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olitics and diplomacy Archive212

[논평/정치학] 폴 스위지 : 역사와 정면대결한 거목의 위대한 패배 폴 스위지 : 역사와 정면대결한 거목의 위대한 패배 진보이념의 새로운 지평을 찾아서 5 /월간말 editor@digitalmal.com홍기빈  폴 스위지(Paul Malor Sweezy)가 지난 2월 27일 영면했다. 향년 93세.스위지가 경제학자로서, 진보적 사회사상가로서 또 실천적 지식인으로서 20세기의 미국과 세계에 미친 영향은 대공황, 파시즘, 2차 대전, 냉전과 탈냉전을 거친 그의 인생 여정만큼이나 길게 드리워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영국의 진보매체인 『르몽드』『가디언』 정도를 빼면 이 괄목할 만한 인물의 서거를 추모하는 글이 아직 별로 나오고 있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한국의 지식인들, 특히 1980년대에 한국의 사회현실에 대한 이론적 고민을 시도했던 이들이라면 의식하든 못하든 스.. 2024. 1. 23.
[요약] System Theory (시스템 이론) 국제정치학의 이론중 시스템 이론에 대해 정리한 것입니다. # 참 고 : System의 여러 개념 System is probably the term most widely used today in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literature describes (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oding of data about political phenomena ; (2) an integrated set of relationships based on a hypothetical set of political variables for example, an international system involving world g.. 2024. 1. 22.
The Case for a Classical Approach The Case for a Classical Approach Hedley Bull, "International Theory-The Case for a Classical Approach", Contending Approaches to International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1969) Chap 2: pp.20∼38 Hedley Bull : Approach에 대한 구분의 시초 국제 관계 이론에 대한 2가지 Approach: Classical(traditional) vs Scientific Ⅰ. (국제관계 접근법에 대한 분류) 1. Classical Approach 1) 의미: 철학,역사,법으로부터 이론을 구축하는(theorizing) 접근법 2) 특징 ① 판.. 2024. 1. 17.
The Changing Nature of World Power The Changing Nature of World Power Joseph S. Nye Jr., "The Changing Nature of World Power", Political Science Quarterly Vol. 105, No. 2(1990): 177-192 ◇ Power(권력)의 정의 ① 일반적으로 권력이란 스스로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 혹은 타인을 통제/제어하는 능력을 의미. ② Robert Dahl의 정의: “그렇지 않았으면 하지 않았을 일을 하게끔 만드는 능력” (the ability to get others to do what they otherwise not do) ③ 권력에 대한 보다 실증적 정의는, 권력자원의 소유로 정의되는 권력의 개념 : 이 때의 자원(resource.. 2024. 1. 15.
Hans Morgenthau :The Limits and Influence of Realism Hans Morgenthau :The Limits and Influence of Realism Stanley Hoffman Stanley Hoffman, "Hans Morgenthau: The Limits and Influence of "Realism" Hans Morgenthau : 가장 영향력 있으면서 예리한 현실주의의 대변인. 영국의 E.H.Carr, 미국의 Wolfers, 프랑스의 Raymond Aron과 달리 모겐소는 이론가이면서 동시에 투쟁가. >> 모겐소 현실주의의 탁월한 점 remarkable: 추상적 원칙에 반대하고 구체적 역사에 호소한다. 인간사에서 차악의 실현이 최선의 실현보다 오히려 더 가능하고 비용이 덜 든다는 확신. 매일 일어나는 정치 현실로서 의 분쟁에 대한 강조는 탁월하다. .. 2024. 1. 15.
Power Analysis and World Politics : New Trends vs Old Tendencies Power Analysis and World Politics : New Trends vs Old Tendencies David A. Baldwin David A. Baldwin, "Power analysis and World Politics: New Trends vs. Old Tendencies", World Politics Vol. 31, No. 2(Jan 1979): 161-194 마키아벨리와 흄에서 카와 모겐소에 이르기까지, 권력은 국제정치 이론화에서 중요한 변수이다. 비록 몇몇 이들이 권력 분석은 낡고 진부한 것으로 간주할 지라도, 권력을 연구하는 사회 과학의 최근 정련들은 국제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이 접근법을 소생시킬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전의 직관적이고 모호한 권력 논의(취급)와 보다 .. 2024. 1. 15.
Cultural Revolution and Industrial Organization in China - Charles Bettelheim Cultural Revolution and Industrial Organization in China Changes in Management and the Division of Labor by Charles Bettelheim Translated by Alfred Ehrenfeld Monthly Review Press New York and London ⓒ 1974 Preface This book does not propose to describe the numerous and manifold changes that have occurred, and still are occurring, in that vast country which is China. It would be senseless for a f.. 2024. 1. 15.
Marxist Century, American Century - Giovanni Arrighi Giovanni Arrighi, "Marxist Century, American Century: The Making and Remaking of the World Labor Movement," Transforming the Revolution, MR Press, 1990. 1. The Communist Manifesto Revisited 󰡔공산당 선언󰡕에서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지배의 종언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주장을 제시했다. 첫째, 부르주아는 더 이상 사회와 양립할 수 없다. 둘째 부르주아는 자신의 묘혈을 팔 사람들을 양산한다. 이러한 진술은 마르크스 이후 140여 년간 마르크스주의를 규정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시나리오는 부분적으로 모순되며, 마르크스의 후예들의 이론과 실천에서 그러한 모순은 해결.. 2024. 1. 15.
마그나 카르타와 그 영향 저스티스 제27권제2호, (95.01)법원도서관 마그나 카르타와 그 영향 아이버 제닝스 경 지음/안경환·이동민 옮김 Ⅰ. 마그나 카르타란 무엇인가? Ⅱ. 잉글랜드의 자유권 Ⅲ. 마그나 카르타와 의회 Ⅳ. 마그나 카르타와 보통법 Ⅴ. 해외에서의 마그나 카르타 Ⅵ. 마그나 카르타와 미래 마그나 카르타 역문 Ⅰ. 마그나 카르타란 무엇인가? 1. 1215년 마그나 카르타 [각주:1] 대개 마그나 카르타로 알려져 있는 문서는 1215년 6월 15일에 `윈저(Windsor)와 스테인즈(Staines) 사이에 있는 러니미드(Runnymede)[각주:2]라 불리는 초원에서' 존(John) 왕[각주:3]의 날인으로 부여된(granted) 국왕의 특허장(royal charter)이다. 형식상으로 그것은 다른 모든 중세 특.. 2024. 1. 15.
Magna Carta Magna Carta - a translation of Magna Carta(1215) JOHN, by the grace of God King of England, Lord of Ireland, Duke of Normandy and Aquitaine, and Count of Anjou, to his archbishops, bishops, abbots, earls, barons, justices, foresters, sheriffs, stewards, servants, and to all his officials and loyal subjects, Greeting. KNOW THAT BEFORE GOD, for the health of our soul and those of our ancestors and.. 2024.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