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olitics and Society Archive383 [정치학원론] 국제정치 1 국제정치 1. International politics 가. 국가상호간의 정치 나. 기본단위 : nation, nation-state(민족국가, 국민국가) 2. International politics 의 기원 가.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나. 유럽의 빈체제부터 제 1차 세계대전 이르기까지 새로운 국가의 생성이 활발 다. 프랑스혁명이후 현대 의미의 국민국가가 형성 cf) 옛날부터 국가가 존재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국가형태의 분류에 있어서는 원시국가, 부족국가, 민족국가, 국민국가, 시민국가, 도시국가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처럼 도시국가형태와 국가의 형태라고 볼 수 없는 아프리카의 부족국가들처럼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정치에 있어서는 국민국.. 2022. 10. 19. [정치학원론] 정치과정론 1 정치과정론 1 - 정당 1. 정치과정론의 의미 가. 정부와 국민과의 관계(지배자 vs 피지배자) 나. 국민의 대표성 원칙을 실현하는 과정 ex) 선거, 정당 다. 정책결정과정과 관계(정부내에서 정책결정, 정당) 2. 정당의 존재 이유 가. 정치권력을 창출, 유지, 변경시켜 정통화된 정치조직체(권력획득) 나. 점증하는 국민의 정치 참여를 증진시키고 조직화(정치참여 수단) 3. 정당의 개념 가. 정치적 목적이나 이해관계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집합체 나. 정치권력을 획득, 유지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함 다. 전국적인 범위에서 일정한 조직형성, 지속적으로 활동 라. 각종 선거에서 후보자를 내세우고 일정한 정강정책을 내세워 국민들의 지지를 얻어 정권획득을 목적으로 한 조직체 4. 정당의 발생 가. 제도적 변.. 2022. 10. 19. [정치학원론] 정치권력 (Political power) 1 정치권력 (Political power) 1. 권력의 정의 한 인간이 다른 인간을 그 의사에 반(反)해 자신이 의도한대로 어떤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 일정한 행동을 하도록 이끌어 나가는 능력, 강제력이 수반된다. 2. 권위의 정의 권력의 속성을 내포하지만 권력이 아니다. 실제로 권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political formula이다. 권력을 부여하고 권력의 사용을 정당화하고 적당한 것으로 간주할 때 “권위가 있다”라고 본다. ↗권위관계 : 자발적이고 내면적 관계 ↘권력관계 : 강제적이고 외형적 관계 3. 권력을 포함하는 상황 Robert.A.Dahl의 견해 → 반응자(B)가 행위자(A)에 복종하는 것은 그렇지 않을 경우, 심한 가치박탈을 당할 것을 두려워 하기 때문이다. 4. 권위를 포함하.. 2022. 10. 19. [정치학원론] 정치문화 1 정치문화 1. 개념 1) 경험적 신념과 표현적 상징, 정치적 행위가 일어나는 상황을 규정하는 가치들 2) 사회구성원들이 정치적 대상에 대해 갖고있는 정향, 특별한 양태의 분포 ① 인지적 정향 - 체계의 투입기능 및 산출기능 등에 대해 사회구성원들이 갖고있는 지식과 신념 ② 감정적 정향 - 정치적 대상들에 대해 사회구성원들이 갖고있는 느낌 또는 정서 ③ 평가적 정향 - 정치적 대상들에 의해 사회구성원이 갖는 판단과 의견 2. 정치문화를 나누는 기준 1) 개인이 정치체계에 대해 일반적으로 어떠한 지식을 갖고 있는지, 느끼는지 2) 개인이 구조와 역할, 정치엘리트 및 정책 등에 대해 어떠한 지식을 갖는지 3) 개인이 정책집행의 영향과 그것이 수행되는 과정이 어떠한지 4) 개인은 정치체계의 한 구성원으로 자.. 2022. 10. 19. [정치학원론] 정치발전론 1 정치발전론 1 1950년대 후반부터 정치현상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등장 1. 정치발전의 개념 가. 경제발전은 정치적 전제조건 나. 산업사회의 전형적인 전제 - 정치는 고도의 합리성과 책임성 내포 다. 정치적 근대화로서 정치발전 - 서구와 근대적인 것 : 서구와 근대의 논리가 불분명 라. 민족국가의 활동으로써 정치발전 - 민족주의 형성과 이에 바탕을 둔 국가체제 마. 행정적?법적 발전으로써 정치발전 - 효율적 관료제 확립, 근대적 법체계 확립 바. 대중동원과 참여로서의 정치 - 시민의 역할과 정치참여 사. 민주주의의 수립 - 민주적 제도와 관행의 수립, 서구 선진국의 제도적 관행과의 차이와 민주주의 정의에 따라 오해 발생 아. 안정과 질서있는 변화로서의 정치발전 - 정치과정이 합리적으로 통제되고 사회적 .. 2022. 10. 14. [정치학원론] 정치변동론 1 정치변동론 1 1. 정치변동의 3가지 양태 가. 국가나 정부의 인적 구성에서 변화, 대표적으로 인사이동 나. 국가나 정부의 제도적 측면과 관련된 변화 ex) 대통령제나 내각제 다. 체제와 가치가 바뀌고 새로운 가치 수립 → 혁명 2. 군부의 정치개입 가. 군부는 국가내에서 합법화된 폭력기관 나. 군인의 분류 1) 직업군인 : 정치적 야심이 없다. 직업인으로의 전문적 가치와 의식을 갖고 있다. 민간권의에 의한 통제가 가능 ex) 미군 2) 집정관적 군인 : 정치에 관여해서 민간권위에 도전하고 붕괴시킨다. 새로운 정치를 추구 3) 혁명군인 : 혁명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군인이 곧 혁명가, 혁명가가 곧 군인이며 정당에 복종, 사회주의 군대, 당의 지배, 혁명을 위한 군대, 군인이 정치 관여의 요.. 2022. 10. 14. [정치학원론] 정치엘리트와 리더쉽 1 정치엘리트와 리더쉽 1. Lasswell의 엘리트 개념 가. 영향력이 있는 사람 나. 한 사회내에서 존재하는 가치들을 가장 많이 획득한 사람 다. 대표적 가치로서 존경(deference), 수입(income), 안전(safety) cf) 대중의 개념 : 엘리트가 갖는 있는 가치들을 적고 갖고 있는 사람 2. 엘리트 이론의 연구 초점 : 누가 실제로 권력을 어떻게 장악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의 문제 3. 엘리트의 공통특징 가. 사회는 권력을 가진 소수와 갖지 권력을 갖지 못한 다수로 구분 / 소수만이 가치를 분배할 수 있음 나. 지배하는 소수는 출신 배경에 있어 지배 당하는 다수와 구별 됨. 즉 세습됨 ex) 귀족제 다. 비엘리트의 엘리트 지위에로의 지위변경은 느리지만 계속됨 라. 엘리트는 사회체계.. 2022. 10. 14. [1990년] 모집·채용에 있어서의 남녀불평등 철폐를 위한 토론회 모집·채용에 있어서의 남녀불평등 철폐를 위한 토론회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1990년 여대생의 취업현실, 여성채용문화, 여성의 직업선택에 있어서 장애를 살펴봄으로써, 모집 채용상 남녀차별 개선방향을 검토해 본다. 모집·채용에 있어서 남녀불평등 철폐를 위한 토론회 모집·채용상 남녀차별 개선방향 모집·채용에 있어서의 남녀불평등 철폐를 위한 토론회 여대생 취업현실과 취업난의 극복방도 모집·채용에 있어서의 남녀불평등 철폐를 위한 토론회 여성의 직업선택에 있어서 장애와 극복 모집·채용에 있어서의 남녀불평등 철폐를 위한 토론회 여성채용문화와 고용정책 대안 2022. 10. 14. [1989년] 직장내의 폭행에 대한 조사 직장내의 폭행에 대한 조사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1989 년 직장내에서 자행되는 폭행의 유형 및 발생이유, 상황등을 파악함으로써 여직원에 대한 폭행을 근절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취업여성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경험한 폭행별로 폭행의 내용에 대한 질문과 직장내의 다른 여직원에 대한 폭행발생여부에 대한 질문, 그리고 근무환경 및 인적사항에 대해 조사, 분석되었다. 직장내의 폭행에 관한 조사 1. 조사연구의 목적 및 방법 직장내의 폭행에 관한 조사 2. 조사분석 결과 직장내의 폭행에 관한 조사 3. 요약 및 방안제시 2022. 10. 14. [정치학원론] 정치체계론 1 정치체계론 1. 1953년 D.Easton의 political system에서 출발 → 경험적 이론에 바탕을 둔 정치이론의 구성 요구에 대한 증대로 나옴 → ‘social system'에 영향을 받음 → political system에 의존하여 political life를 분석 → 1930년 tolcott parsons 'social system'에 영향을 받음 2. tolcott parsons → ‘상호의존(interaction)적 요소’의 실체 → interaction : 두 개 이상의 행위자들간의 관계를 규명 → 체계는 구체적인 것과 분석적인 것으로 나눔 → 구체적인 것 : 개인?집단?사회 등 사회적 관계(행위자의 unit) → 분석적인 것 : 행위적인 측면 ① 사회적 측면 : 역할 분화에 기초.. 2022. 10. 1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9 다음 반응형