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39

또 하나의 한국인 - 이재갑 - 또 하나의 한국인 - 이재갑 - 갤러리 와 2006년 10월 11일 ~ 2006년 11월 15일 “또 하나의 한국인” 오늘의 한국사회가 처한 현실과 상황은 분단으로 인한 6.25전쟁의 영향과 결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므로 분단시대가 배태해놓은 모순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는 창작이 문학과 예술의 주류를 이루어 왔다. 사진가들 또한 민족 분단의 모순과 그 극복, 반전, 나아가 통일실현에 관심이 높다. 구자호의 “판문점” 김녕만의 “임진각” 이상일의 “거제도 포로수용소” 이재갑의 “혼혈인(국제가족)” 국수용의 “매향리” 등의 작업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재갑은 14년 동안 “혼혈인(국제가족)”작업에 천착해온 사진가이다. 그는 한명의 혼혈인(국제가족)을 카메라 앞에 세우기까지 1년 혹은 2년에 걸쳐 설.. 2011. 10. 11.
World Press Photo Awards for 2006 World Press Photo of the Year 2005 - Finbarr O'Reilly (Canada, Reuters) - 니제르 타우아의 비상급식소의 어머니와 아이 (타우아-니제르 남부에 있는 주)8월1일, 니제르 서북부 타우아 지방의 한 마을에서 영양실조에 걸린 한 살짜리 아기 알아싸 갈리소우가 앙상한 손가락으로 엄마 파토우 오우세이니의 입술을 누르고 있다. 니제르에서는 근래 최악의 가뭄과 유난히 극성이었던 메뚜기떼 때문에 지난 해 농사를 모두 망쳤다. 수백만 명의 주민들이 극심한 식량부족에 내몰렸다. 2005년에는 폭우가 쏟아져 풍작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지만 구호대원들의 물자 운송은 큰 지장을 받았다. 원조는 매우 천천히 이루어졌다. UN, 서방 국가들, 국제구호단체, 그리고 니제르의 정.. 2011. 10. 10.
Family Pictures - Nicholas Nixon - 2011. 10. 7.
IN THE MONEY - Christopher Evans - 2011. 10. 7.
어머니의 세월 - 윤주영 - 2011. 10. 7.
FIVE DECADES - Arnold Newman - 2011. 10. 7.
WORKERS - Sabastiao Salgado - 2011. 10. 7.
[인권수첩] 영화 <도가니>가 우리에게 던진 것들 (2011. 9. 29. ~ 10. 5.) 광주 인화학교 청각장애인들이 겪은 성폭력 사건 다룬 영화 흥행으로, 인권침해가 처벌되지 않는 제도의 한계와 침묵의 카르텔에 공분 일어나. 광주시 교육청, 인화학교에 성폭력 사건 관련 교사 6명 해임․정직 등 중징계 조치 요구(10.4). 정치권, 친고죄 폐지 검토. 경찰, 재수사 의지 밝히고 보건복지부, 장애인시설 포함해 전국사회복지시설 인권침해 실태조사 발표(9.29). 또한 사회복지법인의 공익이사 파견을 포함해 사회복지사업법개정안 11월 중 마련하겠다고 밝혀. 한편, 광주시, 인화원과 인화학교가 속한 사회복지 법인 ‘우석’에 대한 인가 취소 결정(10.4).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 ‘아동 성범죄 공소시효 폐지 100만 명 서명운동’ 서명 시작 사흘 만에 참여자는 10만 명 훌쩍 넘어. 장애인권사회단체들.. 2011. 10. 6.
세계 사형제도 폐지의 날 세계 사형제도 폐지의 날 매년 10월 10일은 “세계 사형제도 폐지의 날‘이다. 2003년 세계사형반대연합이 지정한 이후 매년 이 날을 기해 전 세계적으로 사형제 폐지와 관련한 다양한 캠페인이 전개되고 있다. 세계사형반대연합은 40개 이상의 인권단체와 법률가협회, 무역협회 등의 NGO와 지방정부의 연대체로 2002년 설립되었다. 유엔은 1989년 ‘사형폐지를 위한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선택의정서’를 채택하였다. 이때 당사국 수는 72개국이었으며 우리나라는 가입하지 않았다. 2011년 9월 현재 사형을 폐지한 국가는 139개국이며 아직까지 사형제가 남아있는 국가는 58개국이다. 그러나 2010년 실제로 사형을 집행한 국가는 23개국에 불과하다. 이처럼 전세계적으로 사형을 폐지하자는 흐.. 2011. 10. 5.
[인권수첩] 말뿐인 대책이 아니라 실질적인 강제퇴거금지법이 필요하다. (2011. 9. 22. ~ 9. 28.) 용역 폭력을 수수방관하던 경찰이 여론의 질타를 받자 부랴부랴 용역 폭력 종합 대책이라는 것을 내놓아(9.21) 명동 마리, 유성 기업 등 재개발 현장이나 노조 파업 현장에서 용역들의 폭력 행위를 수수방관하던 경찰에 대한 시민사회의 불만은 이미 높아졌던 상황. 국회 행안위 소속 장세환 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최근 3년간 노동자·철거민, 시설주·용역업체에 대한 불법행위 수사결과 분석 자료’를 보면, 입건된 노동자·철거민은 4,197명 가운데 3,832명(91.3%)이 기소됐지만, 용역업체 직원 등은 입건된 288명 가운데 116명(39.2%)만 기소되어. 이런 상황에서 국회에 경비업법 일부 개정안이 발의되자 경찰은 민원 현장에는 경비업법상 허가된 경비업체만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용역 폭력에 대해서는 .. 2011.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