빛깔을 좋아한다고 믿었다. 만일 이러한 것들이 제멋대로 자라도록 내버려두고.. 2022. 7. 17. [정치사상] 맹자 (孟子) 1. 맹자의 생애와 시대 공자의 학문을 이어받은 사람은 맹자와 순자이다. 그 중에 맹자는 이름이 孟況이고 자는 卿이다. 출생은 전국시대 후기이다.封建天下의 제도와 가치가 공자가 살던 시대에 비해 아주 없어져서 남은 것이 없었다. 당시 부국강병의 시대상 때문에 仁義에 대한 그의 말은 소용없었지만 공자보다 지위가 높았고 이름이 드러났다. 맹자의 사상은 백성이 귀중함(民爲貴),하나로 결정됨(定於一)와 일치일난(一治一亂)이 있다. 2. 백성이 귀중함(定於一) 1) 공자의 정치사상=인(仁)을 중심 맹자 역시 공자를 이어받아서 ‘仁心’과 ‘仁政’이론으로 발전 2) 仁心의 시작은 본래 성선(品性이 착함)에 있다. 3) 맹자는 사람들이 仁?義?禮?智의 四德이 있다고 보았다. ① 仁→惻隱之心 ② 義→羞惡之心 ③ 禮→辭讓.. 2022. 6. 28. [정치사상] 공자 (孔子) 공자 (孔子) 1. 공자의 생애와 시대 孔子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다. 공자의 조상은 높은 벼슬에 올랐지만 일찍 아버지를 여의어서 빈천(貧賤)했다. 그러나 힘써서 군자의 학(君子의 學)을 이루었다. 孔子의 일생의 사적(事績)은 정치에 종사하고, 학문을 가르치고, 책을 편술한 세 가지 밖에 없었다. 벼슬길은 그리 좋지 않았다. 孔子는 스스로 30세가 되어서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三十而立)그 후 제자를 받기 시작하였는데 신분의 귀천이 되지 않았다. 실제로 배우는 사람은 비천한 집안의 사람들이었다. 공자는 봉건천하(封建天下)에서 전제천하(專制天下)로 변하는 과도기 시대의 초기였다. 주(周)는 이미 쇠퇴했지만 아주 없어지지는 아니했고, 사회계급은 붕괴되고 있었지만 아직 남아 있었다. 그래.. 2022. 6. 8. [정치과정]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정리/첨부파일 참고.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Robert D. Putnam,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pp. 65-78 1. 서론 - 민주주의 공고화에 있어 강력하고 활발한 시민사회의 중요 - 탈공산화 국가들의 시민들은 아직도 국가에 대한 수동적인 의존이 폭넓게 나타나고 있고 독립적인 시민참 여의 전통이 부재하거나 제거되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움 - 발전된 서구민주주의와 미국, 특히 미국은 전통적인 모델로 제시됨 - 그러나 미.. 2022. 6. 6. [비교정치] Political Economy within Nations Political Economy within Nations 정리/첨부파일 참고.Political Economy within NationsWilliam R. Keech, Robert H. Bates, and Peter Lange, "Political Economy within Nations" in William Crotty(es.), Comparative Politic, Poli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Evanston Northwestern Univ. Press, 1991), pp. 219-263. 19세기 정치경제학은 정치와 경제적 현상을 통합하는 하나의 학문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그러나 초기의 이러한 시도와 실질적 공통분야임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분야는 상이한 발전을 .. 2022. 6. 6. [비교정치] Paradigms and Sand Castles in Comparative Politics of Developing Areas Paradigms and Sand Castles in Comparative Politics of Developing Areas 정리/첨부파일 참고. Paradigms and Sand Castles in Comparative Politics of Developing Areas Barbara Geddes, "Paradigms and Sand Castles in Comparative Politics of Developing Areas" in William Crotty(es.), Comparative Politic, Poli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Evanston Northwestern Univ. Press, 1991), pp. 45-75. 우리는 여기서 비교정치학이라는 학문이 .. 2022. 6. 6. 임금 노동과 자본 서문 - 칼 맑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임금 노동과 자본 - 칼 맑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서문 본 노작은 1849년 4월 4일 이후 ≪신라인신문≫의 여러 호에 논설로 처음 발표되었던 것이다. 이 노작의 기초로 된 것은 맑스가 1847년에 브뤼셀 독일 노동자협회에서 한 강연이다. 이 노작은 전문이 게재되지는 못하였다. 제269호에 게재된 논설 끝에 ≪다음 호에 계속≫이라는 말이 있으나 이 약속은 당시 돌발한 사건들, 즉 러시아 군대의 헝가리 침입, 드레스덴, 이제를론, 엘버펠트, 팔쯔 및 바덴 등지의 폭동들, 이로 인하여 초래된 그 신문 자체의 폐간(1849년 5월 19일)으로 말미암아 실현되지 못하였다. 이 노작의 후속으로 될 원고는 맑스의 유고중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임노동과 자본≫은 소책자로 여러 번 출판되었는데 마지막에는 1884년.. 2022. 6. 6. 공상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 서문 - 프리드리히 엥겔스 공상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 - 프리드리히 엥겔스 영어판 서문 원래 이 소책자는 보다 큰 책의 한 부분이었다. 1875년 경에 베를린 대학 강사 오이겐 뒤링박사는 갑자기 그리고 대단히 요란스럽게 자기가 사회주의로 전향하였다는 것을 설명하고 독일 민중에게 상세히 작성한 사회주의 이론 뿐만 아니라 빈틈없는 실제적 사회 개혁안까지 제공하였다. 여기서 그가 자기 선행자들을 공격해 나선 것은 두말할 것도 없다. 공격의 예봉은 맑스에게 돌려졌고 그는 자기의 분노를 있는 대로 맑스에게 퍼부었다. 이것은 독일사회당 내의 두 분파 - 아이제나흐파와 라쌀파 - 가 마침 합동하여 당이 비상이 강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하게는 공동의 적을 반대하여 자기의 모든 역량을 경주할 가능성도 역시 갖게 된 마당에서 있은 .. 2022. 6. 6.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